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ile Mural Decoration Design Using Colored Glass Plaster Technique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이용한 타일 벽장식 방안 연구

  • Received : 2020.11.02
  • Accepted : 2020.11.30
  • Published : 2020.12.28

Abstract

In modern life, interior decoration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sychological synergistic effect of space, greatly affecting human sensibility. The main point of view in this paper is to study the discovery of new decorative effects and the possibility of products that can replace imported tile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60% of the walls of indoor spaces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The solution is to create point tiles using color glass plaster techniques developed in 2018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corating art walls to meet consumers' purchasing needs using simulations. The four patterns applied to the a paintbrush, resist printing, cutting technique, and inlaid patterns, and the traditional color development effect of the medium color suited to our sensibilities was studied. In addition, through simulation, art walls and acrylic using color glass styles were also used in the kitchen, living room and empty space of the bathroom. Based on this research, ceramic point tiles with a new perspective will be explored and the interior using walls will be activated.

현대 생활에서 실내를 구성하는 벽면의 장식은 인테리어 장식에 의해 공간의 심리적인 상승효과로 전환되어 인간의 감성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이번 논문에서 주요 관점은 일상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실내 공간의 벽면에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수입 타일을 일부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장식 효과의 발견과 제품의 가능성을 연구하려고 한다. 이러한 해결 방법으로 2018년도에 개발된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이용하여 포인트 타일을 제작하고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아트월 벽장식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타일에 적용된 문양들은 총 4가지의 패턴으로 귀얄, 방염, 면치기, 상감 문양을 활용하여 수입 타일의 천편일률적인 문양에서 벗어나고 우리의 감성에 맞는 전통적인 중간색의 발색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벽장식의 공간 활용 방안 부분은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욕실 주방, 거실과 나머지 빈 공간에 색유리 타일을 사용한 아트월과 아크릴 액자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의 도자기 포인트 타일이 모색되고 나아가 벽을 이용한 인테리어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Keywords

I.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벽장식에 마감재로 사용하였던 전(塼)은 낙랑시대가 처음이고 고려시대의 전은 단순함을 느끼게 하는 직선의 표현이 특징이다. 백제의 전은 세밀하고 섬세하며 부드러운 문양이 사용되었다. 신라의 전은 불교의 발달로 생산량이 많았고 우아하며 섬세한 화전문이 등장한다. 고려시대에는 청자도판도 생산되었는데, 건축물의 내부 벽장식으로 쓰였고 섬세한 조각이 새겨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건축물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제작방법이 거칠어지고 문양도 점점 쇠퇴하였다. 그리고 건축에 도자기가 최초로 사용된 시기는 BC5000 년경인데 이집트의 진흙 벽돌이 외장용에 쓰인 것이 최초이고 후에 유약을 발라 발전하게 되었다. 로마나 그리스에서는 장식성을 우선하지 않고 실용성을 염두한 벽화가 발달되고 근동 지방의 기하학적 문양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이후에 로마네스크,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를 거치면서 벽장식으로 발전되었고 건축의 하나로 사용하게 되었다[1].

생활공간들이 규격화되고 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사회의 실내 공간들은 자연을 집으로 끌어들이려는 심리가 작용하고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이고 독특한 나만의 디자인으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안락한 공간을 만들기를 원한다. 인테리어의 기본적인 요소인 바닥, 기둥, 벽, 천장 중 특히 실내공간의 미적인 아름다운 시선이 집중되고 감흥을 직관적으로 느끼게 하는 부분은 벽면이다. 벽면의 인테리어 아트월(Art Wall)의 설치는 바닥과 천장을 이어주는 매개체(medium)이다. 아트월이란 사진이나 그림 또는 독특한 재료로 제작하여 만들어진 예술성이 가미된 설치 벽면을 말한다. 인테리어는 유행에 민감하고 다른 집과의 차별적인 개성을 원하고 있고 쓰이는 재료는 ‘웨인스코팅’, ‘빌트인 수납장’, ‘타일’, ‘필름’, ‘벽지’ 등의 스타일로 마감된다[2].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이러한 수많은 재료 중에 도자기의 타일을 응용하여 새롭고 독특한 벽장식 패턴 방안을 시뮬 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제시하려고 한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 수입되고 있는 수입타일은 중국 제품 50%와 이탈리아·스페인 제품 10%를 합하여 60%를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장식 타일의 수입 의존도를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의 벽면 타일을 개발하여 향후 실제로 사용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 방법 및 범위

