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hristian Approach to the North Korean Residents of Materialism: Centered on Paul's Athenian contact

유물론적 사고의 북한주민을 향한 기독교적 접근: 바울의 아테네인 접촉을 중심으로

  • 조해준 (삼육대학교 신학대학원) ;
  • 송창호 (삼육대학교 신학대학원)
  • Received : 2019.07.05
  • Accepted : 2019.09.26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which have been separated for 70 years, are getting closer and closer. This is very good news for Christians in South Korea who have long wanted to contact with the North Koreans. But it is not easy for Christianity to find contact points for North Koreans who have lived in a society that does not accept relig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grasp their ideological background, to find similarities with the message of Christianity, to search the Bible for cases of contact with Christianity in similar situations, and to appropriately contextualize them according to the present situ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North Korean people is the materialism which is the basic philosophy of communism, and the Juche idea based on materialism. Christianity is negative about the world view that spiritual things are good and material things are evil. Some contact points between Materialistic thinking and Christianity can be found in recognizing the material world as an important element of God's creation. The contact between materialism and Christianity also can be found in dialogue with the Greek philosophy in early Christian era, particularly in the conversation between Paul, who were at the forefront of non-Jewish contact, and Athenians.

70여 년 동안 단절되었던 남한과 북한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이것은 오랫동안 북한 주민과 접촉을 원했던 남한의 기독교인들에게 매우 좋은 소식이다. 그러나 종교를 인정하지 않는 사회에서 살아온 북한 주민들에게 기독교가 접촉점을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먼저 그들의 사상적 배경을 파악하고 기독교가 가진 기별과의 유사점을 찾아내며, 또한 유사한 상황에서 기독교를 접촉했던 사례를 성경에서 찾아보고 그것을 현재 남북한의 실정에 맞게 적절히 상황화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북한주민들의 사상적 배경은 공산주의의 기본 철학인 유물론과 그 유물론에 근거한 주체사상이다. 기독교는 영적인 것은 선하고 물질적인 것은 악하다는 세계관을 인정하지 않는다. 물질적 세계를 조물주의 중요한 창조물로 인식하는 점에서 기독교는 유물론적 사고와의 접촉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유물론 사상과 기독교의 접촉사례는 초기 기독교 사회의 헬라철학과의 대화에서 찾을 수 있으며, 특히 비유대인 접촉의 선봉에 있었던 바울의 아테네인들과의 대화에서 구체적인 예를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Mark E. Caprio, Japanese Assimilation Policies in Colonial Korea 1910-194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9.
  2. YTN, 빠르게 변신하는 김정은...정상국가화 의도? 2018. 3. 10. https://www.ytn.co.kr/_ln/0101_201803100501091334
  3. 통일교육원, 교육테제 발표 15주년 교육일군대회에 보낸 당 중앙위 축하문('92. 9. 5), 북한이해, 양동문화사, 1997.
  4. 김일성, 세기와 더불어 제1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5. V. G. Afanasyef, 변증법적 유물론, 백두, 1988.
  6. 원석영, "홉스의 도덕철학과 유물론," 철학적 분석, 제20호, pp.215-261, 2009.
  7. 슈베글러, 서양철학사, 일신서적출판사, 1991.
  8.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9. R. S. 바가반, 마르크스주의 철학 입문, 책갈피, 2001.
  10. 유석렬, 정세와 선교 2012년 1월호, 모퉁이돌 선교연구원, p.11, 2012.
  11. 세계일보, '주체사상은 세계 10대 종교' 마오이즘보다 훨씬 더 종교적, 2007. 5. 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0225531
  12.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 주체철학 리해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출판사, 1984.
  13. 이철수 외, 사회복지학사전, Blue Fish, 2009.
  14. F. V. 콘스탄티노프, 사적유물론, 새길, 1987.
  15. 허정윤, '과학적 무신론의 형성 과정에 관한 소고', 창조론오픈포럼, Vol.8, No.2, pp.45-60, 2014.
  16. Darwin, Charles, 종의 기원2, 신원문화, 2006.
  17. Mayer, Gustav., Friedrich Engels, Eine Biographie, Verlag Ullstein, 1932(as reprint 1975).
  18. 칼 마르크스, 독일 이데올로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19. 윤진, 헬레니즘, 살림, 2003.
  20. 양승태,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 사회과학원, 1999.
  21. 우광호, 유대인이야기, 여백, 2010.
  22. 김원곤, 북한의 교회와 선교 알아보기, 한맥, 2011.
  23. Herbert Kane, 선교신학의 성서적 기초, 도서출판 나단, 1988.
  24. Rolland Allen, Missionary Methods: St. Paul's or Ours,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62.
  25. 김승호, 선교와 상황화, 도서출판 토라, 2007.
  26. 제임스 F. 엥겔, 당신의 멧시지는 전달되고 있는가?, 죠이선교회출판부, 1995.
  27. Seyoon Kim, The Origin of Paul's Gospel W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1.
  28. D. A. Carson, The Challenge from the Preaching of the Gospel to Pluralism, Criswell Theological Review 7.2, pp.15-39, 1994.
  29. 가스펠서브, 교회용어사전, 생명의말씀사, 2013.
  30. F. F. Bruce, The Book of the Acts[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8.
  31. 이만열, 민족통일을 준비하는 그리스도인, 도서출판 두란노, 1995.
  32. 통일연수원 편, 민주통일론(북한실태), 통일연수원,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