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 Code
Virtual and real, human life and significance in posthuman era
가상과 실재, 포스트휴먼 시대에 인간의 삶과 의미 부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human beings put the signification on the virtual and the real in the post-human era. To this purpose, we have used some of the discussions of Roland Barthes and Jean Baudrillard. We have pointed out that Barthes's arguments should be dealt with in the "Translinguistic" dimension of Emile Benveniste fo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n particular, when Barthes's theories are viewed in the context of semiotics, his analysis can be considered a practical example of Saussure's definition of semiotics, 'a life of signs in social life' most clearly.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Barthes's theories can be applied to the posthuman era. Baudrillard argues for the overthrow of virtual and real. He says that it does not matter what the original referent of the hyperreal is, and it no longer exists anymore. Hyperreal is not real, but now it has become a more obvious reality than reality. We do not meet the imagination in one sense, but experience it in all senses and immerse emotions as if we are facing reality.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virtual is not already defined, but it is a personalized experience. It is not just anyone else, or anything that I have experienced before, but a new personal experience that is new every time.
논문은 목적은 포스트휴먼 시대에 인간이 가상과 실재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바르트Roland Barthes와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논의 일부를 활용하였다. 우리는 바르트의 논의들이 본고의 목적을 위해 방브니스트Emile Benveniste가 제기한 '초언어학적Translinguistique'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바르트의 논저들을 기호학의 맥락에서 보았을 때, 그의 분석은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의 기호학에 대한 정의, '사회생활에서 기호들의 삶'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실천적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바르트의 이론들이 포스트휴먼 시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드리야르는 가상이 구성하는 사회를 상정한다. 그는 파생실재hyperreel의 원래 참조대상이 무엇이었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도 않는다고 말한다. 파생실재는 실재가 아니면서 이제는 실재보다 더 명백한 실재가 되어버린 것이다. 우리는 가상을 하나의 감각으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실재 혹은 현실을 마주하듯이 모든 감각으로 경험하고, 감정을 몰입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상에 대한 의미 부여는 이미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화된 체험으로 나타난다. 다른 누구와도, 혹은 이전에 경험했던 어떤 것이 아니라 매번 새로운 그때만의 개인적 경험인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