우리들의 생활공간을 보다 독특하게 꾸미고 안락하면서 아름답게 만들려는 노력은 현대 생활에 지친 인간들의 심리적 안정을 주기 위해서이다. 인류와 더불어 발전한 도자 벽장식은 최근에 와서 소비자가 직접 구매하여 인테리어를 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타일의 수입 의존도가 60%를 차지하고 있고 단가가 저렴한 타일은 중국산이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고가의 타일은 스페인이나 이탈리아 제품이 1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의 타일은 디자인이나 색감의 연구가 한정적이고 미미한 상태이기 때문에[3] 새롭고 독특한 재료와 디자인을 이용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번 논문의 문제 해결 방법은 2018년도에 개발된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응용하여 포인트 타일을 제작하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벽장식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천편일률(千篇一律)적인 문양에서 탈피하여 우리의 감성에 맞는 디자인과 색감을 연구하려고 하는데, 전통적인 문양인 귀얄, 방염, 면치기, 상감기법을 이용하여 디자인하고 주방, 거실, 화장실, 기타 빈 공간에 적절하게 공간의 배치를 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Ⅱ장의 벽장식의 유형과 분류에서는 아트월(Art Wall)을 정의하고 그 종류들을 사진과 분석을 통하여 이해하고 벽장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또한 세라믹 벽장식이 벽장식에 어떻게 필요한 지 당의성과 종류 그리고 사진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의 벽장식 타일에 대하여 분석 해 본다. Ⅲ장에서는 타일의 일반적인 고찰과 역사를 통해서 시대적인 타일의 발상과 흐름을 파악하고 타일의 종류를 재질에 의한 분류를 통해서 주요 성분과 흡수율, 사용처 등을 알아본다.

또한 포인트 타일의 어원과 시장성을 살펴보고 주거공간에서 벽면 포인트 타일의 활용 사례와 수요층의 구매 욕구 등을 살펴보고 거실, 주방, 욕실 등의 분석을 통하여 시뮬레이션의 방향을 설정한다. Ⅳ장의 작품 제작 및 시뮬레이션은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의 제작 준비 과정을 사진과 설명을 통해서 표로 정리하고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제작한다. 타일 제작 방법에서는 단조로운 문양과 독특한 느낌의 벽타일을 창안하기 위해 귀얄기법, 방염기법, 면치기 기법, 상감기법 등을 활용하여 디자인의 다양성을 확보한다.

타일 장식의 효과는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이용한 작업의 색감과 작품의 느낌을 통해서 시뮬레이션으로 귀얄 도판 타일의 효과와 타일장식의 거실, 욕실, 주방, 빈 공간의 필요 부분에 대비하여 장식하고 분석하여 비교한다. Ⅴ장의 결론을 통하여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이용한 타일 장식의 수입 대체 효과를 설명하고 분석한 다.

Ⅱ. 벽장식

1. 벽장식의 유형과 분류

아트 월(Art Wall)이란 예술과 벽의 합성어로 벽면을 이용하여 디자인된 것을 의미하며 포인트 벽이라고도 한다. 포인트는 점, 요점, 초점이라는 뜻을 내포하면서 시선을 끌어당기는 의미를 강조하는 것을 말한다. 아트월은 가족이나 외부의 손님을 접견하는 거실 부분의 TV가 놓인 벽 부분에 주로 많이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아트월은 건축물의 천장과 벽, 현관, 침실, 욕실, 베란다 입구 등 단조로울 수 있는 실내의 벽을 여러 가지 다양한 패턴 방식으로 장식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거두고 있 다[4].

