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ents' Perceived Barriers and Support Plans to Leisure Particip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 Focused on Busan Area -

학부모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여가활동의 저해요인과 지원방안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 배정인 (부산 혜성학교) ;
  • 강영심 (부산대학교) ;
  • 한민정 (부산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Published : 2019000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parents' perception of barriers and support plans to leisure particip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2 parents who ha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The study surveyed subjects' perceived barriers and support plans to leisure participation for their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o produc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 way ANOVA. Results: As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rrier factors between gender, but 'lack of facilities and places', 'negative awareness of neighborhood', 'lack of programs and equipments' facto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ool levels.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ypes of disabilities in all barrier factors.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upport plans between gender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ool levels in 'support teachers' club activity', 'improve awareness of the community to disabilities' and, 'financial support' factors. As well, all factors under support plans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ypes of disability groups. Conclusion: Therefore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remove barriers and support strategies suit in disability types rather than gender for effective leisure participation in youth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하는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저해요인과 지원방안을 학교급, 성별, 장애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특수학교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의 경우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급에서는 '주변 여가시설과 장소부족', '지역 주민의 부정적 인식', '여가 프로그램과 장비의 부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장애유형 집단 간에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 지원방안의 모든 하위 항목에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학교급에서는 '교사의 학교동아리 활동지원', '학생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 개선', '학생의 여가 관련 재정적 지원'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장애유형에 따른 집단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이에 장애학생의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장애유형에 따른 여가활동 저해요소의 제거와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