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ies on Domestic/International Governmental Advertising and Media Technology Concerning Health Campaigns

헬스 캠페인 관련 국내외 정부 광고 및 미디어 테크놀로지 활용 전략

  • 차영란 (수원대학교 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9.06.26
  • Accepted : 2019.09.03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As laws regarding the execution of governmental and public corporate advertising have been enforced since 2018, the need for the increase in effectiveness and public benefits of governmental advertising has been suggested.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government's health campaigns regarding well-being, hygiene, and safety and thus conducts an in-depth research into strategies and the future course of policies. First, it analyzes domestic/international governmental advertising in the realm of health campaigns and specifically studies governmental advertising that employs media technologies in health communications. Furthermore,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10 health campaign experts, the study explores possible plans of utilizing the ever-developing field of digital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it is imperative to target and strategize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health campaigns. It is also important to set the appropriate parameters of the campaigns according to the given budget while secur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reativity. Also, it will be crucial to utilize media technology to the fullest extent and strategize around it.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strategic plan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governmental advertising in the realm of well-being, hygiene, and safety in health campaigns.

2018년 정부 기관 및 공공법인 등의 광고시행에 관한 법률이 본격 시행되면서 정부 광고의 효율성 및 공익성 향상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보건 안전 등 헬스 캠페인에 초점을 두고 관련 정부 광고의 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 향후 전략과 정책 방향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 외의 헬스 캠페인 관련 정부 광고를 분석하였고 특히,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헬스컴 관련 정부 광고를 연구하였다. 아울러 10명의 헬스 캠페인 관련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변화하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로 먼저 헬스 캠페인의 목적에 부합하는 전략과 타깃의 선정이 중요하며, 예산에 따른 캠페인의 범위를 확정해야 하고 양질의 크리에이티브를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 보건 안전 등 헬스 캠페인 관련 정부 광고의 효과 및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략 방안을 이론적 실무적으로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동진, 정의철,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사, 정의, 과제,"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통권 1호, pp.33-48, 2009.
  2. 한국언론진흥재단, 정부광고 시행에 관한 법령, 2018.
  3. 김병희, 정부광고의 정석,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4. 최일도, 허웅, 정부광고를 활용한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5. 김병희, 김지혜, 손영곤, "정부광고의 매체 집행현행 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9권, 제4호, pp.182-224, 2017.
  6. 한국언론진흥재단 정부광고 절차 사이트, http://www.kpf.or.kr/site/kpf/16/1160101000000201609 2711.jsp
  7. 김상훈, 안대천, 정부광고 공공성 강화를 위한 법령 및 규제 분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8. 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46
  9. 배정근, 조삼섭 "공공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정부광고 분석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5호, pp.434-456, 2017.
  10. 박재진, 김태우, "공익광고의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제17권, 제2호, pp.63-87, 2013.
  11. 송기인, 안주아, "사회적 마케팅의 공익성 광고 크리에이티브 분석," 광고연구, 제7호, pp.147-174, 2006.
  12. 홍은희, 이철한, "금연 TV광고의 내용분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76-8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076
  13. 박진우, 유장렬, 이홍천, 이효복, 최은경, 해외 주요국가 정부광고 현황 보고서, 한국언론진흥재단 광고국, 2013.
  14. 최일도, 허웅, 해외 정부광고 표현전략 분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15. 디지털 마케팅 연구회, 2017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 전망, 2016.
  16. 위키백과, VR의 정의, 2019.
  17.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국내 VR 산업 실태조사, 2016.
  18. 차영란, "광고,PR산업 분야의 VR콘텐츠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107-11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107
  19. 이덕우, 가상 및 증강현실 응용 분야 기술 동향,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2018.
  20.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VR/AR의 발전방향과 국내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월간SW중심사회, 통권 5호, pp.47-53, 2017.
  21. 네이버 백과사전, AI의 정의, 2018.
  22. 최윤섭, 인공지능은 의료를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의료기기연구개발센터 ICT 포럼 발표자료, 2016.
  23. 차영란, "광고 및 미디어 산업분야의 인공지능(AI) 활용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102-11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9.102
  24. 이경렬, 이희복, 홍문기, 정부광고의 효율적 집행을 위한 미디어플래닝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