포인트 타일의 허용가치를 살펴보면 사람의 시선이 먼저 닿는 곳이며, 실내에 출입했을 때 감흥을 받게 해주는 벽면을 이용한 아트월(art wall) 장식 효과이다. 이번 논문의 관점은 독특하게 디자인된 포인트 타일을 사용하여 벽 부분에 다양하게 연출을 하는 것이고, 주방의 경우 싱크대에 타일판을 장식하여 새로운 방식의 장식효과로 개발하려 한다.

포인트 인테리어의 종류는 대리석, 산호석, 타일, 필름, 도배 등이 있고 아트월의 효과는 첫 번째, 따뜻한 느낌, 세련된 느낌, 고급스러운 느낌같이 자재와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두 번째, 입체감이다.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입체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겠다. 세 번째는 색감으로써 구매자의 연령층이나 직업, 남·녀의 차이에 따라 색상의 선호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인 중간색 계열의 패턴을 선호한다. 아트월(Art Wall)의 종류를 [표 1]을 통해 알아 본다.

표 1. 아트월의 종류 종류 사진

2. 세라믹 벽장식

인간의 생활 패턴은 직업적인 업무 여가활동 등의 일을 마치고 휴식과 안정을 취하는 장소는 주택의 실내 공간이고 가장 많은 삶을 영위하는 장소이다.

실내 공간의 벽장식은 어떠한 디자인과 색을 표현하여 흥미의 접점을 형성한다. 벽장식은 실내의 공간감을 부여하고 표정과 생동감을 느끼게 해 준다[5].

주택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미적 취향은 모두 다르고, 그에 견주어지는 디자인도 다르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선호되는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란 어려운 실정이다. 보편적이며 아름다운 느낌을 표현할 재료도 매우 중요한데, 세라믹 타일을 이용하여 세라믹 벽 장식을 [표 2] 를 통해 연구하려 한다.

표 2. 세라믹 벽 장식

Ⅲ. 타일의 일반적 고찰

1. 타일의 역사와 종류

타일(Tile)이란 용어는 라틴어 tégŭla(덮개, 커버하다)에서 유래되었고 명사인 덮개판과 기와로도 불리운다[6]. 장식용과 건축 재료로써 건물 내부와 외부의 바닥과 벽면을 덮기 위한 것이다. 제조방식은 건식과 습 식 타일로 구분되며 타일을 분류하는 방식은 소성하는 온도의 차이에 따라 토기질, 도기질, 석기질, 자기질로 나뉘고 원료를 조합하는 방식은 비가소성 원료(석회 석, 납석, 도석)와 가소성인 점토로 조합하는 방법이 있 다.

타일의 역사는 바빌로니아와 이집트의 궁전 바닥에 타일이 장식되어 있고 세계에서 최초로 타일이 발견된 시기는 BC3000년경 이집트의 사카라피라미드에서 청색의 유약이 사용된 것이 발견되었다[7]. 고대로마와 그리스 시대는 유약을 사용하지 않은 테라코타 등이 지붕 마감재로 사용되었다. 타일이 본격적으로 건축에 이용된 것은 9세기 에스파냐에 살았던 이슬람교도의 영향이 크다. 이때의 시대적 상황은 중국의 도자기 기술이 실크로드를 통해 전파되었고 이어서 14세기 이탈리아의 마욜리카 타일, 16세기의 파이안스 타일 등 유럽 각국에 타일 제조 기술이 전파되어서 영국, 프랑스, 뉴 질랜드 등 제조 공장들이 성행하고 발전하였다. 17세기에는 최고로 발전된 타일이 생산되었다. 오늘날 타일이 최초 발상지였던 이슬람과 이집트는 퇴보된 상태이고 유럽에서 생산된 타일은 세계 타일의 중심지가 되어 번영을 이루었다. 19세기에는 건축물이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지고 타일의 양식도 대량생산으로 인해 내장재와 외장재의 무장식 타일의 표면이 생산되었다[8].

