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Dual Labor Markets on Labor Productivity: Evidence from the OECD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중심으로
- Choi, Koangsung (Department of Applied Economics, Hanyang University) ;
- Lee, Jieun (Economic Research Institute, Bank of Korea) ;
- Choe, Chung (Hanyang University (ERICA))
- Received : 2018.12.21
- Accepted : 2019.08.26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a dual labor market structure on labor productivity using unbalanced panel data from 29 OECD member countries between 1990 and 2015. By applying a variety of regression models on the panel data (e.g., a pooled regression, a fixed effects model and a GMM), we explore how changes in worker-type composition among temporary, permanent and self-employed workers contribute to productivity growth. While it appears that our results differ slightly, depending on the econometric models, overall an increase in the share of permanent workers leads to a relatively higher increase in productivity growth.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seen that the effects of the share of temporary workers on labor productivity are considerably lower than that of permanent and self-employed workers. To sum it up, our findings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temporary workers could have an adverse effect on labor productivity.
본고에서는 OECD 회원국(2018년 현재 총 36개국) 중 29개국을 대상으로 상용직·임시직 고용비중 변화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 때 자영업자도 함께 고려함으로써 상용직 및 임시직 대비 노동생산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90-2015년 동안 OECD 29개국의 국가별 불균형(unbalanced)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통상최소자승법(OLS), 고정효과(fixed effect) 분석, 일반화된 적률법(이하 GMM), 동태적 패널 GMM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용형태 변화가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각 추정 방법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으나 상용직 비중 증가가 노동생산성 증대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자영업, 임시직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시직 근로자 비중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상용직에 비해 상당 폭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화되면 노동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