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미용학회지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 제15권1호
- /
- Pages.17-23
- /
- 2019
- /
- 2508-8009(pISSN)
- /
- 2508-8084(eISSN)
DOI QR Code
누룩의 종류에 따른 항산화활성 및 화장품소재의 가능성
Assessing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otential Utility in Cosmetics of Nuruk, a Traditional Korean Fermentation Starter
초록
본 연구는 원료와 균주에 따른 누룩의 항산화활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누룩의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성 여부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방법은 현미, 통밀, 녹두, 쌀가루, 밀가루를 이용하여 황국균과 백국균을 각각 배양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및 MTT assay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현미 황국균 추출시료에서 10.15 mg/g로 가장 많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현미 백국균 추출시료에서 174.19 mg/g로 가장 많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50, 100, 200 ㎍/mL 농도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율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각 시료별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 분석한 결과 밀가루 백국균 추출시료의 25 ㎍/mL에서 98.65%, 50 ㎍/mL에서 92.53%, 100 ㎍/mL에서 100.42%, 200 ㎍/mL에서 81.19%로 일정 농도에서 세포 독성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비교적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누룩의 종류에 따른 배양 방법과 실험 조건 설정 등에 대한 표준화 연구가 앞으로도 진행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전통 누룩의 항산화활성 및 화장품 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Here, we described an analysis of the antioxidants within different components of Nuruk and assess their potential applicability as a cosmetic material. The experimental method was developed using brown rice, whole wheat, mung bean, rice flour, and flour as test materials. The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MTT assa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10.15 mg/g) in the brown rice A. oryzae extract and ii)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174 mg/g) in the brown rice A. luchuensis extract. To assess the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ested revealing that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e, at 50 ㎍/mL, 100 ㎍/mL, 200 ㎍/mL). MTT assay results revealed that flour A. luchuensis extracts were relatively safe as there was limited cytotoxic effect at 25 ㎍/mL (98.65%), 50 ㎍/mL (92.53%), 100 ㎍/mL (100.42%), and 200 ㎍/mL (8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