현대의 타일 생산은 대만,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한국 등이 주요 제조국이 되었으나 유럽의 발달된 디자인과 기술력에 바탕을 둔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고급 타일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소지로 소성하여 제작하는 요업의 일종인 도기질 타일 제조 공정은 제토 공 정을 거쳐서 타일의 형태를 만드는 성형공정 타일을 건조하는 정을 한 이후에 초벌 소성을 거치고 유약을 통해 여러 종류의 문양을 입힌 후 2차 소성을 한 완제품 을 출하한다. 자기질 생산 공정은 초벌 공정인 1차 소성을 하지 않고 건조 후 시유하고 한 번 소성하여 생산한다[9].

타일의 종류는 분류 기준에 의해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 번째 형태에 따라 구형, 무정형, 다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모자이크, 이형 타일 등이 있다. 두 번째 쓰임새에 따라 나눠보면 포인트 타일, 벽타일, 폴리싱 타일, 바닥 타일, 도자기 타일, 유리 타일, 모자이크 타일로 구분한다[10]. 세 번째 유약의 시유 상태에 따라서 무유 타일, 시유 타일로 구분한 다. 타일의 재질에 의한 분류는 소성 온도에 의해 차이 가 나는데, 내용을 다음의 [표 3]을 통해 살펴본다.

표 3. 재질에 의한 분류

CCTHCV_2020_v20n12_460_t0003.png 이미지

2. 포인트 타일

기능성을 가진 타일 시장은 각종 타일 업계와 유통 회사 등이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국내에서는 수입 타일 중 중국산의 타일이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고 작품성이 뛰어나며 매우 아름답고 품질이 높은 이탈리아, 스페인의 제품은 국내 시장의 10%를 점유하고 있다. 수입 타일의 브랜드를 판매하는 자재 유통업체는 주로 서울 논현동에 밀집되어 있다[11].

‘포인트(Point)’는 점, 요점이라는 본래의 뜻이 있지만 디자인상 강조되는 곳이나 끌어당기는 부분을 말한다. 악센트보다 강한 디자인의 초점을 말하고 이렇게 시선집중을 하는 포인트 타일은 비교적 고급 마감재로 사용하고 있고 리모델링 시장의 활성화로 수요층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설치되는 용도를 살펴보면 욕실, 주방, 거실, 현관, 기타 빈 공간에 쓰이고 활용도가 매우 많은 편이다. 특히 요즘 시대에는 독특하고 개성이 있 는 나만의 문화가 활성화되고 나만의 공간을 꿈꾸는 소비층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1인가구가 늘어나면서 포인트 타일 같은 개성적인 인테리어 시공이 유행하고 있 는 것이다[12].

아트타일(art tile)이란 한 조각한 조각이 서로 다른 이미지, 색상, 패턴으로 하나의 아름다운 벽면 또는 다양하고 독특한 공간을 꾸미는 타일을 말한다. 아트타일인 포인트 타일을 구매하려는 이유는 밋밋한 타일과 대비되어 부분적으로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 들어간 타일로 전체적인 분위기에 활력을 주고 생동감을 부여하기 때문이다[13].

포인트 타일(pqint tile)은 자신이 원하는 공간을 취향에 맞게 꾸며주는 인테리어의 효과를 준다. 주방, 욕실, 발코니, 현관, 침대 헤드, 테이블 상판, 가구 등에 다목적으로 사용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공간을 조성해 주 기도 한다[14]. 이번 논문에서 타일을 이용한 작품 연구는 거실에 사용되는 벽 포인트 타일, 아트월, 주방의 부분 타일, 욕실에 사용되는 포인트 타일, 타일액자, 도판 등으로 제작하였다. 일부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입체적이고 현장에 적용되는 상황을 재현했다.

3. 주거공간에서 벽면 포인트 타일 활용 사례

타일 시장에서 최근에 포인트 타일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셀프 인테리어 타일을 구매하려는 수요층의 대부분은 문양이 없는 무지의 밋밋한 타일보다 장식적인 디자인의 패턴이 들어간 포인트 타일을 선호 한다[15].

