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eneral-Purpose Computational Thinking Scale for Programming Education on Problem Solving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범용 컴퓨팅 사고력 척도 개발 연구

  • 이민우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9.09.10
  • Accepted : 2019.09.30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general-purpose evaluation tool and to analyze their applicability in problem solving programm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of teacher training college. For this purpose, we have redefined the area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detail elements from the viewpoint of problem solving programming, and developed general-purpose computational thinking scale to evaluate the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evaluation tool developed for the actual college students of teacher training colleg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 general-purpose evalu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to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and can be genera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 대학 학부생 대상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 범용의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컴퓨팅 사고력의 평가 영역과 세부 요소를 재정의 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자기평가식 범용 컴퓨팅 사고력 검사지를 개발하고, 교원 양성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평가 도구를 적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기평가식 범용 컴퓨팅 사고력 검사지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6). 초.중등 SW교육 활성화 방안. 교육부 보도자료
  2.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3.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지침. 교육부 고시
  4. 최정원.이영준 (2014). 컴퓨팅 사고력 평가방안 설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22(2), 177-178.
  5. 이은경 (2009). Computational Thinking 능력 향상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모형.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
  6. 김병수 (2015). 계산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PPS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7. 안성훈 외 (2016). 2016년도 SW교육 연구학교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2016-4
  8. 양재명 외 (2017). 2017년도 소프트웨어(SW) 교육 효과성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2017-8
  9.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10. 최정원.이은경.김경훈.이영준 (2015). 2015개정 정보 교과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평가 방안에 대한 제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2), 9-12.
  11.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 of the ACM, 19 (3),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12. NATIONAL_RESEARCH_COUNCIL (2010). Report of a Workshop on the Scope and Nature of Computational Thinking.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3. Barr, V. &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https://doi.org/10.1145/1929887.1929905
  14. Computer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15. 최무영 (2015).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능력 신장을 위한 찾아가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
  16. 이영준.백성혜.신재홍.유헌창.정인기.안상진.최정원.전성균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17.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18. Seiter, L., & Foreman, B. (2013). Modeling the learning progressions of computational thinking of primary grade students. In Proceedings of the ninth annual international ACM conference on International computing education research, pp.59-66. ACM.
  19. 엄명용.조성우 (2005). 사회복지실천과 척도 개발. 서울: 학지사.
  20. ICTE & CSTA(2011).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Revised.
  21. 성태제.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2. 유진은 (2015). 양적연구 방법과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23. Mabe, P. A., & West, S. G. (1982). Validity of self-evaluation of ability: A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 (3), 280-296. https://doi.org/10.1037/0021-9010.67.3.280

Cited by

  1. EXCEL VBA를 이용한 컴퓨팅 사고력 교육 모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연구 vol.23, pp.2, 2020, https://doi.org/10.32431/kace.2020.23.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