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nipulation Argument: Ernie, Diana, and Lightning Strike

조작논증과 어니, 다이애나, 번개

  • Kim, Seahwa (Scranton Honors Program, Ewha Womans University)
  • 김세화 (이화여자대학교 스크랜튼학부)
  • Received : 2019.01.28
  • Accepted : 2019.02.24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In this paper, I raise objections to Sungsu Kim's argument that Sartorio's hard-line reply to the manipulation argument fails. In attacking Sartorio's argument, Sungsu Kim claims that there are two problems with Sartorio's. I argue that Sungsu Kim's argument fails by responding to these two problems. With respect to the first problem, I provide a new example of dilution of responsibility. With respect to the second problem, I argue that, contrary to what Sungsu Kim assumes, for Sartorio's argument to succeed, our intuition that Ernie is responsible in the Lightning Strike Scenario does not have to be as strong as our intuition that Ernie is not responsible in the Diana scenario.

"자유의지에 대한 조작논증과 근원-양립가능주의의 대응"에서 김성수 교수는 근원-자유와 결정론이 양립가능하지 않다는 근원-양립불가능주의에서 제시한 논증인 조작논증에 대해 다룬다. 김성수는 조작논증에 대한 양립가능주의의 두 종류의 대응 중 강경한 대응보다는 온건한 대응이 더 설득력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특히 그는 번개 사례를 통해 강경한 대응을 펼치는 사토리오에 집중하여 반론을 펼침으로써 강경한 대응이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사토리오에 대한 김성수의 반론이 성공적이지 않다고 논증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사토리오의 책임희석 효과에 대한 설명에 문제가 있다는 김성수의 반론에 대해서 이러한 문제점을 피할 수 있는 원격 집행부대 예를 새롭게 제시한다. 또한 필자는 번개 사례에서 보이는 직관이 조작논증의 전제를 지지하는 직관만큼 강해보이지 않는다는 김성수의 반론에 대해 사토리오의 논증이 성공하기 위해서 번개 사례에서 보이는 직관이 다이애나 사례에서 보이는 직관만큼 강할 필요는 없다고 논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수 (2016), "자유의지에 대한 조작논증과 근원-양립가능주의의 대응", 논리연구, 21집 3호, pp. 373-393. https://doi.org/10.22860/KAFL.2018.21.3.373
  2. Mele, A. (2006), Free Will and Luck, Oxford University Press.
  3. Pereboom, D. (2008), "A Hard-Line Reply to the Multiple-Case Manipulation Argument",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77, pp. 160-170. https://doi.org/10.1111/j.1933-1592.2008.00192.x
  4. Sartorio, C. (2016), Causation and Free Will, Oxford University Press.
  5. Sartorio, C. (2018), "Replies to Critics", Philosophical Studies, 175, pp. 1545-1556. https://doi.org/10.1007/s11098-018-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