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itique of the Revitalization Trajectory of Bilbao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 경로

  • 김경환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
  • 문승희 (강원테크노파크) ;
  • 정혜윤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교육학과 지리학전공) ;
  • 홍진기 (산업연구원)
  • Received : 2019.09.26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Bilbao, Spain, made a mark as a example of the regional revitalization by culture and tourism. Korean Government have a perspective that culture and tourism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regional crisis of manufacturing in 2018.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al specificity and the revival strategies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of Bilbao in a structural context. This could provide implications to the regional crisis of Korea.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local government of Bilbao has taken an active role, using not only its political and financial autonomy but also its locational advantage as an important nodal region of transnational trade networks in Europe. Secondly, Bilbao was able to sustain its regional revitalization initiatives for a long period by facilitat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system. Finally,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the mega project and place marketing, low job security and the polarization of the service sector have emerged as a problem at the same time. Still, the deindustrialization of Bilbao could be possible due to the various services including knowledge-based services and financial services as well as culture and tourism.

2018년 정부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원책은 문화 관광 관련 지원책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는 정부가 문화 관광산업을 제조업의 대안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스페인 빌바오는 구겐하임 미술관을 유치하여 문화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지역발전을 추진하였고, 빌바오의 성공 사례는 "빌바오 효과" 또는 "구겐하임 효과"라는 용어를 탄생시켰다. 이 연구의 목적은 스페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소적 특수성과 지역발전 재생 전략을 구조적 맥락에서 분석해 우리나라 산업위기지역의 대응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빌바오는 유럽 내 초국가적 무역 네트워크의 중요 결절지라는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바스크 지방정부에게 정치적, 재정적 자율권을 보장하였다. 바스크 지방정부는 자율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역발전 재생사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둘째, 빌바오는 지역발전 재생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민관협력체계를 원활하게 가동해 오랜 시간 동안 꾸준한 실천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셋째, 빌바오의 지역발전 재생사업은 대형프로젝트와 장소마케팅의 효과로 주목 받았지만, 그 이면에는 문화 관광산업이 창출하는 일자리의 불안과 서비스업 내의 양극화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빌바오가 추진한 탈산업화는 문화 관광산업과 더불어 지식기반서비스와 금융서비스 등 서비스산업이 다양하게 특화되었기 때문에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후, 2015, "빌바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교본," The Ocean Vol.2, pp.120-135.
  2. 김태환, 2010, "진화하는 경제문화도시, 빌바오(Bilbao)," 국토 347, pp.58-63.
  3. 김효정, 2006, "베네치아가 될 것인가 빌바오가 될 것인가," 자치발전 2006(6), pp.170-173.
  4. 김흥종, 2007, 전통.역사 문화도시의 조성: 유럽사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 노용석.정해조, 2019, "바스크 민족주의와 빌바오 도시재생의 연관성 분석," 인문사회21 10(2), pp.185-199.
  6. 박근태, 2011, 국제 비교를 통한 지역클러스터 경쟁구축에 관한 연구: 스페인,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한남대 박사학위논문.
  7. 박덕배, 2010, 재부상하는 스페인 경제위기: 영향과 전망, 국내외 경제 현안과 과제, 현대경제연구원.
  8. 양윤서, 2017, "도시재생 측면에서 본 구겐하임 효과의 한계성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7(4), pp.43-52.
  9. 이남표, 2015, 빌바오 도시 재생의 비밀, 세계는 지금, 희망제작소.
  10. 이병민.이원호, 2014,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15-230.
  11. 이승욱, 2018, "폐조선소의 도시재생방안: 빌바오, 함부르크, 말뫼 사례에서 배우다," 세계도시정보 웹진18, pp.36-43.
  12. 이원호, 2008, "외환위기 이후 대도시지역간 실업의 차이와 그 역동성: 사회적 배제의 구조화에 대한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1), pp.94-110.
  13. 이은해, 2009, "유럽의 전통산업도시에서 문화.예술도시로의 변모: 빌바오(Bilbao)에서 '구겐하임효과(Guggenheim Effect)'에 대한 비판적 고찰," EU연구 25, pp.115-144.
  14. 장혜영, 2007, 지역혁신을 위한 문화클러스터의 발전전략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영국의 셰필드, 스페인의 빌바오, 한국의 부천을 중심으로, 한남대 박사학위논문.
  15. 정수열, 2015, "사회경제적 양극화와 도시 내 계층별 거주지 분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1-16.
  16. 정수희.이병민, 2014, "창조적 장소자산으로서 예술자산의 유형과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28-44.
  17. 주성재, 2007, "지역경제 활성화의 수단으로서 문화산업단지 정책: 평가와 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3), pp.332-343.
  18. 황세원.고동현.서재교, 2019, 제조업 도시들이 흔들린다: 지역별 고용위기 시그널과 위기 대응 모델, LAB2050.
  19. 황수경, 2007, "서비스화 일자리 숙련구조에 미친 영향 - 인지적 숙련 및 상호적 숙련을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30(3), pp.1-41.