국내의 새로운 경향에 민감한 수입타일 시장에서는 이탈리아, 스페인, 북유럽 등지에서 포인트 타일이 수입되어 주목을 끌고 있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타일 업체에서도 수요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서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나 품질이 우수한 고급 타일은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 포인트 타일의 장점은 첫 번째 전체를 같은 패턴으로 설치하여 지루한 느낌을 유발하는 단점을 피하고 포인트를 주고 싶은 부분에 타일을 장식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두 번째 문양이 없는 밋밋한 타일에 감각적인 문양과 그림을 디자인하면 타일에 고급스러움과 생동감을 부여하게 된다. 세 번째 기타 여러 가지 재료(대리석, 벽지)보다 가격이 저렴하여 셀프 인테리어에 적합한 품목이고 열전도율이 높아 겨울에는 따뜻한 느낌을 유발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느낌이어서 기능적으로도 매우 적합하다. 네 번째 타일의 쓰임새도 건축 전체가 천편 일률적인 패턴으로 치장하지 않고 포인트 타일 자체로도 인테리어가 될 수 있다.

타일의 시공 범위는 발코니, 욕실, 주방, 현관, 거실 등을 넘어서 침대 헤드나 티 테이블 상판, 가구에 접목시킨 아트타일 등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다. 이번 논문의 관점은 벽면에 사용된 타일 연구로써 욕실, 주방, 거실, 기타 빈 공간에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디자인하는 패턴으로 연구하려고 하는데, 기존의 벽면 포인트 타일의 패턴과 장식적 효과를 [표 4]를 통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욕실은 세안, 목욕 등을 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욕실 안에 화장실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일반적으로 건축한 주택이나 아파트에서는 큰 방에 화장실과 욕실을 겸한 공간을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18]. 욕실 인테리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타일이다. 위생적이기도 하며 습기가 생기는 곳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욕실의 완성은 타일을 어떻게 배치하는 것에 따라 전체적인 공간에서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잠시 머무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아로마 램프스파를 통한 휴식 공간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이번 논문에서는 욕실과 화장실에서 심신의 안정을 느낄 수 있는 자연 스러운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Ⅳ. 작품제작 및 시뮬레이션 분석

1.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Colored Glass Technique)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의 제작 준비 과정은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의 제작 준비 과정 순서 사진 설명

CCTHCV_2020_v20n12_460_t0005.png 이미지

2. 타일 제작 방법

타일 벽장식의 연구를 위해 전통 기법인 귀얄 기법, 면치기 기법, 방염 기법, 상감기법을 동원하여 포인트 타일의 다양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단순하고 밋밋한 느낌을 피하고 재미와 회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벽면을 휴식의 공간으로 꾸밀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네 가지의 실험 방법의 효과를 [표 6]을 통하여 알아본다.

