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alidity of Delimitation of City Center by Land Values and the Change in the Land Values of City Center

지가에 의한 도심 경계 설정의 타당성 및 도심의 지가 변화

  • Park, Jieu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지은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9.09.26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to set city center's boundaries in proportion to the highest land value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he original and the new city center. For this purpose, the land value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city of Busan as an example using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in 2000 and 2015.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delimitation city center's boundaries as a percentage of the highest land values depends on the flow of time or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of each city, so a careful approach should be taken. Second, the original city center's land valu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areas. However, given that the PLVI was moved to the new city center and new city center's land prices has increased, it is predicted that the new city center's area in Busan will grow further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로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의 특성 및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를 대상으로 2000년과 2015년의 표준지공시지가를 활용하여 도심 경계를 설정하고 원도심과 신도심의 지가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 8%와 10%를 적용해보았을 때 기존 연구의 도심 경계보다 도심의 범위가 넓게 추정되었다. 최고지가에 대한 비율로 도심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은 시간의 흐름 또는 각 도시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라지므로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둘째, 도심의 지가가 주변지역까지 미치는 파급력은 원도심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고지가지점(PLVI)이 신도심으로 이전되었을 뿐만 아니라 신도심의 지가가 많이 상승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앞으로 부산시의 신도심 지역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은, 2003, 부산시 공간구조 변천에 관한 연구: 인구, 고용, 지가분포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동회, 2010, "부산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2), pp.199-212.
  3. 구자웅.송예나, 2016, "도시철도 역세권의 지가분포 변동: 광주시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pp.423-436.
  4. 김감영, 2012, "대구시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4), pp.414-432.
  5. 김광성, 1984, 부산시 지가의 공간적 변화에 관한 조사연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령, 1992, "서울의 다핵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지가 및 서비스.업무 기능의 공간분석을 통하여," 지리교육논집 27, pp.31-53.
  7. 김원경, 1983, "부산시 지가의 공간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여대 논문집 15, pp.403-434.
  8. 김원경, 1984, "부산시 지가의 시기별 변화정도와 공간성에 관한 연구," 부산여대 논문집 16, pp.319-362.
  9. 김호용.김지숙.이성호, 2012, "도심경계설정을 위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 pp.42-54.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4.042
  10. 김현미, 2007, "지방도심 재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세무회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 pp.119-142.
  11. 김흥관, 2006, "GIS를 활용한 부산시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인구, 고용, 지가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 pp.204-214.
  12. 김흥관.여성준, 2008, "부산시 도심 기능의 유형별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 pp.174-182.
  13. 남기범, 1998, "서울 도심 사무업무활동입지의 변화와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 pp.85-102.
  14. 남영우, 1976, "지가에 의한 CBD 설정과 지가분포의 유형 분석," 지리학과 지리교육 6, pp.51-78.
  15. 류연택, 2009, "도심 재활성화를 위한 사회자본 및 파트너십 형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1), pp.38-55.
  16. 박상규, 2001, 부산시 도심 토지이용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병호.한상욱.인병철, 2008, "우리나라 대도시 도심쇠퇴의 패턴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3), pp.101-111.
  18. 박지은, 2012, "지가에 의한 도심경계 설정의 타당성에 관한 검토,"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5), pp.285-287.
  19. 부산광역시, 2011, 2030 부산도시기본계획, pp.99-111.
  20. 손세욱.유상혁, 2000, "대전시의 중심지 식별과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5(3), pp.51-66.
  21. 손태민.강대욱, 1988 "부산시 도심부의 범위설정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보 2, pp.65-77.
  22. 손현옥, 2009, 울산시 신구도심 내부구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서민철, 2014, "서울의 도심 및 부심 설정과 특화기능 탐색," 대한지리학회지 49(2), pp.275-298.
  24. 엄정희.여홍구, 2015, "부산광역시 신.구도심의 토지이용 특성 및 경계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5), pp.209-228.
  25. 이상율, 2003, "대구시 도심 토지이용 특성과 재개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 pp.592-607.
  26. 이선, 1978, "광주시 도심지역 설정과 지가분포의 회귀분석적 연구," 웅진지리 2.3, pp.61-86.
  27. 이용태, 1985, 대도시 CBD 설정: 대구시의 경우,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현욱, 1985, "광주시 지가분포의 변천과 공간분화," 대한지리학회지 32, pp.58-73.
  29. 이현욱, 1994, "지가변동에 의한 도시내부구조의 변화," 국토계획 29(2), pp.173-192.
  30. 이현욱, 2001, "지가에 의한 대도시의 토지이용예측: 5개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1), pp.83-95.
  31. 이현욱, 2014, "광주광역시 신,구도심의 기능분포특성 비교,"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pp.33-48.
  32. 임석회, 2014, "대도시 도심의 토지용도별 지가구조 분석: 대구시 중구의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482-501.
  33. 임석회, 2016, "대도시 도심부의 인구변동과 쇠퇴 양상의 변화: 도심쇠퇴의 이완과 도심회귀 증후의 검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pp.599-614.
  34. 임석회.송민정, 2013, "대도시 도심부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8(6), pp.856-878.
  35. 전명진, 1995, "다핵도시공간구조에서 통근행태: 서울대 도시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31(2), pp.223-236.
  36. 전호근, 1995, 부산시 지가와 기능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대영.김상수.김계현, 2009, "GIS를 이용한 지가분포특성에 따른 중심지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7(3), pp.65-70.
  38. 정현.윤창훈, 2002, "대구시 상업지역 지가의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8(2), pp.45-54.
  39. 주경식.서민철, 1998, "서울 도심의 경계, 기능 및 내부구조," 대한지리학회지 33(1), pp.41-56.
  40. 최창환.이동본, 2008, "부산시 도심지가의 분포특성과 도심기능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135, pp.171-181.
  41. 형시영, 2004, 지방 대도시의 도심재생 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황의창.여홍구, 2013, "대전시 신.구도심의 경계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6(3), pp.263-274.
  43. Bohnert, J. E. and Mattingly, P. F., 1964, "Delimitation of the CBD through Time," Economic Geography 40(4), pp.337-347. https://doi.org/10.2307/142385
  44. Bowden, M. J., 1971, "Downtown Through Time: Delimitation, Expansion, and Internal Growth," Economic Geography 47(2), pp.121-135. https://doi.org/10.2307/143041
  45. Gordon, P., Kumar, A. and Richardson, H., 1989, "The spatial mismatch hypothesis: Some new evidence," Urban Studies 26(3), pp.315-326. https://doi.org/10.1080/00420988920080321
  46. Murphy, R. E., Vance, J. E. Jr. and Epstein, B. J., 1955, "Internal Structure of the CBD," Economic Geography 31(1), pp.21-46. https://doi.org/10.2307/142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