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ng-term Effect of Campus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9.08.22
  • Accepted : 2019.09.29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ong-term smoking effect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mpus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and succeeded in quitting. The participants were 30 of the successful smokers who quit smoking after participating in a 36-week and 2nd data from the resulf of the campus smoking cess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in Seoul from 2016 to 2018. The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of a university in Seoul, which is completely prohibited from smoking on campus, consisted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once-weekly urine cotinine test, and cessation scholarships. After successful quitting in this study, 51.22% of the participants had quit smoking for more than 12 months, and 48.78% of the respondents included non-smokers. The biggest success factor in quitting smoking was the willingness to quit smoking, and the biggest failure in quitting smoking was stress. The campus-led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program for converting into a long-term non-smoking maintainer by habitually quitting smoking.

본 연구는 캠퍼스 금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금연에 성공한 대학생들의 장기금연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시 소재 일개 대학에서 36주에 걸쳐 진행되는 캠퍼스 금연 교육 프로그램의 2차 자료와 참여 후 금연에 성공한 전체 금연성공자중,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30명이었다. 캠퍼스내에서의 흡연이 전면 금지되어 있는 서울시내 일개 대학교의 금연 교육 프로그램은 금연관련 교육과 상담, 주1회 소변 내 Cotinine 검사, 금연장학금 지급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의 평균 금연 성공률은 1차시 50.17%, 2차시 44.16%, 3차시 77.30%로 나타났으며, 2차 성공이후에 금연이 고착화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금연에 성공한 이후, 12개월 이상 금연을 유지하고 있는 참여자는 51.22%, 흡연 재발한 참여자는 무응답 흡연자를 포함하여 48.78%이었다. 금연유지의 가장 큰 성공요인은 금연의지(28.57%)였으며, 금연유지의 가장 큰 실패요인은 스트레스(66.67%)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주도적 금연 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 흡연자의 금연유도 뿐 아니라 금연을 습관화하여 장기금연 유지자로 전환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주, 변기원, "2년제 식품영양과 여대생의 전공과정전과 이수 후 영양지식, 식태도, 식습관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5권, 제6호, pp.750-759, 2010.
  2. D. W. Byrne, L. A. Rolando, M. H. Aliyu, P. W. McGown, L. R. Connor, B. M. Awalt, M. C. Holmes, L. Wang, and M. I. Yarbrough, "Modifiable healthy lifestyle behaviors: 10-year health outcomes from a health promotion program,"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51, No.6, pp.1027-1037, 2016. https://doi.org/10.1016/j.amepre.2016.09.012
  3. 박지연, 김나현,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건강상태 및 삶 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53-165, 2013.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53
  4. 김경아, "일 지역 대학생의 흡연 실태와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465-476,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8.465
  5. 신성례, 김윤희, "대학생 흡연 관련 행태 및 흡연에 의한 건강문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363-37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363
  6. 박순우, "캠퍼스 금연정책이 대학생들의 캠퍼스 내. 외금연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8권, 제5호, pp.35-49, 2011.
  7. C. Escoffery, L. McCormick, and K. Bateman, "Development and process evaluation of a web-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college smokers: innovative tool for edu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53, No.2, pp.217-225, 2004. https://doi.org/10.1016/S0738-3991(03)00163-0
  8. 2017년 건강검진통계연보(수정), http://www.nhis.or.kr/menu/boardRetriveMenuSet.xx?menuId=F3328, 2019.08.20.
  9. D. C. Seo, J. T. Macy, M. R Torabi, and S. E. Middlestadt, "The effect of a smoke-free campus policy on college students' smoking behaviors and attitudes," Preventive medicine, Vol.53, No.4-5, pp.347-352, 2011. https://doi.org/10.1016/j.ypmed.2011.07.015
  10. 구상미, 강정희, "4주간 금연성공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흡연자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65-172, 201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2.165
  11. 신성례, 김선경,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2권, 제4호, pp.869-885, 2007.
  12. 권미경, 방경숙, "남자 대학생에 대한 금연교육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640-647,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640
  13. 김주성, 이선옥, "금연프로그램이 흡연 남자대학생의 변화과정, 유혹상황, 의사결정균형에 미치는 효과," 근관절건강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13-123, 2010.
  14. 최종태, 니코틴 의존 흡연자에서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15. M. H. Joo, M. A Han, J. Park, S. W. Choi, S. Y. Ryu, and J. H. Shin, "Decrease in Smoking and Related Factor after the Price Raise of Tobacco in Hypertension Patients: Using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44, No.1, pp.83-91, 2019. https://doi.org/10.21032/jhis.2019.44.1.83
  16. 김선애, 금연 프로그램의 장기 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7. 김영숙, 이군자, 이여진, "단기 금연성공자와 장기 금연성공자의 특성 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51-258, 2009.
  18. 김희숙, 배상수,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금연성공자의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중심으로,"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6권, 제2호, pp.87-100, 2011.
  19. 서경현, 유제민, "금연 성공의 예측 요인: 입원 금연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제2호, pp.243-259, 2003.
  20. 김영복, "건강캠퍼스 구축을 위한 건강증진대학사업의 필수영역 및 추진전략,"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4호, pp.25-35, 2015. https://doi.org/10.14367/kjhep.2015.32.4.25
  21. 강진경, "생활습관병 심포지움; 생활습관병의 개념(Special Edition: Concept of Lifestyle-related Disease)," 내과학회지, 제65권, 제1호, pp.121-126, 2003.
  22. W. R. Miller and S. Rollnick, Motivational interviewing: Preparing people to change, additive behavior, NY: Guilford Press, 2002.
  23. 최현순, 손혜숙, 김윤희, 이명진, "보건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의 금연지속 실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4653-4659,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0.4653
  24. 손효경, 정운영, 박기수, 감신, 박선균, 이원기, "보건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의 재흡연과 관련요인," 대한예방의학지, 제42권, 제1호, pp.42-48, 2009.
  25. 김은영, 자기 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중학생의 비흡연행위 유지 구조모형,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6. 김미작, 정인숙,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성공자의 1년내 재흡연과 관련요인," 대한예방의학지, 제44권, 제2호, pp.84-92, 2011.
  27. 김수옥, "금연클리닉 등록자의 금연행위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231-239, 2009.
  28. B. C. Martinson, D. Lazovich, H. A. Lando, C. L. Perry, P. G. MacGovern, and R. G. Boyle, "Effectiveness of monetary incentives for recruiting adolescents to an intervention trial to reduce smoking," Prenvetive Medicine, Vol.31, No.6, pp.706-713, 2000.
  29. K. L. Delqughter, R. S. Sadasivam, A. Kamberi, T. M. English, G. L. Seward, S. W. Chan, J. E. Volkman, D. J. Amante, and T. K. Houston, "Crave-Out: A Distraction/Motivation Mobile Game to Assist in Smoking Cessation," JMIR serious games, Vol.4, No.1, p.e3, 2016. https://doi.org/10.2196/games.4566
  30. 보건복지부, 삼육대학교, 담배연기 없는 대학 정책모형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