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f Recognition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ople of Family In accordance with the Enactment Deinstitutionalization of Disabled

장애인 탈시설 지원법 제정에 따른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인 가족대상 탈시설과 자립생활 인식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9.10.01
  • Accepted : 2019.10.21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research of recognition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ople of famil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October to September 2018 and 810 ca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about half of the families of groups and those who perceived In accordance with the enactment deinstitutionalization were divided into half. and consent to cegislation, local government efforts, independence, consent to deinstitutionalization family perceptions of disagreement of independence were identified as having no low information provid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a lack of provision of services or information related to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proper information transfer education on policies and services is needed to have accurat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In addition, the agreement on legislation, local government efforts, Independence, consent to deinstitutionaliz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systematic information education support are needed to ensure proper recognition of user's family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to ensure healthy independence of users.

본 연구는 탈시설 지원법 제정과 관련하여 장애인거주시설 이용자 가족을 대상으로한 탈시설과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2018년 9월 10일부터 10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최종 분석에 활용된 사례는 810명이다. 조사결과로 장애인 탈시설 지원법 제정을 인지한 이용자 가족 집단과 인지하지 못한 집단이 대략 절반으로 나뉘었으며 법제정 동의여부, 자치단체노력 여부, 자립가능성, 탈시설 동의여부에서는 동의하지 않거나 자립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가족의 인식은 제공된 정보가 없거나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용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탈시설과 자립생활에 관련한 서비스나 정보제공이 부족했음을 의미하며 정확한 이해와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정책과 서비스에 대한 올바른 정보전달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법제정 동의여부와 자치단체노력여부, 자립가능성에 대한 판단과 탈시설 동의여부는 퇴소 후 자립생활에 대한 긍정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퇴소 후 자립생활 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거주시설 이용자 가족의 올바른 인식과 나아가 이용자의 건강한 자립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보교육지원과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정기, "거주시설 장애인의 탈시설 인식 및 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제17권, 제37호, pp.7-48, 2012.
  2. 이성규, 장애인복지정책과 노말리제이션: 정상화개념의 형성과 진화, 홍익재, 2001.
  3. 유동철, "장애인 생활시설의 주거권 확보에 대한 장애인차별금지법의함의," 상황과복지, 제31권, pp.47-84, 2011.
  4. 정재원, "맹목적인 탈시설화의 위험성," 장애와 사회, 제1호, pp,16-30, 2003.
  5. 국제사회복지학회, 탈시설 욕구조사, 국제사회복지학회, 2018.
  6. 전지수,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인 대상 탈시설과 자립생활에 대한 인식 및 욕구조사," 제16권, 제2호, pp,161-174, 2016.
  7. 박승탁, 황석웅, "그룹홈 생활에 따른 정신지체인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정신지체연구, 제9권, 제3호 pp,195-216, 2007.
  8. 박형진, "배제와 포함의 복지정치: 장애인 생활시설과 탈시설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글로벌 사회복지연구, 제2권, 제1호, 2012.
  9. 윤예숙, 조성열, 변용찬, 송근창, "장애인 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pp.559-573,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559
  10. 김연명, "장애인의 탈시설 권리," 민주법학, 제45호, pp,149-178, 2011.
  11. 김지훈, 김경호, "자살충동과 관련된 예측변인들의 구성요인의 영향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pp,634-647,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634
  12. 보건복지부, 2018년 장애인거주시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18.
  13. 김용득, "한국 장애인복지 변천과 대안 담론 모색," No.1, 통권1호, pp,147-178, 2005.
  14. 이정은, 최연옥, "ADHD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대처와 가족탄력성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pp,96-107,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