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인가?

Is 'invalid deductive argument' an Oxymoron?

  • 홍지호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
  • 여영서 (동덕여자대학교 교양대학)
  • Hong, Jiho (Sungkyunkwan University, University College) ;
  • Yeo, Yeongseo (Dongduk Women's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 투고 : 2019.01.21
  • 심사 : 2019.02.13
  • 발행 : 2019.02.28

초록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을 구분하는 실현 기준에 따르면, 전제와 결론 사이에 실현된 뒷받침 관계가 필연성일 경우에만 연역 논증이다. 이 경우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을 저지르는 표현이 된다. 이와 달리 전제와 결론 사이에 의도된 뒷받침 관계를 구분 기준으로 삼는 것은 의도 기준인데, 이에 따르면 '부당한 연역 논증'은 형용모순이 아니다. 우리는 의도 기준을 옹호하는데, 실현 기준은 생략 논증을 연역 논증이나 귀납 논증 중 한 쪽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의도를 참조해야 한다는 난점, 또 나쁜 논증과 논증이 아닌 명제들의 집합을 구분하지 못한다는 난점을 지니기 때문이다. 의도 기준 역시 논증 제시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지만, 그것은 자비의 원리에 호소하면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결론에 대한 신념이나 논증 제시자의 성향을 나타내는 표현을 논증 제시 의도와 구분함으로써 우리는 의도 기준이 연역 논증과 귀납 논증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According to the realization criterion that distinguishes deductive argument from inductive argument, the realized necessity relation between the premises and the conclusion defines deductive argument. In this case, 'invalid deductive argument' is an oxymor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criterion, the intended necessity relation between the premises and the conclusion defines deductive argument. In this case, 'invalid deductive argument' is not an oxymoron. In this paper, we will argue for the intention criterion. The realization criterion cannot classify an elliptical argument without referring to the intention represented in the argument. It cannot distinguish an argument from a set of propositions that is not an argument either.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that an intention may not be recognized in an argument can be resolved by referring to the principle of charity. Moreover, by distinguishing the expressions showing the conviction or the attitude to the argument from the intention of the argument, we conclude that the intention criterion successfully distinguishes deductive argument from inductive argu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선우환(2016),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는 왜 오류인가?", 논리연구19(2), pp. 185-232. https://doi.org/10.22860/KAFL.2016.19.2.185
  2. 이병덕(2015), 논리적 추론과 증명, 서울: 이제이북스
  3. 이영철(2016), "연역과 귀납의 구분 기준에 관하여", 철학연구 115집, pp. 55-79.
  4. 홍경남(2012), "연역과 귀납의 분류", 철학탐구31집, pp. 181-231.
  5. 최원배(2018), 논리적 사고의 기초, 서광사
  6. 새먼, W. C.(2004), 논리학(전정판 2판)(곽강제 옮김), 서울: 박영사
  7. Bowles, G.(1994), "The deductive/inductive distinction," Informal Logic 16, pp. 159-184 https://doi.org/10.22329/il.v16i3.2455
  8. Salmon, W. C.(1973), Logic, New Jersey: Prentice-Hall.
  9. Wilbanks, J. J.(2010), "Defining Deduction, Induction, and Validity," Argumentation 24, pp. 107-124. https://doi.org/10.1007/s10503-009-9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