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상(吉祥)을 상징하는 수복(壽福) 중심의 전통적인 디자인 콘텐츠 개발에 대한 방향성 연구 - 문화상품디자인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Design Content in health and longevity based on the Lucky Signs

  • 정수연 (부경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홍동식 (부경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투고 : 2018.12.07
  • 심사 : 2019.01.27
  • 발행 : 2019.01.31

초록

한국은 6.25, 일제식민통치 및 남북분단, 군사독재 정치로 인해 정체성을 형성한 독자적 국가 이미지를 창출함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현대에는 각종 행사와 K-POP등 한류열풍을 일으키며 한국의 정체성을 찾고 전파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한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이미지와 문화상품들이 여전히 부재이기에, 고유문화와 관련된 디자인 콘텐츠 개발 및 전문적인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프랑스, 일본 등 디자인 강국들은 국가적 디자인 정책 사업에 자국의 전통문화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인 사업에 집중하는 내용이 국가적 핵심 디자인사업이다. 한국의 전통 콘텐츠도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이미지 디자인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길상문화인 오복(五福) 중에서 옛사람과 현대인에 이르기까지 가장 관심을 가지고 염원하는 수복강녕(壽福康寧) 즉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과 관련된 옛사람들의 예술품을 연구하여 이를 통해 문화상품 디자인 적용 및 디자인 콘텐츠의 활용으로 발전시켜 현대의 '100세시대' 라는 트렌드에 맞는 한국의 주체적인 디자인 상품과 이미지를 제작함에 있어 다양성과 방향성을 제시함에 고찰해보고자 한다. 한국의 전통예술품에 나타나는 길상문화 중에서 대표적인 수복강녕의 이미지를 국립민속박물관의 수복(壽福) 관련 특별전에 근거한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주요하게 사용된 특징과 의미를 발견하고, 반복되는 패턴 및 문양콘텐츠를 연구하여, 현대적 문화상품디자인에 적용되고 있는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한다. 또한 수복과 관련된 디자인 콘텐츠를 통해 한계점을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문화상품은 디자인 상품 개발 부족, 홍보처와 판매처 부족,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부족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의식 개혁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시장의 요구에 맞는 가격의 합리화가 필요하다. 셋째, 실용성을 갖춘 문구류와 생활용품 위주로 전통적 디자인을 활용 및 보급시켜야 문화상품 디자인과 전통관련 콘텐츠가 더욱 쉽게 정착화 되고 보급화 될 수 있다. 넷째, 한국문화사상과 미의식 연구가 바탕이 된 다양한 한국적 이미지의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조형적 이미지만 개발할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들의 한국적 문화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통적 제작방식과 소재도 현대에 존중받아야 하나, 전통을 소재로 현대적 제작방식의 제품들이 경제성과 내구성도 함께 갖추며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South Korea had a hard time creating its own image of a nation that formed its identity due to 6.25, Japanese-style rul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military dictatorship. Recently, Korea has been searching and spreading its identity by creating a Korean wave such as various events and K-POPs. However, since there are still no images and cultural products representing Korea's identi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sign contents related to native culture and professional cultural product design. Design powers such as France and Japan focus on design projects that can add value to their national design policy projects. Traditional Korean contents also need to be specialized and continuous in image design and research. In this study, five lucky-SubokGangnYeon(long life, happiness and peace), a representative of Korean culture, studied with the most interest in the old and the modern, namely, "Living healthy lo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and the use of design content, I would look forward to presenting the diversity and direction in producing Korea's own design products and images that fit the trend of modern 'age of 100.' Based on images based on special exhibitions related to longevity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museum discovers key used features and meanings, studies patterns and patterns, and analyzes design cases applied to modern cultural product design. We also want to look at the direction available through design content, which is a symbol of llong life happiness and peace. First, cultural products have limitations that lack the development of design products, lack of public relations and sales outlets, and lack of awareness of traditional culture, which should precede policy support and awareness reform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we need to streamline prices that meet the needs of the market. Third, cultural product design and contents related to tradition can be settled and disseminated more easily when traditional design is utilized and distributed mainly on practical stationery and household good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of various Korean images based on research on Korean cultural histor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Research on the Korean culture of designers should be conducted, not just in the form of figurative images. Fifth,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s and materials should be respected by modern times, but modern production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with economy and durabi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