표 6. 4가지의 실험 방법 효과

CCTHCV_2020_v20n12_460_t0006.png 이미지

3. 타일장식 효과

벽장식 아트 월(Art wall)은 건물의 벽면을 조형물이나 그림 등으로 꾸며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벽장식 타일의 장식적인 효과와 소비자 선호도에 부합한 아트 월 타일 제작을 위해 네 가지의 전통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림 2]는 귀얄 기법을 이용한도 판타일이고 [그림 1]의 압인 도구와 귀얄 기법을 이용하여 효과를 낸 도판 타일이다. 다양한 장식의 스토리 전개를 위해서 여러 가지 문양들을 수집하고 소지를 이용한 초벌과 석고 등을 활용하여 압인 도구를 제작한 다. [그림 1]의 압인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문양들을 화면에 전개하여 압인한다. 그 위에 준비된 색유리와 화장토를 희석하여 귀얄 붓으로 칠한다. 소성 후 도판 에 나타난 색감들은 원래의 색을 일부 그대로 나타내면서 부분적으로 갈색 계열의 그라데이션(Gradation)이 형성되었고 압인된 문양들은 음양이 확실히 드러나 조각한 느낌을 준다. 또한 군집 형태의 점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점묘법과 같은 회화적인 느낌이 난다. 주방의 싱크대 외면과 아크릴 액자, 대형 벽화 타일로 사용되었다. [그림 3]과 [그림 4]는 네 가지 기법인 귀얄, 면치 기, 방염, 상감기법을 실험한 타일들을 시뮬레이션해서 아트 월을 만든 것인데, 귀얄 기법의 붓 자국과 기포가 형성된 독특한 질감으로 나타나고 중간 색상으로 부드럽게 발색된 면치기 기법은 면의 분할로 색감의 차이가 발생하고, 방염 기법의 나뭇잎 안쪽의 갈색 그라데이션은 생기 넘치는 따뜻한 느낌이 표면에 형성되었고. 상감기법의 양각 부분을 깎아낸 효과는 음각 안쪽의 색감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이렇게 발색된 색다른 문양의 효과는 기존의 대량생산된 타일과는 확연하게 다른 자연스러운 디자인을 만들어냈고, 핸드메이드(Hand Made)의 타일 효과는 빠르게 바뀌는 소비자의 기호에 적용된 새로운 장식기법이다. 사용된 부분은 거실, 욕실 및 빈 공간에 장식하여 방안을 모색하였다.

CCTHCV_2020_v20n12_460_f0001.png 이미지

그림1. 압인도구와 압인과정

CCTHCV_2020_v20n12_460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귀얄 도판 타일 효과

CCTHCV_2020_v20n12_460_f0003.png 이미지

그림 3. 기법 적용 타일 효과 시뮬레이션

CCTHCV_2020_v20n12_460_f0004.png 이미지

그림 4. 기법 적용 타일 효과 시뮬레이션

4. 타일 장식의 시뮬레이션(Simulation) 분석

시뮬레이션(simulation)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실제와 비슷한 모형을 만들고 모의적으로 실험하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번 논문에서 여러 가지의 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포인트 타일과도판 을 가상의 실내 사진(거실, 욕실, 주방, 기타 공간)을 수집하여 효과를 모의적으로 분석한다.

시뮬레이션(simulation)은 포토샵(Photo shop), 그림판 등 컴퓨터용 사진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필요한 위치를 선정하고 선정된 이미지 위에 원하는 포인트 타일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포인트 타일을 구매하려는 이유는 밋밋한 타일과 대비되어 다양한 패턴이 들어간 타일을 이용하여 집안에 생동감을 부여하고 활력을 주기 때문이다. 포인트 타일은 자신이 원하는 공간을 취향에 맞게 꾸며주는 인테리어 효과를 말한다.

이번 논문에서 타일을 이용한 작품의 연구는 거실에 사용되는 벽 포인트 타일과 주방, 욕실, 기타 빈 공간에 포인트 타일, 아크릴 액자, 대형 도판 타일 등으로 제작하고 실제로 설치하기 어려운 부분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현장감 있게 분석하여 설명하였 다.

첫 번째, 거실에 사용되는 포인트 타일이다. 거실의 공허한 부분을 택하여 포인트 타일로 설치하게 되면 집안에 생동감이 넘치는 느낌을 부여해준다. 기존에 많이 사용하던 기타 여러 재료 또는 그림과는 차별되는 아이템이다. 중간색 계열의 자연색은 원색의 색감에서 느끼는 매너리즘과 피로감을 해소하고 더욱 안락함을 느끼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과 귀얄 기법, 방염 기법, 면치기 기법, 상감기법 등을 디자인에 융합하고 색상의 다양성을 위하여 소성방법을 산 화와 환원으로 하였다. 단조로운 벽면을 다양한 기법과 중간색 계열의 색유리를 이용한 포인트 타일 개발은 기존의 거실에 사용된 포인트 타일의 여러 가지보다 좀 더 세련되고 독보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타일 유통 시장 에서 소비자에게 좋은 반응을 이끌어낼 것이다.

