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육기관 방과 후 특별활동에 대한 의미 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Extracurricular Specialized Ac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정인선 (목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보림 (용인송담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박지선 (목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19.07.31
  • 심사 : 2019.09.09
  • 발행 : 2019.10.28

초록

본 연구는 이론적 견해와 현실의 불일치 속에서 점차 확대되어 가는 유아교육기관의 방과 후 특별활동에 대한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과 후 특별활동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는 세 곳의 유아교육기관의 수업현장을 관찰하였으며 강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여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방과 후 특별활동은 유아들에게 '새로움과 즐거움의 공존', '학습으로서의 의미', '다양한 교수 매체 경험'과 정규수업과 다른 현실 속에서 '피할 수 없는 한계'로 분석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질 높은 방과 후 특별활동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정규교육과정과 방과 후 특별활동 과정이 상호보완적 협의와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하며 나아가 바람직한 방과 후 특별활동 과정을 위하여 수업환경 개선 및 강사의 지속적인 연수와 교육이 요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ecause the discussions 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oretical viewpoint and reality are gradually expanded. For this purpose, the classes of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ere observed, and interviews with the instructors were conducted where extracurricular activities programs were implemented. The meaning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ere 'coexistence of newness and pleasure', 'meaning as learning', 'diverse teaching media experience' and 'inevitable limit' in the reality of formal lessons and other situ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make comprehensive and complementary approaches between the formal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e future high quality extracurricular activity education. Continuous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instructor are required for better extracurricular activ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은숙,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 프로그램 실태 및 교사인식에 대한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3.
  2. 이정화, 정선화, 이명순, "사립유치원의 특별활동 실태와 문제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0권, 제2호, pp.85-118, 2003.
  3.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특별활동 프로그램 적정 관리방안, 서울 : 보건복지부, 2011.
  4.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특별활동 운영 가이드라인, 2014.
  5. 교육과학기술부, 유아교육선진화추진계획,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6. 박하나, 종일제 특성화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1.
  7. 서은경, 곽승주, "어린이집 영아 특별활동 실태 및 원장과 부모의 인식 비교," 열린부모교육연구회, 제9권, 제1호, pp.203-230, 2017.
  8. 서문희, 최진, 이정림, 최혜선, 조성연, 권인, 보육시설 특별활동 심의 보육프로그램 질 관리 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개발센터, 2009.
  9. 양옥승, 김진영, 김현희, 김영실, "한국 사립 유치원 영어교육의 실태," 한국아동학회지, 제22권, 제4호, pp.299-313, 2001.
  10. 이기숙, 장영희, 장미라, 홍용희, "유치원에서의 특별활동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아동학회지, 제23권, 제4호, pp.137-152, 2002.
  11. 이미화, 보육시설 특별활동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07.
  12. 육아정책연구소, 영유아 보육 교육비용 추정 및 대응방안 연구, 서울: 육아지원연구소, 2013.
  13. 황해숙, 서울시 국공립 어린이집 만2세 아상 특별활동 실시에 한 교사 부모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6.
  14. 김은경, 민간어린이집 교사와 학보모의 특별활동에 대한 인식과 아동의 만족도 비교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2.
  15. 김옥자, 어린이집 특별활동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성남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1.
  16. 김지혜, 어린이집의 특별활동 실태 및 교사와 부모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김한아, 어린이집 특별활동에 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8.
  18. 박성혜, 어린이집 특별활동 적정 관리 방안 이후 특별활동 실태 및 교사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2.
  19. 송강숙,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 실태 및 학부모와 교원의 인식,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2.
  20. 진다정,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1.
  21. 최수연, 사립유치원 종일제 특별활동 현황 및 담당강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0.
  22. 박민정, 어린이집 특별활동 및 유치원 방과후과정 특성화 활동에 대한 실태와 교사인식, 동국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7.
  23. 김영명, 서영숙, "보육시설과 유치원 특별활동의 현안과 쟁점 : 발달 적합성과 사회.문화적 적합성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15-136, 2006.
  24. 송정, 유아교육기관 내 특별활동 현황 및 쟁점 발전 방향, 경기: 경기도 가족여성 연구원, 2011.
  25. 안혜진, "국가수준유치원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담당 강사의 인식 및 수업의 실제," 한국육아지원학회지, Vol. 2012 No.10, pp.113-120, 2012.
  26. 김순환, 이기숙, "유치원 영어수업에서 영어담당교사가 사용하는 교수전략과 유아반응," 유아교육연구, 제28호, 제5권, pp.247-271, 2008.
  27. John W. Creswell(2015). 질적연구방법론 - 다섯가지접근(3판), [Qualitative inquiry desine choosing among five approche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역) 서울 : 학지사 (원저 2007 출판)
  28. 전홍주,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서 본 유아 영어교육의 방향," 유아교육연구, 제29호, 제3권, pp.191-213, 2009.
  29. 임부연, 최남정, 양혜련, 유아교과교육론, 공동체, 2010.
  30. G. Derry, J. C. Laura, and T. D. Diane, 효과적인 영유아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이기숙, 심성경 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판 1993), 1996.
  31. 박민성, 유치원 특별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5.
  32. 강보라, 음악활동과 동작표현을 위한 영유아 음악교육, 창지사, 2017.
  33. 이선미, 김찬진, "특기적성 외부강사가 인식하는 초등학교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5호, 제2권, pp.321-35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