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실뱀장어의 하굿둑 어도 및 갑문 이용 실태 연구

Migration of Glass Eel (Anguilla japonica) through Fish Way and Lock Gate in an Estuarine Barrage

  • 조현빈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곽석남 ((주)환경생태공학연구원) ;
  • 김구환 (한국수자원공사 부산권지사) ;
  • 이완옥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박기연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곽인실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 김동균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투고 : 2019.02.28
  • 심사 : 2019.03.13
  • 발행 : 2019.03.31

초록

본 조사는 월령이 망(보름)인 2016년 4월 22~23일과 5월 25~26일에 낙동강 하굿둑 갑문과 어도 등 총 4개 지점에서 실뱀장어 이동 가능성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뱀장어는 총 23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지점별로 보면 동편 하굿둑에서 22개체, 서편 하굿둑에서 1개체가 채집되었다. 소상지원 시설물 형태 변화, 즉 갑문의 패들 및 어도의 수문 개방 여부, 인조잔디 및 솔의 설치에 따른 실뱀장어의 채집 개체수의 변화를 보면, 동편 하굿둑 갑문의 경우 5개체에서 15개체로 3배 상승하였고, 2번 어도의 경우 0개체에서 2개체로 상승하였다. 본 조사는 2회 조사 결과로 표본수가 작아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은 결여되어 있으나, 낙동강 하굿둑 어도와 갑문 모두에서의 실뱀장어를 채집하여 실뱀장어의 하굿둑 어도와 갑문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하굿둑 어도 및 갑문의 소상지원 시설물 형태변화에 따른 실뱀장어 채집 개체수가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향후 실뱀장어 회유시기에는 하굿둑 어도 및 갑문을 능동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 total of 23 individuals of glass eel (Anguilla japonica) were investigated from two estuarine barrages of the Nakdong River in 2016. It was observed that most individuals migrated through the eastern barrage, compared to the western. Individual numbers differed significantly along the corridor modification of the barrages; for example,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two to three times higher after the modif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dification of fish way and lock gate for has facilitated migration of glass eel, and our study potentially offers the operation strategy of estuarine barrage in order to induce more active migration of glass eel.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Dekker, W. 2003. Worldwide decline of eel resources necessitates immediate action-Quebee Declaration of Concern. Fisheries 28: 29-30.
  2. Hwang, S.D., T.W. Lee, H.B. Hwang, I.S. Choi and S.J. Hwang. 2009. Upstream Behavior of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in an Experimental Eel-Ladder.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1(4): 262-272.
  3. Kim, J.W., W.C. Lee, H.C. Kim, S.H. Hong and K.D. Park. 2016. Feeding Habits of the Glass Eel Anguilla japonica Determined by C and N Stable Isotop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1(1): 36-43.
  4. Laffaille, P., J.M. Caraguel and A. Legault. 2007. Temporal patterns in the upstream migration of European glass eels (Anguilla anguilla) at the Couesnon estuarine dam.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73(1-2), 81-90. https://doi.org/10.1016/j.ecss.2006.12.011
  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9. http://www.mof.go.kr/index.do. Accessed on 27 Feb. 2019.
  6. Tesch, F.W. and R.J. White. 2008. The eel. John Wiley & Sons.
  7. Ting, K.H., K.L. Lin, H.T. Jhan, T.J. Huang, C.M. Wang and W.H. Liu. 2015. Application of a sustainable fisheries development indicator system for Taiwan's aquaculture industry. Aquaculture 437: 398-407. https://doi.org/10.1016/j.aquaculture.2014.12.030
  8. Watanabe, S., J. Aoyama and K. Tsukamoto. 2004. Reexamination of Ege's (1939) use of taxonomic characters of the genus Anguilla. Bulletin of Marine Science 74: 337-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