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6S1A3A2924375)
DOI QR Cod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ut-of-home care and peer attachment when the depression influences adolescent self-esteem.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ut-of-home care(PSKCOC) and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results using SPSS PROCESS MACRO method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peer attach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Second, i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self-esteem, the moderating effect of whether or not adolescents are in out-of-home care emerge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were more affected by depression than that of general adolescents.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peer attachment on self-esteem,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general adolescents. In sum,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elf-esteem was different depending on peer attachment. It suggests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through paying attention to commonality and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and general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정외보호 여부와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가정외보호아동패널(PSKCO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ut-of-home care) 자료와 한국 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자료를 병합하여 활용하였다. SPSS PROCESS MACRO 방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자아존중감 간의 영향 관계에서 또래 애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가정외보호 여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경우 일반청소년에 비해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또래애착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는 가정외보호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영향력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공통성과 차별성에 주목하여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6S1A3A2924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