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모-자녀 관계와 대학 적응 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ollege Adjustment

  • 투고 : 2019.08.02
  • 심사 : 2019.09.16
  • 발행 : 2019.10.28

초록

본 연구는 부모-자녀 관계가 대학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21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9년 5월부터 6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관계는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및 대학 적응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부모-자녀 관계는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를 통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간접효과(매개효과)가 있었다. 부모-자녀 관계가 임파워먼트를 통해 대학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효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대학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부모-자녀 관계 개선, 사회적 지지를 통한 정서적 친밀감 향상, 대학 적응에 강력한 요인인 임파워먼트 강화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ffecting the college adjustment.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219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May to June 2019 via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empowerment, social support, and college adjustment. Moreover, parent-child relationship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college adjustment via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The indirect effect of empower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with respect to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college adjust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arent-child relations and emotional intimacy through social support to promote the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apply a program that can enhance empowerment, which is a powerful factor in college adjus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분석자료집-고등교육통계편,"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pp.75-80, 2018. https://kess.kedi.re.kr/index
  2. 홍준표, 오준범, "청년층 경제 활동 제약의 5대 특징과 시사점-벼랑(CLIFF) 끝 위기의 한국 청년," 현대경제연구원, 한국경제주평 2018년 2월 14일자, 18-7(통권 782호), pp.1-11, 2018.
  3. 김지현, 도현심, 신나나, 김민정,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의 매개적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9, No.4, pp.217-232, 2011.
  4. 이숙정, 유지현,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Vol.22, No.3, pp.589-607, 2008.
  5. 김지근, 이지원, 이기학, "대학 진학 시 대학 및 학과 선호도 타협 유형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2, No.2, pp.249-269, 2015.
  6. 서수균, 김계현, "대학생활적응도 테스트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학생연구, Vol.36, No.1, pp.1-12, 2002.
  7. 김종운, 김지현,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pp.248-259, 2013.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9.248
  8. L. E. Brumariu, "Parent-Child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Vol.2015, No.148, pp.31-45, 2015. http://dx.doi.org/10.1002/cad.20098
  9. 박상희, 이남옥,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가족과 상담, Vol.4, No.1, pp.1-18, 2014.
  10. 이지선, 정혜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와 자아분화 및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1, No.1, pp.99-121, 2016. http://dx.doi.org/10.21321/jfr.21.1.99
  11. 최지은, 신용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Vol.41, No.2, pp.199-210, 2003.
  12. J. Mattanah, G. Hancock, and B. Brand, "Parental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college student adjustment: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mediational effec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1, No.2, pp.213-225, 2004. http://dx.doi.org/10.1037/0022-0167.51.2.213
  13. 홍계옥, 강혜원, "대학생의 부모애착,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Vol.13, pp.133-144, 2010.
  14. 강경아, 조혜영,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pp.210-218,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3.210
  15. 이사라, 이주연, "아동기 아버지에 대한 애착, 성인기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Vol.50, No.4, pp.1-10, 2012. https://doi.org/10.6115/khea.2012.50.4.001
  16. 박진아, 이은경,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Vol.17, No.3, pp.267-276, 201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3.267
  17. 고명주, 최보영,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Vol.24, No.6, pp.81-104, 2017. http://dx.doi.org/10.21509/KJYS.2017.06.24.6.81
  18. M. A. Zimmerman, "Psychological empowerment: Issues and illustratio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3, pp.581-599, 1995. https://doi.org/10.1007/BF02506983
  19. 김현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안녕감의 관계_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Vol.21, No.4, pp.181-201, 2014.
  20. L. Ren and H. Kim, "Effects of bullying experi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ed by conflict management styles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mong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lacemen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47, No.5, pp.700-711, 2017. https://doi.org/10.4040/jkan.2017.47.5.700
  21. 신선화, "대학생의 임파워먼트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정신간호학회지, Vol.26, No.3, pp.313-324, 2017.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3.313
  22. 오주, "가족관계가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먼트의 중재효과," 한국복지행정학회 복지행정논총, Vol.20, No.1, pp.127-149, 2010.
  23. 석수진, 김장회,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류분석상담연구, Vol.8, No.2, pp.19-35, 2018. https://doi.org/10.35476/taca.2018.8.2.19
  24. 정은이, 박요한, "대학생들의 교수신뢰와 학습 동기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Vol.9, No.1, pp.73-93, 2008.
  25. N. A. Peterson, "Empowerment theory: clarifying the nature of higher-order multidimensional construc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53, No.1-2, pp.96-108, 2014. http://dx.doi.org/10.1007/s10464-013-9624-0
  26. 최인재,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연구보고(수시과제) 06-R22,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27. B. Bolton and J. Brooking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erpersonal empowerment,"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43, No.2, pp.131-142, 1998. https://doi.org/10.1037/0090-5550.43.2.131
  28. 김희성,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Vol.14, pp.91-113, 2002.
  29. A. Abbey, D. J. Abramis, and R. D. Caplan, "Effects of different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on emotional well-being,"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6, No.2, pp.111-129, 1985. http://dx.doi.org/10.1207/s15324834basp0602_2
  30. 유성은, 권정혜,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16, No.2, pp.67-84, 1997.
  31. 정은이, 박용한,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Vol.21, No.2, pp.69-92, 2009. https://doi.org/10.17927/TKJEMS.2009.21.2.69
  32. K. J. Preacher and A. F. Hayes,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Vol.36, No.4, pp.717-731, 2004. http://dx.doi.org/10.3758/BF03206553
  33.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Y: Guilford Press, 2013.
  34. M. Hiester, A. Nordstrom, and L. Swenson, "Stability and change in parental attachment and adjustment outcomes during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to college lif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50, No.5, pp.521-538, 2009. https://doi.org/10.1353/csd.0.0089
  35. A. Grealish, S. Tai, A. Hunter, R. Emsley, T. Murrells, and A. P. Morrison, "Does empowerment medi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ctors on mental health, well-being, and recovery in young people?,"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90, No.3, pp.314-335, 2017. http://dx.doi.org/10.1111/papt.12111
  36. 송진열,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Vol.18, No.12, pp.335-345,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335
  37. H. H. Hinderlie and M. Kenny,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black students at predominantly white universiti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2, No.3, pp.327-340,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