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Inquiry Activity Types Presented in the 5th &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투고 : 2019.09.25
  • 심사 : 2019.11.20
  • 발행 : 2019.11.30

초록

In this study,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5^{th}$ & $6^{th}$ grade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science area. Science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5^{th}$ & $6^{th}$ graders contain quite divers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which are student-centered inquiry activities. There were comparatively higher proportions of inquiry types such as experiment & observation and simulation, but relatively lower of inquiry types of investigation-discourse & presentation, discussion, expressi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re expected to cultivate scienc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dering the science area, the motion & energy, substances, earth & space, and integration areas had the most experiment & observation among activity types, while the life area had the most simulation activities. Even in some area of the 6th grade science textbook, there was little or no data interpretation, discussion, and simulation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cience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revision of futur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순(2007).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물2교과서의 탐구영역 비교 분석. 과학교육연구논총, 23(2), 19-53.
  2. 교육과학기술부(2009).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별책 9].
  3. 교육부(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4. 교육부(2015b).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9].
  5. 김윤경, 김종영, 신명경(2016). 한국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3-4학년군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3), 362-376.
  6. 김정민(2008). 초등 과학교과 교사용 지도서 생명 영역 단원 및 차시 목표의 일관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27(1), 75-82.
  7. 김지은, 여상인(2014). 2007년 개정 초등 5, 6학년 과학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탐구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33(1), 21-29.
  8. 박재근(2017).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6(1), 43-60.
  9. 성승민, 이규호, 여상인(2016a). 화석 모형 만들기 탐구 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 6차,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등과학교육, 35(2), 229-242.
  10. 성승민, 채희인, 임희준(2016b).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2009 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67-175.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67
  11. 성혜진, 임희준(2018).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7(4), 391-401.
  12. 송신철(2018).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I 교과서의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생물교육, 46(2), 187-201.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2.187
  13. 송신철(2019).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탐구활동 유형 분석. 생물교육, 47(3), 310-323.
  14. 송신철, 심규철(2018).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생물교육, 46(1), 24-38.
  15. 송진웅, 나지연(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 현장과학교육, 9(2), 72-84. https://doi.org/10.15737/SSJ.9.2.201507.72
  16. 신명경, 이수정(2013). 과학탐구의 핸즈온 활동 내용, 사고 활동 내용, 논리적 구조 측면에서의 초등 과학 교과서 분석 - 지구와 우주 영역의 사례. 교과교육학연구, 7(4), 1483-1499.
  17. 심규철, 박종석, 박상우, 신명경(2007).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24-31.
  18. 엄장희, 배진호(2018). 토의․토론을 활용한 과학 실험수업이 과학학습동기,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7(2), 110-125.
  19. 이재봉, 김용진, 백성혜, 이기영(2010).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1), 140-154. https://doi.org/10.21796/JSE.2010.34.1.140
  20. 임용우, 김영수(2016).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과학교육 발전을 위한 종합계획의 변천. 생물교육, 44(2), 210-221.
  21. 조성호, 임지영, 이정아, 최근창, 전경문(2016). 과학 공학적 실천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35(2), 181-193.
  22. 하지훈, 신영준(2016). 핵심역량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35(4), 426-441.
  23. 한화정, 김남희, 홍보라, 심규철(2012).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과학 관련 창의, 인성교수 학습 활동 분석. 생물교육, 40(1), 158-166.
  24. 한화정, 심주혜, 심규철(2019).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생명과학의 이해 관련 단원의 탐구활동 분석. 생물교육, 47(2), 236-250.
  25. 황신영, 정영란(2013). 중학생의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3(4), 751-76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51
  26. Abd-El-Khalick, F., BouJaoude, S., Duschl, R., Lederman, N., Mamlok-Naaman, R., Hofstein, A., Niaz, M., Treagust, D. & Tuan, H. (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Science Education, 88(3), 397-419. https://doi.org/10.1002/sce.10118
  27. Ackerson, V. L., Morrison, J. A. & McDuffie, A. R. (2006). One course is not enoug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tention of improved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 194-213. https://doi.org/10.1002/tea.20099
  28.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12. https://doi.org/10.1023/A:1015171124982
  29. Asay, L. D. & Orgill, M. (2010). Analysis of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foun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science teacher, 1998-2007.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1), 57-79. https://doi.org/10.1007/s10972-009-9152-9
  30. Bartholomew, H., Osborne, J. & Ratcliffe, M. (2004). Teaching pupils "ideas-about-science": Five dimensions of effective practice. Science Education, 88, 655-682. https://doi.org/10.1002/sce.10136
  31. Bodzin, A. M. & Beerer, K. M. (2003). Promoting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The validation of the science teacher inquiry rubric (STIR). Th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5(2), 39-49. https://doi.org/10.1007/BF03173842
  32. Chiang-Soong, B. & Yager, R. E. (1993). The inclusion of STS material in the most frequently used secondary science textbooks in the U.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4), 339-349. https://doi.org/10.1002/tea.3660300403
  33. Greenfield, T. A. (1997). Gender and grade-level differences in science interest and participation. Science Education, 81(3), 259-27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6)81:3<259::AID-SCE1>3.0.CO;2-C
  34.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VNOS);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https://doi.org/10.1002/tea.10034
  35. Lucero, M., Valcke, M. & Schellens, T. (2013). Teachers' beliefs and self-reported use of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 public primary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8), 1407-1423. https://doi.org/10.1080/09500693.2012.704430
  36. Stroupe, D. (2015). Describing "Science Practice" in learning settings. Science Education, 99(6), 1033-1040. https://doi.org/10.1002/sce.21191
  37. Zhai, J., Jocz, J. A. & Tan, A.-L. (2014). Am I like a scientist?': Primary children's images of doing science in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4), 553-576. https://doi.org/10.1080/09500693.2013.791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