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Chosun Dynasty Women 's Comprehension of Confucian Scriptures - Focus on (re)citation aspects of the Nine Chinese Classics in Naehoon -

조선 초기 여성 규훈서의 사서오경 (재)인용 양상 연구- 소혜왕후의 [내훈]을 중심으로 -

  • 김세서리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 Published : 201900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contents of the Nine Chinese Classics, especially those cited in the writings of women during the Chosun Dynasty. Considering that the foundation of the studies and political ideology in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annotations,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at how the Nine Chinese Classics were quoted and mentioned in the writings of Chosun women and to examine what their implications are. The main content of this paper is to take note of Queen Sohye's Naehoon to examine in what context the Nine Chinese Classics are quoted and rea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women's reading and knowledge activities were not welcome and the only books women had access to were women's discipline books, women's discipline books were not only just the text for disciplining women but also a mechanism for women to access Confucian scripture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knowledge of traditional women can be re-examined and women can be established as the subject of recognition. By doing so, an opportunity is provided to expand the contents of 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which were centered on knowledge of male Confucian scholars until present. It may also address issues such as Chosun women's knowledge experience and activities of the Nine Chinese Classics, as well as the political desire of women inherent in them.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시대 여성 규훈서에서 유가 경전, 특히 사서오경이 인용되는 양상과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학문과 정치 이념의 기반이 유학이고 조선유학의 기본체계가 사서오경의 경전과 주석에 근거해 있음을 감안할 때, 조선 여성의 글에서 사서오경이 어떻게 인용되고 거론되었는지, 그 함의가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유의미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본 논문은 소혜왕후의 『내훈』에 주목한다. 『내훈』에서 사서오경이 어떤 맥락에서 인용되고 독해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여성들의 독서 및 지식활동이 환영받지 못했던 전통 시대에 여성들이 그나마 자유롭게 접할 수 있었던 책이 여성 규훈서였음을 떠올려볼 때, 전통유교사회에서 규훈서는 단지 여성 훈육만을 담당하였던 텍스트가 아니라 여성들이 유가경전지식을 접하는 하나의 기제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전통시대 여성들의 지식을 재조명함으로써 여성들을 인식의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고, 이제까지 남성유학자의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해왔던 조선유학의 내용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사서오경에 대한 조선 여성의 지식 경험과 활동, 그리고 그 안에 내재한 여성의 정치적 욕망 등의 문제를 거론할 수 있게 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