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아동교육연구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제21권2호
- /
- Pages.23-52
- /
- 2019
- /
- 1229-8301(pISSN)
- /
- 2733-8398(eISSN)
DOI QR Code
일반 초등학생 학부모가 인식한 장애인 교사의 이미지
An Image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Parent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초등학생에 재학 중인 자녀를 가지고 있는 학부모가 가지고 있는 장애교원 업무능력, 역할, 자질, 기대에 대한 이미지를 탐색하고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를 유형화한 후 유형화된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300여개의 Q모집단이 선행연구를 분석과 5인의 학부모 및 초등교사 인터뷰를 통해 선정되었다. 3명의 특수교육 전공 교수들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최종적으로 40개의 Q-표본 진술문은 선정하였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30인을 대상으로 Q표본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각 유형별 가장 대표적인 5인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학부모가 지각하는 장애인 교사에 대한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별로는 1유형이 20%, 2유형이 8%, 3유형이 8%, 4유형이 7%, 5유형이 6%의 설명을 보였으며, 누적변량은 50%로 상당히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장애인 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는 5개 유형으로 추출되었다, 유형별 특성은 제 1유형 '자신의 직업을 열정적으로 즐기고 소명의식이 있으나 자기관리가 어려움', 제 2유형 '자신의 직업을 열정적으로 즐기고 책임감 있으나 학생 상담에 어려움이 있음', 제 3유형 '학생을 위한 종합적인 평가와 상담을 잘 하나 행정업무에 어려움이 있음, 제 4유형 '학생중심의 전인적 지도를 하나 행정업무에 어려움이 있음', 제 5유형 '학생의 의견을 경청하고 소명의식을 가지고 지도하나 교과외 과목지도에 어려움이 있음'으로 명명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초등학교 장애인 교사 확대를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에서 다루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the ability, roles, qualities, and expectation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parents who had children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took up the perceptions of parents to analyze each type's characteristics. Method: Around 300 Q-sampl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bout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an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5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5 parents. 40 Q-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after testing validities of questions and contents from the Q-samples by special education major professors. A Q-method was administered to 30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five most representative of each type. Results: The types of images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parent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As for the type, 20% of the type 1, 8% of the type 2, 8% of the type 3, 7% of the type 4, 6% of the type 5 were explained, and the cumulative variance was 50%. The first type is "enjoying the job professionally and responsibly, having a sense of calling but appearance is not appropriate for the position." The second type is "enjoying the job professionally and responsibly, but difficulties in counseling students." The third type is "success in counseling students but difficulties in administrative work." The fourth type is "understanding challenges of students but difficulties in administrative work." The fifth type is "reflecting students' opinions, having a sense of calling, but difficulties in teach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teaching across discipline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 proposals such as policy ideas and school-life adjustment programs for teachers with disabilities are nee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