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경희, 김신영, 김은희, 배지희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와의 공감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19-144.
- 김나원, 류경희, 심성경 (2014).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에 기초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공감능력 및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4), 613-631. doi:10.5934/kjhe.2014.23.4.613
- 김은주, 김미정, 안세정 (2011).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의 유치원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교사교육연구, 50(3), 119-135. doi:10.15812/ter.50.3.201112.119
- 김효진 (2017). 공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이해와 실제에 관한 질적탐색. 육아지원연구, 12(4), 167-195. doi:10.16978/ecec.2017.12.4.007
- 문연심 (2004). 부모, 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1), 115-144.
- 박성희 (2014). 공감학: 어제와 오늘. 서울: 학지사.
- 서미옥 (2007).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공감적 이해 및 도덕 판단력. 교육연구논총, 28(2), 79-98.
- 송승희, 장경은 (2015). 유아의 정서적 공감능력, 어머니의 공감능력 및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6(3), 59-75. https://doi.org/10.5723/KJCS.2015.36.3.59
- 이석순 (1999). 유아의 공감발달을 위한 방안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9, 239-266.
- 이선경 (2016). 영유아의 공감능력 발달에 대한 고찰. 글로벌사회복지연구, 6(2), 27-42.
- 이영은, 송현주 (2014). 영아의 도움행동과 방해 행동의 의도 이해. 인지과학, 25(2), 135-157. doi:10.19066/cogsci.2014.25.2.004
- 이정희, 정계숙 (2006). 유아 교사용 정서 공감 척도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12, 25-43.
- 장미선, 문혁준 (2004). 유아의 공감에 관련된 변인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9), 53-66.
-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 (2015).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태도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1), 101-122.
- 조경자, 조은지, 이경미 (2012). 공감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의 과제 및 방향. 2012년 한국육아지원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강연, 서울.
- 조성호, 이희경 (2008). 공감과 마음이해: 종합적 접근. 인간연구, 15, 169-202.
- 조은진 (2012). 공감 중심의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논총, 19(11), 219-233.
- 지성애, 정하나 (2015). 유아공감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유아교육연구, 35(3), 101-126. doi:10.18023/kjece.2015.35.3.005
- 최정아 (2015). 만 3세 유아의 교실에서의 공감하기 상황과 그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4), 67-92.
- 한유정, 김순혜 (2015). 초기 청소년의 공감과 친구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12), 471-492.
- 현진영, 김수영 (2015). 공감의 뿌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감능력향상과 공격성감소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24(3), 313-328. doi:10.17643/KJCE.2015.24.3.17
- Bartens, W. (2017). Empathie: Die Macht des Mitgefuhls: Weshalb einfühlsame Menschen gesund und glücklich sind, 공감의 과학 : 인간의 생존에 공감은 왜 필수적인가?(장혜경 옮김). 서울: 니케북스(원판 2015)
- Bischof-Kohler, D. (2012). Empathy and self-recognition in phylogenetic and ontogenetic perspective. Emotion Review, 4(1), 40-48. doi:10.1177/1754073911421377
- Bogdan, R. C., & Biklen, S. K. (2010).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etion to theory and methods, 교육의 질적 연구방법론(조정수 옮김). 서울: 경문사(원판 2006).
- Borba, M. (2004). Building moral intelligence: The seven essential virtues that teach kids to do the right thing, 도덕지능: 건강한 사회인, 존경받는 리더로 키우는(현혜진 옮김). 서울: 한언(원판 1993).
- Borke, H. (1971). Interpersonal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Egocentrism or empathy? Developmental Psychology, 5(2), 263-269. doi:10.1037/h0031267
- Cuff, B. M. P., Brown, S. J., Taylor, L., & Douglas, J. H. (2016). Empathy: A review of the concept. Emotion Review, 8(2), 144-153. doi:10.1177/1754073914558466
- Decety, J. (2018). Empathy: From bench to bedside, 공감: 기초에서 임상까지(현지원, 김양태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12).
- Degortardi, S., & Pearson, E. (2014). The relationship worlds of infant and toddlers: Multiple perspectives from early years theory and practice. Berkshire, UK: Open University Press.
- Echols, S., & Correll, J. (2018). It's More than Skin Deep: Empathy and helping behavior across social groups, 공감은 눈에 보이는 표면적인 것, 그 이상이다: 사회적 집단에서 공감과 도움 행동. In J. Decety (Ed.), Empathy: From bench to bedside, 공감: 기초에서 임상까지(현지원, 김양태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12).
