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려시대 쌍룡문경(雙龍紋鏡) 유입(流入)과 독자성(獨自性)

Inflow at Ssangyongmun Gat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Its Identity

  • 최주연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 Choi, Juyeon (Department of Art History,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9.03.25
  • 심사 : 2019.05.07
  • 발행 : 2019.06.30

초록

용(龍)은 동서양 전설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 속 동물이다. 서양의 용은 대부분 공격적이고 부정적 의미로 표현되지만, 동양에서는 황제를 상징하거나 상서로운 의미를 갖고 있어 긍정적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용은 물을 다스리는 신물(神物)로 여겨져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를 형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고려시대 용과 관련된 기록은 "고려사"에서 다양한 주제로 등장하며, 크게 건국설화 기우제 신이(神異) 등과 관련되어 있다. 건국설화는 용을 통해 고려 왕권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왕(王)=용손(龍孫)'이라는 '용손의식(龍孫意識)' 형성에 영향을 끼친다. 또한 용의 특징인 물을 다스리는 능력은 가뭄에 비를 바라는 기우제와 관련한 토용(土龍)으로 상징화된다. 이와 같은 용의 다양한 성격 중 용이 왕실의 상징이기에 용문(龍紋)의 사용은 민간에서 엄격히 제한되었으며, 용을 소재로 한 용문경(龍紋鏡) 역시 그 제작 사용에 있어 왕실과의 연관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고려시대 쌍룡문경(雙龍紋鏡)은 종류 수량이 많은 편으로 중국에서 유입된 동경(銅鏡)과 함께 국내에서 제작한 쌍룡문경이 혼재하면서 고려시대 쌍룡문경의 제작과 유통은 다른 동경에 비해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10~14세기 중국에 존재한 다양한 쌍룡문경의 특징을 정리했다. 고려의 장인들은 쌍룡문경을 제작할 때 중국 쌍룡문경의 문양 구성에서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국 쌍룡문경과 국적을 판별하기 어려운 예가 많으며, 그 차이 또한 면밀한 분석을 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려는 유입된 쌍룡문경을 그대로 답습했던 것은 아니며, 자체적으로 제작하고자 했음을 국내 현존하는 쌍룡문경의 유형 분류를 통해 살펴보았다.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쌍룡문경은 요대(遼代) 동경 계열인 I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외 II III 유형에서는 수량은 적으나 문양 구성이 독특한 쌍룡문경이 있어 고려에서 제작한 쌍룡문경으로 분석했다. 고려시대 쌍룡문경은 중국의 영향 하에서 제작된 만큼 고려에서 제작한 동경과의 구분이 어렵다는 점을 앞서 언급했다. 이중 평창 월정사 구층석탑에서 발견된 쌍룡문경은 그 제작지에 대한 의문점이 있으며, 동경의 문양 구성도 중국 쌍룡문경에서 찾아볼 수 없는 예이기에 이 동경에 대한 제작지를 검토했다. 이 쌍룡문경은 I 유형에 속하는 동경의 문양 구성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세부 문양의 조합이 중국에서 찾기 힘든 예라는 점에서 요대 동경의 문양 구성을 차용하여 고려에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e dragon is an imaginary animal that appears in the legends and myths of the Orient and the West. While dragons have mostly been portrayed as aggressive and as bad omens in the West, in the Orient, as they symbolize the emperor or have an auspicious meaning, dragons signify a positive meaning. In addition, as the dragon symbolizes the emperor and its type has been diversified considering it as a divine object that controls water, people have tried to express it as a figure. The records related to dragons in the Goryeo dynasty appeared with diverse topics in 'History of Goryeo' and are generally contents related to founding myths, rituals for rain, and Shinii (神異), etc. The founding myth emphasizes the legality of the Goryeo dynasty through the dragon, and thi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dragon's descendants. In addition, the ability to control water,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dragon, was symbolized as an earth dragon related to the rainmaking ritual, i.e., wishing for rain during times of drought. Since the dragon was the symbol of the royal family, the use of the dragon by common people was strictly restricted. Furthermore, the association of a bronze dragon mirror with the royal family is hard to be excluded. The type and quantity of bronze double dragon mirrors discovered to have exis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great, and the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of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seem to have been more active compared to other bronze mirrors, as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produced during Goryeo and bronze mirrors originating in China were mixed.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bronze mirrors from the 10th century to the 14th century in China were examined. It seems that the master craftsmen who produced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influenced by Chinese composition patterns when making the mirrors. Because there were many cases where a bronze mirror's country of origin could not easily be determin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bronze double dragon mirrors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bronze mirrors produced in China, meticulous analysis was required. Thus, to ascertain that Goryeo mirrors were not imitations of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originating in China but produced independently, the mirrors were examined using the bronze double dragon mirror type classification system existing in our country.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I, which has the style of the Yao dynasty, includes the greatest proportion; however, despite there being only a small quantity for comparison, Types II and III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made in Goryeo because they have unique composition patterns. As mentioned above, distinguishing bronze mirrors made during Goryeo from bronze mirrors made in China is challenging because Goryeo bronze mirrors were made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Among them, since the manufacturing place of the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found at the nine-story stone pagoda in Woljeongsa Temple in Pyeongchang is questionable and the composition pattern of the bronze mirror is hard to find on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made in China, the manufacturing place of those bronze mirrors were examined. These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were considered as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made during the Goryeo dynasty adopting the Yao dynasty style composition pattern as aspects of the composition pattern belonged to Type I, and the detailed combination of patterns is hard to find in mirrors produced in China.

