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청소년연구 (Studies on Korean Youth)
- 제30권2호
- /
- Pages.333-363
- /
- 2019
- /
- 1225-6366(pISSN)
- /
- 2288-8799(eISSN)
DOI QR Code
고등학생의 학업 잠재계층과 신체건강 잠재계층 간의 전이관계
The tran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latent classes of academic factors and their latent classes of physical health factors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과 신체건강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학업 요인을 통해 도출한 잠재계층과 신체건강 요인을 통해 도출한 잠재계층 간의 전이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7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조사 자료 중 학업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인 고등학생을 추출한 자료를 사용했으며, 학업 요인과 신체건강 요인에 대해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한 후 두 잠재계층 간의 관계를 전이확률(Transition Probabilities)을 통해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의 학업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총 3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다. 학업 요인으로 학업 스트레스, 학업성취, 사교육의 각 변인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이 모두 그래프 상 일직선상에 위치한 형태로 유형화되어 '낮은 학업 스트레스·성적·사교육 군'. '중간 학업 스트레스·성적·사교육 군', '높은 학업 스트레스·성적·사교육 군'으로 명명하였다. 신체건강 잠재계층도 체질량지수, 주관적 건강 만족도, 통원 및 입원치료경험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잦은 병치레 군'은 주관적 건강 만족도는 중간수준이지만 나머지 체질량지수, 통원 및 입원치료 경험이 있는 형태였다. '낮은 주관적 건강만족 군'은 다른 변인에 비해 유독 주관적 건강 만족도가 현저히 낮은 형태였다. 전반적으로 높은 건강 상태를 보인 유형은 '건강 군'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 및 건강 잠재계층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전이확률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학업 스트레스·성적·사교육 군'은 '잦은 병치레 군'이나 '낮은 주관적 건강만족 군'에 속할 확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상중심적 접근을 통해 학업 스트레스 등이 높은 잠재계층은 상대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잠재계층에 속할 확률이 높다는 결과로, 학업요인과 신체건강 간의 전이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업 요인에 따라 신체건강 위험집단을 선별하여 대상에 따른 효과적인 개입 및 차별적 접근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함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latent classes of academic factors and their latent classes of physical health factors. We used data taken from high school students in the Korea Child-Youth Happiness Index survey for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by means of transition probabilities. In the latent class analysis on academic factors, three latent classes were drawn out as a best-fit model.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private education factors appeared on a straight line. They were classified into 'low academic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private education groups,', 'middle academic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private education group', and 'high academic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private education groups', respectively. In the latent class analysis of physical health factors, three latent classes were drawn as a best-fit model. They were classified into a 'frequent treatment group' that had a middle level of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a high body mass index, and experiences of outpatient and hospitalization treatments, a 'low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group' that had remarkably lower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and a 'health group' that had a high level of health satisfaction and con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ransitional probabilit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high academic stress, academic achievement, and private education group'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being involved in the 'frequent treatment group' or the 'low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group'. Based on a person-centered approach, it was found that the latent group with high risk in terms of their academic factors was likely to belong to a relatively unhealthy latent group. This study confirmed the tran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factors and physical health factor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physical health risk groups according to academic factors and to consider effective intervention and tailored approaches which are most appropriate to the subj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