DOI QR코드

DOI QR Code

Text Mining Analysis of the Online Counseling Contents of Nursery School Teachers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어린이집교사 온라인 상담의 내용분석

  • Received : 2020.08.08
  • Accepted : 2020.12.04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unseling conten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by us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s to find the necessary support directions for daycare teach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Methods: Five hundred thirteen cases of counseling recorded on the open bulletin board of online counseling (Naver Bands for Nursery Teacher Counseling)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solidarity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based topic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NetMiner4.3 program. Results: First, 'teacher-to-child ratio' was highest in the frequency. Second, 'colleagues' were all high in all centrality analysis. Third, machine learning-based topical analysis shows that the topics were categorized as subjects about 'childcare and education', 'work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working condition', and among them, 'first-time teacher concerns' accounted for 44% of the total counseling conte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gh-quality child-care and education to infants by lowering the 'teacher-to-child ratio', and a systematic program is needed to help improve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between parents, fellow teachers, and principals. In addition, self-development and efforts to improve teachers expertise should be prioritized in order to improve infant care quality and quality of teachers.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이 (2002). 교사 발달 측면에서 본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창완, 조장식, 최승배 (2018). R과 RStudio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입문. 경기: 자유아카데미.
  3. 김경애, 임부연 (2016). 고경력 유아교사의 삶: 교사실존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67-296. doi:10.24211/tjkte.2016.33.1.267
  4. 김경은 (2018). 고경력 보육교사가 직무에 대해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보들맘, 신혜영 (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6.
  6. 김성근, 조혁준, 강주영 (2016). 학술연구에서의 텍스트 마이닝 활용 현황과 주요 분석기법. 정보화연구, 13(2), 317-329.
  7. 김수연, 정영미 (2006).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연관용어 선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3), 147-166. doi:10.3743/kosim.2006.23.3.147
  8. 김순환, 전샛별 (2010). 경력에 따른 영아반 교사들의 어려움과 관심사, 현직교육 요구에 관한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239-267. doi:10.24211/tjkte.2010.27.3.239
  9. 김양은 (2017). 고경력 보육교사의 교직생활 어려움과 이탈위기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 375-403. doi:10.22251/jlcci.2017.17.18.375
  10. 김연아, 김경은 (2012). 영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1), 105-121.
  11. 김영순 (2014).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근무실태에 관한 연구: 강원도 어린이집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윤숙, 조희숙 (2011). 영아초기 적응과정에서의 교사, 영아, 교사, 부모와의 관계에서 드러난 교사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31(6), 121-146. doi:10.18023/kjece.2011.31.6.006
  13. 김은숙 (2011). 어린이집 교사의 삶에 대한 자전적 탐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원, 김유정, 배인자 (2002).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현장 교육의 실태와 요구에 관한 연구. 영유아교육연구, 5, 139-159.
  15. 김혜린 (2017). 영아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나석희, 이현진 (2012). 어린이집 교사들의 보육경험에서 겪는 인간관계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6(1), 69-94.
  17. 문경희 (2005). 초등병설 유치원 운영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동규 (2012).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25-44.
  19. 문정애, 문혁준 (2016). 가정어린이집 교사의 영아발달지식과 조직문화가 민감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5(1), 71-101.
  20. 민혜영, 윤미정 (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21. 박미영, 조희숙 (2009). 유아교사의 안전환경 관리 정도 및 안전교육 실천 정도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과의 차이. 교사교육연구, 48(2), 1-19.
  22. 박소영 (2009).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정빈, 김은심, 유선희 (2010). 영아반 교사가 직면하는 어려움.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2), 65-87.
  24. 보건복지부 (2020). 2019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25. 서윤정, 이대균 (2011). 어린이집 교사가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259-291.
  26. 서일원, 전채남, 이덕희 (2013).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원천기술 분야의 잠재적 기술수요 발굴기법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21(1), 279-301.
  27. 서지영 (2002). 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신광순 (2013). 어린이집 유형과 보육교사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여인우, 김숙령 (2015). 영아 교사의 정서적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어린이미디어연구, 14(4), 131-171.
  31. 유희정 (2002). 보육발전 기본계획 개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1), 1-31.
  32. 유희정 (2015). 유아반 보육교사가 영아반 담임을 하면서 느끼는 어려움과 긍정적 변화에 대한 이야기.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1), 159-187.
  33. 이미화, 민정원, 엄지원, 윤지연 (2013).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4. 이수상 (2014). 사회과학 연구에서 사회 네트워크 분석(SNA) 방법의 활용과 한계. 서울: 한국연구재단.
  35. 이순자 (2003). 교육과정 운영 중 나타나는 현장문제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조사. 열린유아교육연구, 7(4), 1-21.
  36. 이완희, 박찬옥 (2005). 2세 영아반 초임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 유아교육학논집, 9(3), 5-30.
  37. 이지현 (2013). 어린이집 교사의 가치관 및 교수창의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장주혜 (2008).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 어려움과 소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윤숙 (2011). 초임보육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한국보육학회지, 11(4), 167-187.
  40. 정다운 (2009). 보육시설의 조직커뮤니케이션과 갈등, 몰입에 관한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정소미 (2010). 영아보육교사의 전문가적 역할수행에 관한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은영 (2013). 보육교사의 일과 양육 병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정윤경 (2016).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소비자 상담내용의 탐색적 연구: 암보험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정지은 (2010). 보육교사 직무실태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조부경, 박은혜, 임승렬 (1998). 유아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에 반영된 지식의 기초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교육학연구, 36(3), 225-254.
  46. 조성우 (2011). Big Data 시대의 기술. 서울: KT 종합기술원.
  47. 조운주, 최일선 (2004). 사립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갈등 및 안정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4(1), 71-93.
  48. 조은영 (2002).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조태호 (2001). 지식정보인프라. 서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0. 조혜진 (2007).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1(2), 237-262.
  51. 주연희, 유미림 (2003).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초임교사의 지원 및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7(2), 105-132.
  52. 지성철 (2006). 우리나라 영·유아보육정책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미미, 서영숙 (2013).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동료교사와의 갈등 원인 및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21-239.
  54. 최선경 (2012).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최정인 (2016). 유아교육기관 경력교사들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탁정화, 황해익 (2012). 영아 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73-103.
  57. 황은희 (2007).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Cyram (2017). NetMiner 4.3. Seoul: Cyram Inc.
  59. Feiman, N. S. (2001). Helping novices learn to teach: Lessons from an exemplary support teacher.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2(1), 17-30. doi:10.1177/0022487101052001003
  60. Feldman, R., & Dagan, I. (1995, August). Knowledge discovery in textual databases (kdt). In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KDD-95), Montreal, Canada.
  61. Hale-Jinks, C., Knopf, H., & Kemple, K. (2006). Tackling teacher turnover in child care: Understanding causes and consequences, identifying solutions. Childhood Education, 82(4), 219-227. doi:10.1080/00094056.2006.10522826
  62. Honig, A. S. (1989). Quality infant/toddler caregiving: Are there magic recipes. Young Children, 44(4), 4-10.
  63. Howes, C., & Smith, E. W. (1995). Relations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play activities, emotional security, and cognitive activity in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4), 381-404. doi:10.1016/0885-2006(95)90013-6
  64. Paton, M. Q. (2014).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65. Scottish, O. (2001). Early education and childcare plans 2001-2001. HMS: Edinbur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