CCTHCV_2020_v20n12_460_f0005.png 이미지

그림 5. 거실에 사용된 포인트 타일

두 번째, 욕실에 활용할 수 있는 부분 타일이다. 세면과 목욕이나 볼 일을 보는 곳으로 잠시 머무는 공간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단순한 목적만을 위해 공간에 입실하는 용무 외에 아로마 테라피를 이용하여 심신을 안정시키는 휴식 공간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빈 공간을 이용하여 포인트된 타일을 장식하게 되면 편안한 마음의 휴식과 활력을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색감으로 조합한 포인트 타일은 중간색 계열이기 때문에 서로 조화롭게 이루고 문양들의 다변화로 벽면에 회화성을 부여한다. 건조 후 바로 소성하기 때문에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CTHCV_2020_v20n12_460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욕실에 사용된 포인트 타일

세 번째, 주방에 사용되는 부분 타일인데, 기존의 주방은 단순하고 보편적인 패턴이 대다수였지만 이번 연구된 타일로 싱크대 상하부장 외면에 마감하게 되면 새로운 연출의 주방 분위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금 더 연구하게 되면 가구의 여러 부분에 부착하여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CCTHCV_2020_v20n12_460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주방에 사용된 포인트 타일

네 번째, 벽면에 사용된 도판 타일과 이를 이용한 아크릴 액자이다. 기존의 여러 가지 장식품들이 있지만 도판 타일과 액자를 만들고 도판으로 벽면을 장식하게 되면 다른 재료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장식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압인된 문양의 다양한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은 중간 색감들과의 조화를 이룬다면 거실, 주방, 욕실, 방 외에도 빈 공간의 인테리어 장식 효과는 따뜻하고 아늑한 공간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CCTHCV_2020_v20n12_460_f0008.png 이미지

그림 8. 도판 타일과 아크릴 액자

다섯 번째, 벽화 대형 타일이다. 큰 벽면을 최대한 크게 제작하여 감동을 주고 공간의 허함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우측은 시뮬레이션된 사진인데, 벽면을 이용하여 개발하고 자유로운 색감의 디자인을 선택하게 되면 매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모던한 공간에 어울리는 디자인이다. 아크릴 액자를 도판 타일을 이용하여 장식할 경우 통일감을 주면서 안정적인 휴식공간이 될 수 있겠다.

CCTHCV_2020_v20n12_460_f0009.png 이미지

그림 9. 벽화 대형타일

5. 결과 도출 과정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은 색유리와 화장토를 이용한 새롭게 개발된 기법인데, 이를 이용하여 도자기 타일 소지에 적용하고 단순하게 기법의 필요성을 넘어서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인테리어 타일을 제작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번 논문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법은 서론의 연구 방법 및 범위에 잘 정리되어 있지만 모식도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CCTHCV_2020_v20n12_460_f0010.png 이미지

