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on their career maturit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 백혜영 (수원여자대학교) ;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Published : 2019090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whether the social capital i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fluence their career maturity though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rough a multigroup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 889 elelementary school children (4th - 6th graders) from multicultural or non-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social capital in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n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ir career maturity through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differences of structural models between the two children groups a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ree paths; the path between the social capital and career maturity; the path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career maturity; and the path between gender and career maturity. The social capital in the family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had a direct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s through multigroup analysis. In that process, self efficacy partially acted as a mediating element. However, since the subjective well-being had no impact on the career maturity, its mediating effect was not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들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을 통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중인 889명의 다문화 또는 비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집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들의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은 진로 성숙도에 정적인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적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다집단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 간에는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주관적 안녕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냈다. 다집단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은 가족 내 사회적 자본이 진로성숙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관적 안녕감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못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