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production of the Dyeing Technique Used for the Small Flower Pattern Clamp Resist Dyed Fine Tabby in Amitabha of 1302

1302년 아미타불복장 소화문협힐견(小花紋��纈絹) 염색기법 재현

  • Choi, jungim (Dept. of Traditional Arts and Craf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Sim, Yeon-ok (Dept. of Traditional Arts and Craf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최정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
  • 심연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 Received : 2019.03.29
  • Accepted : 2019.05.07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Clamp resist dyeing is a resist dyeing technique in which a fabric is sandwiched between two or more pieces of woodcarving and then a pattern is expressed by dyeing. Records from nine years of King Heungdeok's reign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show that the use of the clamp resist dyeing technique was banned for different garments. This was only for garments of YOOKDUPUMNYEO (六頭品女) or OHDUPUMNYEO (五頭品女). Given this, it can be assumed that clamp resisted fabrics were widely used, and the technique had been established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or before. However, only the term can be found in the records. Neither its definition nor how this technique was used is explained. Also, it is difficult to assume the types and features of clamp resist dyeing due to a lack of materials. A small number of relics from the Goryeo dynasty still remain, though. Craft techniques have developed through international exchanges and have changed according to respective nations' circumstance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Hence, this research analyzed documents and relics from China and Japan, two countries neighboring the Republic of Korea, and studied the different types and features of clamp resist dyeing techniques. Clamp resist dyeing techniques were divided into monochromatic or multichromatic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lors that represented patterns, rather tha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nations' features. They were also classified into mono, bilateral symmetry, or vertical-bilateral symmetry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atterns. Through the study of examples of inherited or reproduced dyeing techniques in China and Japan,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 engraving techniques, including relief, openwork, intaglio fit for the feature of a pattern and the number of colors, were applied in order to vividly represent patterns on fabric. Using small flower pattern clamp resist dyed fine tabby in Amitabha of 1302, the only relic showing its patterns and colors in Korea, as the experiment subject, this research successfully reproduced a clamp resist dyeing technique through a successful experiment based on the basic materials from the dyeing technique case study. Due to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ment on a clamp resist dyeing technique that stopped its transmission and shows the features of the techniqu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basic resource that can be used for future reproductions of multichromatic clamp resist dyeing techniques. Also,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widening and recreating the world of Korean pattern dyeing with modern dyeing techniques.

협힐(��纈)은 직물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조각한 목판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염색하여 무늬를 표현하는 방염(防染) 기법이다. 통일신라 흥덕왕 9년 복식금제(服飾禁制)에는 육두품녀(六頭品女)와 오두품녀(五頭品女)의 여러 가지 복식 품종에 협힐 사용을 금한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보아 협힐 직물이 당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협힐 기법도 통일신라시대 또는 그 이전에 완성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문헌 자료에는 용어만이 언급되었을 뿐 염색 기법이나 정의에 대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유물도 고려시대의 것만 극히 소량 남아 있어 협힐의 유형이나 특징을 알 수 없다. 공예 기술은 각 나라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요인에 의해 변화하며 주변국과의 교류를 통해 발전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의 문헌 및 유물을 조사 분석하여 협힐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협힐은 국가별 특징보다 무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색의 가짓수에 따라 단색(單色)과 다색(多色)으로 나누어지며, 무늬 구조에 따라 단독(單獨) 좌우대칭(左右對稱) 상하좌우대칭(上下左右對稱)으로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 전승 및 재현되고 있는 염색 기법의 사례를 연구한 결과 직물에 무늬가 잘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색의 가짓수와 무늬의 특징에 맞추어 협힐판을 양각(陽刻) 투각(透刻) 음각(陰刻)으로 각각 다르게 조각하여야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무늬와 색이 온전히 남아 있는 유일한 유물인 1302년 아미타불복장 소화문협힐견을 실험 대상으로 삼고 염색 기법 사례 연구에서 얻어진 기초자료를 근거로 실증적 실험을 통해 협힐 기법을 재현하였다. 본 논문은 추후 계속 연구할 협힐 기법 재현에 활용될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전승되고 있지 않는 협힐 기법의 재현을 시도하여 기법의 특징을 확인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리고 현대적인 무늬 염색 기법과 접목시켜 한국적 무늬 염색의 세계를 넓히며 재창조하는 데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삼국사기
  2. 동대사헌물장
  3. 안록산사적
  4. 왜명류취초
  5. 중화고금주
  6. 한원
  7. 국립대구박물관, 2013,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불복장, 포핀, p.67
  8.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우리나라 전통무늬 직물, (주)눌와, pp.150-151
  9. 국립중앙박물관, 2015, 발원, 간절한 바람을 담다: 불교미술의 후원자들, (주)지앤에이커뮤니케이션, p.96, 178
  10. 김영숙, 1995, 고려시대 후기 불복장직물의 일고찰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1302년 아미타불 복장직물을 중심으로- 문화재 Vol.28, 국립문화재연구소, p.134
  11. 김영숙, 1997, 조선 전기 불복장직물의 이해 - 흑석사 아미타불 복장직물, 도서출판 미술문화, p.62
  12. 김지희, 2003, 자연염색에 의한 삼힐 문양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43
  13. 수덕사 근역성보관, 2004, 지심귀명례 - 한국의 불복장 특별전, 신명기획, p.46
  14. 심연옥, 2002,한국직물 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pp.300-301, 305-306
  15. 온양민속박물관, 1991, 1302년 아미타불 복장물의 조사 연구, (재)계몽문화재단 온양민속박물관, p.133
  16. 이정은, 2018, 고대 협힐염 재현방법 연구, 한국전통복식연구소 학술심포지엄 Vol.2018 No.10, pp.15-17
  17. 정은우.신은제, 2017, 고려의 성물, 불복장, 경인문화사, p.178, 191
  18. 조효숙, 1992, 한국 견직물 연구 -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92
  19. 허흥식.남권희.김영숙.권순정, 1999, 고려의 불복장과 염직, 계몽사, pp.27-28, p.46, 74, 214, 238, 245
  20. 国家文物局 中国科学技术协会, 2008, 奇迹天工 - 中国古代发明创造文物展, 文物出版社, p.73
  21. 郑巨欣, 2009, 浙南夹缬, 苏州大学出版社, pp.108-115
  22. 赵丰, 2007, 敦煌丝绸艺术全集, 东华大学岀版社, p.162, 168, 172
  23. 黃永松, 1997, 夾纈, 英文漢聲出版有限公司, p.10, 75
  24. 吉岡幸雄, 1984, 染織の美 第30号, 京都書院, p.42
  25. 松本包夫, 1984, 正倉院裂と飛鳥天平の染織, 紫紅社, p.70
  26. 正倉院事務所, 1963, 正倉院宝物 染織 上, 朝日新聞社, p.77
  27. 中野政樹.平田寛.阿部弘.菊竹淳一, 1992, 正倉院と上代絵画, 講談社, p.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