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Vermesan, O., Friess, P., Guillemin, P., Gusmeroli, S., Sundmaeker, H., Bassi, A., ... & Doody, P. (2011). Internet of things strategic research roadmap. Internet of Things-Global Technological and Societal Trends, 1 (2011), 9-52.
- Stankovic, J. A., Lee, I., Mok, A., & Rajkumar, R. (2005). Opportunities and obligations for physical computing systems. Computer, 38 (11), 23-31. https://doi.org/10.1109/MC.2005.386
- 교육부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세종: 교육부.
- 이태욱.최현종 (2016). 정보교과교육론. 서울: 한빛아카데미.
-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0. 서울: 교육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정보교과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교구 활용방안.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2017년도 소프트웨어(SW)교육 연구학교 현황 및 효과성 분석.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이영재.전형기.김영식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선택 기준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437-450.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4.437
- 전형기.김영식 (2018).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의 SW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 교구 평가 준거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5), 37-48. https://doi.org/10.32431/kace.2018.21.5.004
- O'Sullivan, D., & Igoe, T. (2004). Physical computing: sensing and controlling the physical world with computers. Course Technology Press.
- Blikstein, P. (2013, June). Gears of our childhood: constructionist toolkits, robotics, and physical computing, past and future. In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pp. 173-182). ACM.
- Rogalski, J., & Samurcay, R. (1991). Acquisition of programming knowledge and skills. Psychology of programming (pp. 157-174) Elsevier.
- 유인환 (2005).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로봇 프로그래밍의 가능성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 36(2), 109-128.
- 유인환 (2009). 정보영재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교육용 로봇과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25(2), 313-331.
- 김종훈.김종진.이태옥 (2006). 마이크로 로봇 교육을 통한 초등학교 창의성 계발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8), 124-132.
- 서정현.김영식 (2012). 아두이노(Arduino)를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지, 16(2), 103-107.
- 김혜진.서정현.김영식 (2016). 아두이노를 연계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707-724.
- 윤정구.김영식 (2018). 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7(3), 53-73.
- 김재휘.김동호 (2016).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69-82.
- Rubio, M. A., Hierro, C. M., & Pablo, A. P. D. M. (2013, July). Using arduino to enhance computer programming cours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Proceedings of EDULEARN13 conference (pp. 1-3).
- 김영희 (2016). 교재교구 : 이론과 실제. 파주: 양서원.
- 오연주.이지영.손진실 (2015). 교재.교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 김미숙 (2015). 음악 교재.교구 활용의 당위성과 방향 모색. 예술교육연구, 13(1), 101-104.
- Schon, D. A. (2017).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Routledge.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28 (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 Saaty, T. L. (2013).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Encyclopedia of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pp. 52-64). Springer, Boston, MA.
- Saaty, T. L. (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1), 9-26.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7-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