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tential Job Seekers' Preferences on the Local Jobs: A Case of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 Cooperation in Gwangyang City

지역 일자리에 대한 잠재적 구직자의 선호도 분석: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 Received : 2019.09.27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Gwangyang City of Jeonnam Province, is one of the steel cities representing the Korea. Gwangyang Steelworks are the core of the local economy, and 59 firms of POSCO Outsourcing Partner Cooperation(POSPA) have been employed 9,300 to 9,500 peoples, and have been acted as an central incubator for job creation. POSPA, however, are suffering from the retirement of company in young age group, in their 20s and 3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tential job seekers' perceptions and job preferences for POSPA are suffering from job openings. In order to this research purpose, it used questionary survey, and sample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Eastern Jeonnam Province, Gwangju,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otential job seekers' perceptions for POSPA was low, and perceptions on firm and job opportunity information was lower. This characteristics were the same as those of respondents living in eastern South Jeolla Province. Potential job seekers, however, showed high preference for finding job at POSPA. A place-based policy considering the local labor market is needed to resolve the mismatch between the difficulty of finding a labor and the difficulty of finding a job.

전남 광양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철강 도시 중 하나이다. 광양제철소는 지역경제 핵심이며, 광양제철소 협력사 59개사는 9,300~9,500명을 고용하여 일자리 창출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20~30대 연령층의 지속적인 이직으로 구인난을 겼고 있다. 이 연구 목적은 잠재적 구직자를 대상으로 구인난을 겪고 있는 광양제철소 협력사에 대한 인지 및 취업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표본집단을 전남 동부 지역, 광주권, 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광양제철소 협력사에 대한 인지도는 낮았고, 기업 취업 정보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다. 이런 낮은 인지도는 광양시를 포함한 전남 동부 지역에 거주하는 잠재적 구직도 동일하였다. 하지만 협력사 취업 선호도는 비교적 높았다. 협력사에 대한 잠재적 구직자의 낮은 인지도는 구직자에게 구직난을, 협력사에게는 구인난을 겪게 하는 배경 중 하나로 판별되었다. 구직난과 구인난 간 미스매칭을 해소하기 위한 지역노동시장을 고려한 장소기반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중.경종수.정성훈, 2014, "산업구조 다양성과 고용창출 및 지역경쟁력 간 관계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786-800. https://doi.org/10.23841/EGSK.2014.17.4.786
  2. 김성락.김재훈, 2014, "연결망과 직업관이 일자리 질에 미치는 효과: 대졸 신규 입직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15(2), pp.127-154.
  3. 김영롱, 2019, "물리공간의 지리학에서 가상공간의 지리학으로: 정보통신지리학과 가상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가능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1), pp.70-83. https://doi.org/10.23841/egsk.2019.22.1.70
  4. 문남철, 2009, "일자리 창출과 소멸의 지역 간 격차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3(3), pp.423-433.
  5. 박소현.이금숙, 2016,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694-7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694
  6. 박영한.이정록.안영진 옮김, 2002, 노동시장의 지리학, 이정록한울아카데미 (= Fassmann, H. and Meusburger, P., 1997, Arbeitsmarktgeographie, Teubner).
  7. 박종훈.이경재, 2018, "지역별 노동시장 산업구조분석을 통한 청년층 고용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6), pp.425-452.
  8. 박종훈.이경재.이성우, 2018, "지역 노동시장의 산업구조를 고려한 청년층 고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4), pp.133-159.
  9. 박진희, 2005, "지역노동시장은 존재하는가?," 노동리뷰 10, pp.60-70.
  10. 송철복 옮김, 2014, 직업의 지리학, 김영사 (=Moretti, E., 2013, The New Geography of Jobs, Mariner Books).
  11. 안영진, 2001, "전남대학교 졸업생의 취업구조와 지역발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4(2), pp.37-56.
  12. 안영진, 2013, "대학 졸업생의 취업구조 및 취업이동의 특성과 지역발전: 전남대학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7(3), pp.337-350.
  13. 안은경.이희연, 2015,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pp.168-189.
  14. 이상일.심상완, 2012, "지역노동시장 권역 식별과 그 정책적 함의: 경남 지역의 사례," 지역고용노동연구 4(1), pp.23-47.
  15. 이상호, 2008. "지역노동시장권(LLMAs)의 측정과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8(4), pp.147-182. https://doi.org/10.22914/JLP.2008.8.4.006
  16. 이원호, 2016,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1(1), pp.41-56.
  17. 이정록, 2016, "기업도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 광양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1(6), pp.837-851
  18. 이정섭, 2011, "일자리 수급 불균형과 불일치의 지역 간 차이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5(3), pp.439-453.
  19. 이정섭.은석인, 2013, "전라북도 14개 시군의 일자리 창출과 직주 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2), pp. 239-258.
  20. 최오금, 2005,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이동에 관한 연구: 임금일자리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5(1), pp.1-42.
  21. 최재우.강운선, 2015, "4년제 대학졸업 구직자의 구직선호 유형과 성별과 졸업대학 소재 지역에 따른 차이," 동아인문학 33, pp.633-652.
  22. 최창곤, 2011, "전북 지역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특징," 지역고용노동연구 3(1), pp.29-46.
  23. 홍성우, 2009, "광주지역 노동시장 특성과 일자리창출전략," 지역노동연구 19(2), pp.85-115.
  24. IBK경제연구소, 2018, 좋은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의 특성 분석.
  25. https://www.posco.co.kr/homepage/docs/kor5/jsp/company/posco/s91a6020110c.jsp

Cited by

  1.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vol.23, pp.1,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93
  2. 광양지역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해결방안: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vol.24, pp.1,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21.2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