키워드

참고문헌

  1. 高麗史
  2. 高麗史節要
  3. 東人之文四六
  4. 三國史記
  5. 三國遺事
  6. 帝王韻紀
  7. 고려 동경 거울에 담긴 사람들의 삶, 2012, 국립중앙박물관
  8. 대고려 918.2018, 그 찬란한 도전, 2018, 국립중앙박물관
  9. 미국 보스턴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 2004, 국립문화재연구소
  10. 월정사성보박물관 도록, 2002, 월정사성보박물관
  11. 한국의 문양 龍, 2003, 국립대구박물관
  12. 한국의 화장도구, 2010,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13. 故宮博物院 編, 2007, 故宮收藏 妳應該知道的200件銅鏡, 紫禁城出版社
  14. 臺灣國立故宮博物院, 2015, 皇帝的鏡子
  15. 劉國仁, 2003, 中華龍紋鏡, 黑龍江省人民出版社
  16. 上海博物館 編, 2005, 練形神治瑩質良工 - 上海博物館藏銅鏡精品, 上海書畵出版社
  17. 遼寧省博物館 編, 2014, 淨月澄華 - 遼寧省博物館藏古代銅鏡, 遼寧大學出版社
  18. 淨月澄華: 息齋藏鏡, 2001, 臺灣 國立歷史博物館
  19. 建國1100年 高麗 -金屬工藝の輝きと信仰-, 2018, 大和文華館
  20. 高福升, 2014, 韓.中 龍 傳承의 政治.宗敎的 比較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나선화, 2006, 부안 유천리 상감청자의 국제성 부안 유천리 고려도자, 전라북도 부안군, pp.206-218
  22. 송일기, 2002, 五臺山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出土 '全身舍利經'의 考察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3, 한국도서관.정보학회, pp.311-325
  23. 서영대, 2002, 용, 그 신화와 문화 [2]: 한국편, 민속원
  24. 안경숙, 2015, 高麗 銅鏡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王大有 著.林東錫 譯, 2002, 용봉문화원류, 동문선
  26. 오세정, 2016, 고려 건국신화 <고려세계>의 서사구조 연구 古典文學硏究 Vol.49, 한국고전문학회, pp.71-97
  27. 李蘭暎, 1983, 韓國의 銅鏡,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8. 李蘭暎, 2003, 高麗鏡 硏究, 통천문화사
  29. 이송란, 2010, 高麗時代 月精寺 八角九層石塔 舍利具의 銅鏡 埋納의 樣相 博物館紀要 Vol.25, 단국대학교 박물관, pp.79-98
  30. 李鍾玟, 2009, 高麗靑瓷 龍 裝飾의 樣式的 系譜와 編年 역사와 담론 제53권, 湖西史學會, pp.337-375
  31. 주경미, 2011, 고려시대 월정사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再論 진단학보 Vol.113, 진단학회, pp.61-97
  32. 주영민, 2011, 高麗 墳墓 출토 銅鏡 연구 영남고고학 제56호, 영남고고학회, pp.131-170
  33. 崔鍾成, 1998, 國行 무당 祈雨祭의 歷史的 硏究 震檀學報 86, 震檀學會, pp.49-72
  34. 치둥팡, 2007, 거울과 환영 - 당대 동경을 중심으로 미술사논단 Vol.24, 한국미술사연구소, pp.39-61
  35. 黃貞淑, 2006, 고려 중.후기 사상을 통해 본 동경 문양의 상징성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蘆博文, 2016(10), 遼代銅鏡中龍紋样式初探 藝術科技, 浙江舞台設計研究院, p.227
  37. 劉淑娟, 1997, 遼代銅鏡硏究, 沈阳出版社
  38. 楊柏林, 1988(01), 金代雙龍紋銅鏡和肇龍紋园鏡 黑河學刊, p.121
  39. 王明達, 1981(03), 也談我國神話中龍形象的産生 思想戰綫, pp.55-58
  40. 伊葆力, 2002(09), 中國古代銅鏡上的龍紋飾 哈爾濱學院學報, pp.95-101
  41. 李建廷, 2010(08), 遼代雙龍紋鏡 收藏, 陕西省文史館, pp.96-97
  42. (日)伊藤清司 著.張小元 譯, 2003(02), 龍的起源論 思想戰綫, pp.107-112
  43. 王宏, 2012(01), 龍圖耀金鏡 寶鑑照妝奩 歷代龍纹銅鏡擷英 收藏, 陕西省文史館, pp.72-79
  44. 傳擧有, 2008, 龍鏡硏究 - 中國銅鏡史硏究之一 湖南省博物館館刊, 湖南省博物館, pp.329-347
  45. 彭雪飛, 2011(07), 龍文化在龍鏡上的演繹(上) 東方收藏, 福建日報報業集团, pp.58-61
  46. 彭雪飛, 2011(08), 龍文化在龍鏡上的演繹(下) 東方收藏, 福建日報報業集团, pp.6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