  20. 유럽연합 통계국, 2019, https://ec.europa.eu/eurostat (최종 열람일: 2019.8.23.)
  21. Alonso, E. M. J., 1995, La actividad comercial del puerto de Santander en el siglo XVI I, Santander: Autoridad Portuaria.
  22. Areso, I., 2010, "Bilbao's Strategic Evolution. From the Industrial to the Post-Industrial City," Lecture paper(2010.11.18.), Chicago, USA, Instituto Cervantes of Chicago.
  23. Ayuntamiento de Bilbao, 1999, Plan Especial de Reforma Interior(PERI) de Abandoibarra.
  24. Baniotopoulou, E., 2001, "Art for Whose Sake? Modern Art Museums and their Role in Transforming Societies: The Case of the Guggenheim Bilbao," Journal of Conservation and Museum Studies 7, pp.1-5. https://doi.org/10.5334/jcms.7011
  25. Beauregard, R. and Pierre, J., 2000, "Disputing the global: A sceptical view of locality-based international initiatives," Policy and Politics 28(4), pp.465-478. https://doi.org/10.1332/0305573002501081
  26. Bilbao Metropoli-30, 2016, Metropolitan Bilbao 2035: Looking to the Future.
  27. Caicoya, C., 1997, "From project to construction," Arquitectura Viva 55(VII, VIII), pp.14-27.
  28. Cearra, M. A., 1993, "La revitalizacion de areas metropolitanas: el caso del Bilbao Metropoli-tano," Boletin de Estudios Economicos 48, pp.63-71.
  29. Ceballos, G. S., 2005, "The politics of the economic crisis and restructuring in the Basque Country and Spain during the 1980," Space and Polity 9(2), pp.93-112. https://doi.org/10.1080/13562570500304931
  30. Esteban, M., 1999, Bilbao, Luces y Sombras del Titanio: el Proceso de Regeneracion del Bilbao Metropolitano, Bilbao: Servicio Editorial Universidad del Pais Vasco.
  31. Giovannini, J., 1992, "Breaking the institutional envelope," Progressive Architecture 73(10), pp.116-117.
  32. Giovannini, J., 1997, "Reshaping Bilbao," Architecture: The AIA Journal 86(12), pp.39-42.
  33. Glas, E. J., 1997, Bilbao's modern business elite, Reno: University of Nevada Press.
  34. Israel, J. I., 1980, "Spanish wool exports and the European economy, 1610-1640," Economic History Review 33(1), pp.193-211.
  35. Jencks, C., 1997, The architecture of the Jumping Universe: A Polemic: How Complexity Science is Changing Architecture and Culture, New York: Academic Press.
  36. Larranaga, B. R., 1983, Comercio Y burguesia mercantil de Bilbao en la segunda mitad del siglo XVIII, Bilbao: Universidad del Pais Vasco.
  37. Lloyd, W. A., 2001, "Architecture for Art's sake," Atlantic Monthly 287, pp.85-88.
  38. McNeill, D., 2000, "McGuggenisation? National identity and globalisation in the Basque Country," Political Geography 19(4), pp.473-494. https://doi.org/10.1016/S0962-6298(99)00093-1
  39. Medrano, D. J., 1999, Naciones divididas: Class, Politics, and Nationalism in the Basque Country and Catalonia, Madrid: CIS.
  40. Montero, M., 1993, La construccion del Pais Vasco contemporaneo, San Sebastian: Txertoa.
  41. Montero, M., 1998, Historia del Pais Vasco. De los origenes a nuestros dias, San Sebastian: Txertoa.
  42. Phillips, C. R. and Phillips, W. D., Jr., 1997, Spain's golden fleece. Wool production and the wool trade from the middle ages to the nineteenth centur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3. Plaza, B., 2007, "The Bilbao effect(Guggenheim Museum Bilbao)," MPRA Paper 12681, Munich Personal RePEc Archive.
  44. Ploger, 2008, "Bilbao City Report," CASEreport 43, Centre for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London, UK.
  45. Rodriguez, A., Elena, M. and Guenaga, G., 2001, "Uneven redevelopment: New urban policies and sociospatial fragmentation in Metropolitan Bilbao,"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8(2), pp.161-178. https://doi.org/10.1177/096977640100800206
  46. Rodriguez, A., 2002, "Reinventar la ciudad: Milagros y espejismos de la revitalizacion urbana en Bilbao," Lan Harremanak 6, pp.69-108.
  47. Rybczynski, W., 2002, "The Bilbao effect," Atlantic Monthly 290(2), pp.138-142.
  48. Santamaria, D. C. G., 2007, Bilbao: Basque Pathways to Globalization, University of Glasgow, UK.
  49. Taylor, P. J., 2004, World city network: A global urban analysis, New York: Routledge.
  50. Zulaika, J., 1997, Cronica de una seduccion, Madrid: Nerea.
  51. Zulaika, J., 2001, "Krens's Taj Mahal: The Guggenheim's Global Love Museum," Discourse 23(1), pp.100-118.

Cited by

  1.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vol.22, pp.3,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37
  2. 평택·당진항의 항만 재개발 여건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당진지역 항만의 재개발을 중심으로 vol.36, pp.4, 2019, https://doi.org/10.38121/kpea.2020.12.36.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