그림 10. 모식도

Ⅴ. 결론

우리의 삶의 변화는 시대적 환경에 따라서 실내 공간을 바라보는 의식과 관점이 바뀌었다. 주택의 형태도 혼족이 많아지게 되면서 원룸과 오피스텔의 점유가 높아지고 아파트가 주거의 대세를 이루고 있다. 주택의 환경 변화는 삶의 질이 향상했지만 획일화된 주변 환경으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실내의 아름다운 환경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테리어를 원하고 있다. 공간 활용에 필요한 벽장식 타일은 건축 자재로서 기능적인 요소를 넘어서 우리의 정서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의 타일 구매 스타일은 시대적인 환경과 관점의 변화로 기존의 일반적 디자인에서 탈피한 독특한 나만의 포인트 타일을 원하고 있다. 대량 생산된 대다수의 단조롭고 보편적인 디자인의 식상함과 지루함을 탈피하여 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나만의 공간을 원하고 만들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수입 타일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일은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대안의 방법은 색유리와 화장토를 희석하여 새롭게 개발된 플래스터 기법을 동원하여 벽장식 타일을 개발하였다. 벽장식의 공간 활용 부분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욕실, 주방, 거실, 기타 빈 공간을 가상으로 디자인하고 분석하였다. 포인트 타일의 디자인 구성은 전통 기법인 귀 얄 기법, 방염 기법, 면치기 기법, 상감기법을 융합하여 수입 타일과 차별화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벽장식 방안 연구는 첫째, 거실의 벽에 디자인하였다. 거실은 가족 외에도 다양한 접객인들이 왕래하는 곳이고 이 장소를 통하여 개인적인 취향과 정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장소이다. 수입 타일에 대체할 수 있는 한국 전통 기법을 동원한 중간색 계열의 포인트 타일을 이용하여 거실의 빈 공간을 찾아내어 설치하였는데, 거 실 분위기가 회화 작품을 걸어놓은 듯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나타냈고 공간의 단순하고 밋밋함을 해소시켜 안락함을 느끼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둘째, 욕실을 이용한 벽장식 활용 부분인데, 욕실은 그동안 대체적으로 목적을 가지고 잠시 머무는 공간으로 사용되었지만 눈높이의 벽면에 포인트 타일을 구성하여 부착하게 되면 벽면의 타일을 통해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따뜻한 감성을 유발하여 용무 외에 아로마 테라피를 이용한 스파 (Spa)를 즐길 수 있다. 셋째, 주방은 단조로운 디자인의 싱크대가 대세를 이루고 밋밋한 표면으로 인해 음식의 조리 장소로만 사용되었다. 싱크대의 상하부장 외면에 타일 장식을 붙여서 갤러리와 같은 분위기를 창출하고 빈 공간에 포인트를 주는 타일을 붙이게 되면 조리 외에 즐거운 감성을 느끼게 하여 휴식을 겸한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겠다, 싱크대 상하부장을 이용한 변화된 디자인은 기존의 주방 공간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는 빈 공간을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인데, 도판과 아크릴 액자로 벽면에 시뮬레이션을 하고 연구하였다. 특히 [그림 7]의 빈 벽 부분에 대형 타일을 이용하여 활용한다면 새로운 느낌의 벽장식으로 발전시킬 수 있겠고, 일반적인 액자보다 아크릴을 이용한 포인트 타일 액자를 사용하면 귀한 골동품 같은 엔틱하면서 자연스러운 중간색 톤의 느낌을 느끼게 해준다. 구체적인 생산라인을 구축하게 되면 대중적인 유행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방안을 토대로 벽포인트 타일을 개발하면 수입산에 의존하던 타일을 일부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김문희, 실내공간의 벽장식을 위한 도자 표현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 박은비, 도자 벽장식을 통한 시간의 시각적 표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3. 남궁연, 타일산업 경쟁력 조사, 무역위원회, 2004.
  4. 오정아, "국내 중소형 아파트의 실내 디자인 특성 사례 분석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제38권, 제38호, pp.37-56, 2014.
  5. 박정환, 陶製 壁裝飾의 表現技法에 關한 硏究,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6, 2006.
  6. 강현순, 마감재로서 도자기 타일의 디자인 적용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7. 조항근, "타일제조의 현황과 향후 전망," 한국세라믹학회지, 제7권, 제4호, pp.363-377, 1992.
  8. 박수정, 도자타일 디자인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76, 2002.
  9. 최아영, 장식용 도제 타일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3, 2012.
  10. 최정은, 室內 원기둥 타일 개발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84, 2002.
  11. 송연옥, 도자공예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7, 2002.
  12. 김보현, 아파트 거실 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과 차별화 방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69, 2007.
  13. 박안나, 식물을 모티브로 한 아트타일(art tile)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01, 2012.
  14. 윤장식, "아트타일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제1권, 제1호, pp.117-129, 2005.
  15. 양찬효, 한국 단청의 금문을 활용한 아트타일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2, 2019.
  16. 서울문화사 편집부, 거실인테리어, 서울문화사, 1998.
  17. 뿌리 깊은 나무, 거실꾸미기, 대원사, 2003.
  18. 이민정, 욕실변화에 따른 아파트 공간계획변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88,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