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수입수요가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

Import Demand in Developed Economies & Korean Exports

  • 최문정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 ;
  • 김경근 (한국은행 조사국 모형연구팀)
  • 투고 : 2018.08.24
  • 심사 : 2019.02.25
  • 발행 : 2019.03.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수입수요가 우리나라의 대선진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교역상대국의 수입수요를 측정하기 위해 총수요 부문별(민간소비, 공공소비, 투자, 수출)로 상이한 직간접 수입집약도를 보정한 총수요 (Import Intensity-Adjusted Demand) 변수를 산출하여 사용하였다. G7국가의 수입수요가 우리나라의 대G7 수출에 미친 영향을 동태패널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대G7 수출은 상대국의 수입수요에 대해 글로벌 금융위기까지는 탄력적이었던 반면 위기 이후에는 비탄력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수요를 세분화하여 민간소비, 공공소비, 투자 및 수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위기 기간 중 G7국가의 민간소비 감소가 우리나라의 대G7 수출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위기 이후에는 공공소비 증가가 우리나라 수출을 유의하게 증가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G7국가의 투자가 우리나라 수출을 증가시키는 영향은 위기 이후 약화된 반면 G7국가의 수출이 우리나라의 대G7 수출을 증가시키는 영향은 위기 전후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선진국의 내수경기 변화가 우리나라의 대선진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예전에 비해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한편 보호무역주의 대두 및 세계교역량 둔화에 따른 선진국 수출감소 우려가 우리나라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유의해야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n Korean exports of demand in developed economies, and how these effects have chang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 a measure of import demand, we use import intensity-adjusted demand to take into account heterogenous import intensities across components of aggregate demand. Our estimation of a dynamic panel regression model reveals that Korea's exports to the G7 countries were elastic with respect to the import demand of these countries until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ut have shifted to become inelastic since. Furthermore, we separately estimate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G7 countries' aggregate demand (private consumption, public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crease in private consumption in the G7 countries during the crisis had a significant impact in causing the decline in Korea's exports to them, but that the increase in their public consumption since the crisis h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riving increased Korean exports to them. The effects of the G7 countries' exports on Korea's exports to them remain positive and significant during both the pre- and post-crisis periods. The effects of the G7 countries' investments on Korea's exports are also positive and significant, but the positive effect has weakened since the crisi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overall effect of changes in the G7 countries' import demand on Korea's exports to them has weakened compared to the pre-crisis peri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