- Flavall, J. H. (1982). Cognitive development, 인지발달(서봉연, 송명자 옮김). 서울: 정민사(원판 1977).
- Glesne, C. (2008).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질적 연구자 되기(안혜준 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판 2006).
- Gopnik, A. (2010). The philosophical baby, 우리아이의 머릿속 : 세계적인 심리학자 엄마가 밝혀낸 아이 마음의 비밀(김아영 옮김). 서울: 랜덤하우스(원판 2010).
- Gordon, M. (2010). Roots of empathy: Changing the world, child by child, 공감의 뿌리: 아이들 한명 한명이 세상을 바꾼다(문희경 옮김). 서울: 샨티(원판 2005).
- Graue, M. E., & Walsh, D. J. (2014).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어린이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홍용희, 이경화, 배지희 옮김). 경기도: 파워북(원판 1998).
- Hakansson, J., & Montgomery, H. (2003). Empathy as an interpersonal phenomeno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0(3), 267-284. doi:10.1177/0265407503020003001
- Roth-Hanania, R., Davidov, M., & Zahn-Waxler, C. (2011). Empathy development from 8 to 16 months: Early sign of concern for other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4(3), 447-458. doi:10.1016/j.infbeh.2011.04.007
- Hasse, R. F., & Tepper, D. T. (1972). Nonverbal components of empathic communic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5), 417-424. doi:10.1037/h0033188
- Hatch, J. A. (2008).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진영은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2).
- Hoffman, M. L. (2011).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공감과 도덕발달: 배려와 정의를 위한 함의들(박재주, 박균열 옮김). 서울: 철학과 현실사(원판 1982).
- Howe, D. (2013). Empathy: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공감의 힘(이진경 옮김). 서울: 지식의 숲(원판 2013).
- Hunter, J. E., & Boster, F. J. (1978). An empathy model of compliance gaining message strategy selec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Minneapolis, Minnesota.
- Krznaric, R. (2014). Empathy: A handbook for revolution, 공감하는 능력: 관계의 혁명을 이끄는 당신 안의 힘(김병화 옮김). 서울: 길벗(원판 2013).
- Lee, S. Y. (2006). A journey to a close, secure, and synchronous relationship: infant-caregiver relationship development in a childcare context.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4(2), 133-151. doi:10.1177/1476718X06063533
- Noddings, N. (1984). Caring: A feminine appt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Quann, V., & Wien, C. A. (2006). The visible empathy of infants and toddlers. Young Children, 61(4), 22-28.
- Rifkin, J. (2010). The 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공감의 시대(이경남 옮김). 서울: 민음사(원판 2009).
- Smidt, S. (2012). Introducing Malaguzzi: Exploring the life and work of Reggio Emilia's founding father. London. UK: Routledge.
- Spradley, J. P. (2006). Participant observation, 참여관찰법(신재영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1980).
- Stern, D. N. (2015). The first relationship: Infant and mother, 첫 번째로 맺는 관계: 유아와 어머니(민주원 옮김). 서울: 눈출판사(원판 1997).
- Taylor, S. J., & Bogdan, R. (1984).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search for meanings (2nd 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Waal, F. D. (2017). The age of empathy: Nature's lessons for a kinder society, 공감의 시대: 공감 본능은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위해 진화하는가(최재천 옮김). 경기도: 김영사(원판 2009).
- Warneken, F., Chen, F., & Tomasello, M. (2006). Cooperative activities in young children and chimpanzees. Child Development, 77(3), 640-663. doi:10.1111/j.1467-8624.2006.00895.x
- Zahn-Waxler, C., & Radke-Yarrow, M. (1990). The origins of empathic concern. Motivation and Emotion, 14(2), 107-130. doi:10.1007/bf00991639
- Wittmer, D. S. (2008). Focusing on peer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in the early years. Washington, DC: Zero to Three.
- Wittmer, D. S., & Petersen, S. H. (2011).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A relationship-based approach, 영아발달과 반응적 교육: 관계중심 접근법(이승연, 김은영, 강재희, 문혜련,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6).
Cited by
- 18~24개월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신념 및 신념에 따른 양육 실제 vol.17, pp.4,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