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onverbal Expressions in New Media Art -Case Studies about Facial Expressions and Sound

뉴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비언어적 표현 -표정과 소리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유미 (성균관대학교 예술학 협동과정) ;
  • 안경희 (성균관대학교 예술학 협동과정)
  • Received : 2019.07.22
  • Accepted : 2019.10.24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New media art moves out of place and time constraints, sublimates the benefits of technology into art, and presents a new way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is paper analyses the tendency of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s by analysing examples of facial expressions and sound used in new media art from early tim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digital paradigm in the new media art has a nonlinear thinking, which makes a perceptual reduction of immersion and dispersion. The facial expression in new media art made it possible not only to overcome the limit of space and time of various expressions through 'visual distortions, enlargement, and virtualisation', but also to enable new ways of communication to display facial parts combined or separat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sound in new media art does not stay in auditory sense, but pursues multi-sensory and synesthesia by cooperating with visual and tactile, evolves by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space expansion and sensibility and interaction of audience.

뉴미디어 아트는 장소와 시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테크놀로지의 혜택을 예술로 승화하고 관람자와 새로운 소통 방식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초기의 뉴미디어 아트에서 나타난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표정과 소리에 관한 사례들을 연구했다. 결과적으로 뉴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디지털 패러다임은 비선형성 사고를 갖게 하여 몰입과 지각적 분절감을 느끼게 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뉴미디어 아트에서 표정은 '시각적 왜곡화, 확장화, 가상화'를 통해 얼굴 표현의 공간성과 시간성을 극복했고 디지털 환경 속에서 얼굴 구성 요소의 결합과 분리는 새로운 방식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였다. 뉴미디어 아트에서 소리는 청각 감각에 머물지 않고 다른 감각과 협응하여 다감각화와 공감각화를 추구하며 공간의 확장성과 감각과 수용자의 상호작용성의 특성을 드러내며 발전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마크 트라이브, 리나 제나 저, 황철히 역, 뉴미디어 아트, 마로니에 북스, 2008.
  2. 마이클 러쉬, 심철웅 역, 뉴미디어아트, 시공사, 2003.
  3. 전혜숙, "뉴미디어 아트에서의 신체성: 촉각성을 중심으로," 미술사학, 제33호, pp.359-388, 2009. https://doi.org/10.15819/RAH.2009..33.359
  4. M. McLuhan and Q. Fiore, "The medium is the message," New York, Vol.123, pp.126-128, 1967.
  5. 김병규, 뉴미디어 아트에서의 공간양상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 J. Fiske, Introduciton to Communication Studies, Routledge, 1990.
  7. 김우룡, 장소원,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주) 나남출판, 2004.
  8. M. S. Reml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0.
  9. 마크 냅, 주디 홀 저, 최양호, 민인천, 김영기 역, Nonverbal communication in Human Interaction, 6th Edition, 컴북스 닷컴, 2012.
  10. 정정승,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표현 양상," 영미어문학, 제81호, pp.225-249, 2006.
  11. 최윤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2. 김지명 역, 숨겨진 차원, 정음사, 1984.
  13. 정미영, 의사의 언어.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진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4. 최요선 역, 침묵의 시간, 한길사, 2000.
  15. D. Morris, Manwatching: A field guide to human behaviour, Harry N. Abrahms, 1977.
  16. P. Ekman and W. V. Friesen, Unmasking the face,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1975.
  17. 김영순, 임지룡, "몸짓 의사소통적 한국어 교수법 모형," 이중언어학, 제20호, pp.1-24, 2002.
  18. 황은미,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비언어적 행위-간호대화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제24권, pp.313-335, 2008.
  19. 이도영, "음성언어교육과 문화 창조," 한국초등국어교육, 제20호, pp.32-34, 2001.
  20. 정은이, 정의철,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효과 연구: 홈쇼핑 진행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분석,"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6호, pp.42-84, 2015.
  21. 서경희, "고기능 자폐장애 청소년과 아스퍼거장애 청소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특성,"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9권, 제1호, pp.73-106, 2013.
  22. C. Chevallier, I. Noveck, F. Happé, and D. Wilson, "From acoustics to grammar: Perceiving and interpreting grammatical prosody in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Vol.3, No.2, pp.502-516, 2009. https://doi.org/10.1016/j.rasd.2008.10.004
  23. C. T. Ferrand, 한지연, 최양규 역, 언어임상을 위한 음성과학, ISO 690, 2007.
  24. 이정, 박상현, "그림자를 이용한 소리와 영상의 인터렉티브 퍼포먼스에 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41-45, 2009.
  25. Edward Twitchel Hall, The silent language, Vol. 3, New York: Doubleday, 1959.
  26. R. Schnell, Zu geschichte und theorie audiovisueller wahmehmungsformen, 강호진, 이상훈, 주경식, 육현승 역, 미디어미학, 서울: 이론과 실천, 2005.
  27. 이상은, "디지털 뉴미디어의 시간성과 혼합성,"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3권, 제3호, pp.103-115, 2015.
  28. 한재현, 정찬섭, "얼굴 표정에 의한 내적 상태 추정," 감성과학, 제1권, 제1호, pp.41-58, 1998.
  29. 이윤희, "뉴미디어 공간형식의 의미와 내러티브 인지-퍼스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기호학 연구, 제30호, pp.99-123, 2011.
  30. Man she she, https://tonyoursler.com/man-she-she, 1997.
  31. Half(Brain), https://www.aros.dk/mobile/tonyoursler/?language=en, 1998.
  32. 목선아, 백준기,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바라본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대한 접근 및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585-59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585
  33. 송민정, "키네틱아트의 재조명을 통한 뉴미디어아트의 물질성에 대한 고찰,"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3호, pp.263-270,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3.263
  34. N. Reeves, E. Poncet, J. Nembrini, and A. Marti noli, "VOILES/ SAILS, Self-Assembling Intelligen t Lighter," https://infoscience.epfl.ch/record/89551?ln=en, 2005.
  35. Electric stimulus to face-test, http://www.daito.ws/en/work/electricstimulustoface_test.html, 2009.
  36. 김예경, "신매체 예술, 경계를 넘어서," 영상문화, 제17호, pp.220-255, 2011.
  37. Toshio Iwai, "Piano-as image media," https://muse.jhu.edu/article/19687, 1995.
  38. 나준기, "뉴미디어아트의 표현 경향과 확장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11권, 제4호, pp.47-52, 2008.
  39. Squidsoup, "Fly like a bird," http://www.squidsoup.org/driftnet/, 2007.
  40. Bruce Nauman, "Anthro-Socio," http://www.medienkunstnetz.de/werke/anthro-socio/, 1992.
  41. 김경미, "시각과 청각의 공감각을 구현한 audiovisual interactive performance system 에과난 연구-합성과 해체를 넘어선 통양상적 (通樣相的) 현상에 대한 고찰,"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5호, pp.66-73, 2007.
  42. Golan Levin and Zachary Lieberman with Jaap Blonk and Joan La Barbara, Messa di Voce, http://www.flong.com/projects/messa/, 2003.
  43. Messa di Voce, http://www.flong.com/projects/messa/,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