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Social Service Demand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Vulnerable in Rural Areas

농어촌 취약계층의 사회서비스 수요탐색과 정책함의

  • Received : 2020.10.30
  • Accepted : 2020.12.14
  • Published : 2020.12.28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demand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and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vulnerable in rural villages exposed to worse conditions amid the Covid-19 crisis. To this end, the social service needs of vulnerable groups by household type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raw data of the 2018 Survey on Rural Well-Being. Analysis showed that the greatest demand social services for all rural villages, the elderly, the disabled, one-person, one elderly and low-income households were income support services, while in household that included children the demand was for childcare and education-related services. The second-highest social services in terms of demand were cultural leisure vacation support services for all rural villages, healthcare-related services for the elderly, the disabled, one elderly and low-income households, cultural leisure vacation support services for households including children and daily life support servic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results, a measure was proposed to support social services, tailored to vulnerable groups in rural villages. In addition, the government's lack of a consultation system between urban and rural welfare policies, such as a basic plan for health and welfare in rural villages, led this paper to discuss the need for a feedback function and dedicated formulation of mid- to long-term policies in rural villages. It also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conditions for providing customized social services for rural vill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더욱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농어촌 취약계층에 초점을 두고 사회서비스 영역의 수요를 탐색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가구유형별 취약계층의 사회서비스 욕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농어촌 전체, 노인, 장애인, 1인, 노인 1인, 저소득 가구 등이 1순위 사회서비스는 '소득지원서비스'로 나타났고, 아동 가구는 '보육 및 교육 관련 서비스'로 나타났다. 2순위 사회서비스는 전체는 '문화여가향유지원서비스', 노인, 장애인, 노인 1인, 저소득 가구 등은 '보건의료 건강관리 서비스', 아동가구는 '문화여가향유지원서비스', 1인가구는 '일상생활지원서비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농어촌 취약계층 맞춤형 사회서비스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농어촌 보건복지 기본계획 등 정부의 도농간 복지 격차 완화 정책의 문제점을 공식부처 간의 협의체계 부재로 보고 농어촌 중장기 정책의 환류기능과 전담조직의 필요성을 논하고 '농어촌 지역맞춤형 사회서비스 제공여건 구축(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대식, 마상진, 최경은, 농어촌 취약계층의 생활실태와 정책 개선방안 독거노인과 조손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0.
  2. 김태완, 여유진, 정해식, 김성아, 이주미, 농촌지역 사회복지수요 및 자원현황 분석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 김보영, "언택트 시대의 사회서비스, 이슈와 과제," 2020 사회복지 공동학술대회, 2020.
  4. 관계부처 합동, 제4차 농어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5개년 계획, 2020.
  5. 보건복지부, 제4차 농어촌 보건복지 기본계획, 2020.
  6. 김용욱, 민경찬, 박지숙, 2018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농림축산식품부, 2018.
  7. 조흥식, "취약계층의사회통합화를위한사회보장제도의 과제," 사회보장연구, Vol.11, pp.83-103, 1995.
  8. 유경준, 심상달, 취약계층보호정책의방향과과제, 한국개발연구원, 2004.
  9. 노대명, "취약계층을위한일자리창출방안연구," 장애인 고용, Vol.16, No.1, pp.115-146, 2006.
  10. 강신욱 외, "취약계층보호를위한정책대응," 경제.인문사회연구회협동연구총서08-14-0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11. 강일국, 농촌지역취약계층교육지원방안연구, 강현출판사, 2009.
  12. 윤석명, 이용하, 신화연, 신현웅, 윤조덕, 방하남, 권문일, 신규범, 취약계층에대한사회보험확대적용방안: 국민연금을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13.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2020.
  14. 통계청, "E-지방지표," 2020.
  15. 황정임, 최윤지, 최정신, 민소영, 정용경, 신동호, 전윤정, 강구민, 김아영, 문준호, 박진우, 박인호, 이강형, 박창제, 김경화, 김정태, 2018년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 조사보고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19
  16. 통계청, "사회조사," 2019.
  17. 김동진, 김태완, 김유경, 박세경, 정진욱, 이윤경, 황주희, 마상진, 채희란, 오혜인, 윤흰뫼, 농어촌 보건복지 현황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18. 임청룡, 임상봉, "농촌마을 과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4, No.1, pp.109-116, 2020.
  19. Melnda L. Levis, Diane L. Scott, and Carol Calfee, "Rural Social Service Disparities and Creative Social Work Solutions for Rural Families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16, 2013.
  20. 이택영, 김진경, "도시 및 농어촌 노인의 활동 수준 및 활동 정도에 따른 삶의 질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402-411,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2.402
  21. 길현종, 이영수, 통합적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구축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17.
  22. 정웅기, 경상북도 노후 여객자동차터미널 정비방향, 대구경북연구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