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년기 평생교육이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on Self-esteem and Self-integration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투고 : 2019.08.02
  • 심사 : 2019.08.28
  • 발행 : 2019.09.28

초록

오늘날의 노년기의 모습은 더 이상 의존적인 존재가 아니고 배우며 봉사하고, 생산하며 기여하는 모습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노년기의 사회, 심리적 불안의 극복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년기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또한 다가오는 초고령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노년기 평생교육의 시작점이 점점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평생교육이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노년기 평생교육과 자아존중감, 노년기 평생교육과 자아통합감 사이에서 임파워먼트가 어떻게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50세 이상 회원 220명이 설문에 응답했고 SPSS와 AMOS로 통계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노년기 평생교육은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고, 임파워먼트는 노년기 평생교육과 자아존중감 사이에서, 또 노년기 평생교육과 자아통합감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노년기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그 실천적 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 했다.

Today's elderly people is no longer dependent, but is being transformed into learning, serving, producing and contribut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to overcome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elderly peopl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addition, the starting poi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is getting faster and faster to prepare for the post-ag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affects self-esteem and self-integration, and how empowerment mediates between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and self-esteem,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and self-integration. To this end, 220 members over 50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responded to th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at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improves self-esteem, self-integration and empowerment, and empower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between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and self-esteem, and in the between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and self-integ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was confirmed and the practical plans were found. Finally,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people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935&cid=43667&categoryId=43667
  2. http://www.bs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200784
  3. 송영미, 고령화 사회 노인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Vol.37, No.4, pp.433-440, 1998.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5. 김정영, 한상훈, "노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심리적 안녕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제34권, 제2호, pp.179-208, 2013.
  6. 김태준,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노년 교육 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7. 한정란, 노인교육론, 학지사, 2015.
  8. http://www.100ss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3
  9. 김용숙, 노년기 교육참여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0. 신성철, 제2인생설계 과정에 참여한 은퇴자의 학습경험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1. 신미식, "평생교육으로서 한국노인교육의 발전방향 : 노인교육담론을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제13권, 제1호, pp.1-24, 2007.
  12. 김가베, 박분필, 박종숙, 최윤정 외, 액티브 시니어, SUN, 2017.
  13. 허남철, 인생 2막 어떻게 살 것인가 퇴직,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 박영스토리, 2019.
  14.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 York : Norton Company, 1963.
  15. 장성옥, 공숙, "노인의 자아통합감 개념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제34권, 제7호, pp.1172-1183, 2004.
  16. 오창섭, 정원길, "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노화정도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제19권, 제2호, pp.1-26, 2009.
  17.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평생교육 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3호, pp.1-17, 2012.
  18. 곽미정, 김태동,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8권, 제1호, pp.45-74, 2014.
  19. http://www.medireportgo.co.kr/data/view.html?rid=45998
  20. 신민식,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인 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8.
  21. Leng.rand, An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Paris : UNESCO Press, 1970.
  22. 윤여각, "평생교육 개념의 재검토 : 유네스코의 랑그랑.포르.다베.들로 보고서를 중심으로," 평생교육학연구, 제21권, 제4호, pp.31-53, 2015.
  23. 이해주, 최운실, 권두승,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3.
  24. 한아름, "성공적 노후준비를 위한 노인 인문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제11호, pp.21-46, 2014.
  25. 정지용, 최운실, "미래의 '시니어붐'시대의 신노년의 역할," 미래교육연구, 제7권, 제3호, pp.1-24, 2017.
  26. B. L. Neugarten,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2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84017&cid=42128&categoryId=42128
  28.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W.W. New York : Norton Company, 1963.
  29. 김기순, 김연희,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노인복지연구, 제17권, pp.157-189, 2002.
  30. M. Minkler,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Open Society: An Historical Perspective,"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16, No.1, pp.17-30, 1989. https://doi.org/10.1177/109019818901600105
  31. 강수영,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2. 김주현, 한경혜, "노년기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한국노년학, 제21권, 제2호, pp.209-224, 2001.
  33. 이봉진, 홍상욱,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제8권, 제2호, pp.139-156, 2012.
  34. 길태숙, 장석진, "리듬 액션 게임을 활용한 노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우울감,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게임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5권, 제3호, pp.93-10, 2012.
  35. 황미구, 김은주, "노인 일자리 사업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및 노인의 개인적인 특성이 삶.직무.사회참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137-156, 2008.
  36. 김기현, 노인대학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산 지역을 중심으로, 경북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7. https://blog.naver.com/vision242/40194646034
  38. 전정아, 노인의 자아통합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우울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2006.
  39. 주용국, 이양희,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제38권, 제4호, pp.905-922, 2018.
  40. 김다영, 김보성, "시 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노년기 자아통합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9권, 제5호, pp.731-739, 2017.
  41. 김 안젤라,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4권, 제1호, pp.153-179, 2004.
  42. 윤영미, 박혜영, "노래자서전 음악활동이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4권, 제1호, pp.27-46, 2018.
  43. 최경인, 노인복지기관 여가프로그램 참여가 노년기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 천안시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4. 선우은정, 노인교육커뮤니티를 통한 노인임파워먼트 형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2011.
  45. 신용주, "정보화 교육을 통한 노인 임파워먼트의 모색," 평생교육학연구, 제11권, 제4호, pp.33-53, 2005.
  46. 곽미정, 금상욱, 강문희, "지역사회 봉사활동의 유형과 노인 임파워먼트의 관계 : 전문봉사와 일반봉사의 비교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 제22권, 제3호, pp.237-258, 2015.
  47. 장애경 박연화, "요양시설 노인의 시설적응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제42권 제4호, pp.559-567, 2012.
  48. 최선화, "임파워먼트를 통한 노인상담," 한국노인복지학회, 제20권, 제1호, pp.29-47, 2003.
  49. 조윤득, 윤은경, "대인관계적 임파워먼트가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권, 제51호, pp.57-80, 2011.
  50. 유명숙, "임파워먼트 모델에 근거한 다문화 부부옹호 프로그램이 다문화부부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처방식 및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45-160, 2010.
  51. 강종수,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소진,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5호, pp.213-22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13
  52. 박현순, 나동석, "취업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제40권, pp.147-172, 2008.
  53. 남기민 최화강, "취업노인의 생산적 활동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5권, 제1호, pp.347-371, 2009.
  54. 라준수 이희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구성원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 평생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제34권, 제6호, pp.141-167, 2015.
  55. 조경아,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 교과교육학회, 제19권, 제10호, pp.1197-1212, 2019.
  56. 최운실, 성인교육류형에 따른 교육 참여 특성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57. 임현민, 중년기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8.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59. 전병재, self-esteem questionna1re. Rosenberg (1962)가 개발한 것을 번안, 1974.
  60. 최태을, 도시지역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준비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61. 서용숙,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자아통합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 한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2. J. Hair, R. Anderson, R. Tatham, and W.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ition), Prentice Hall, New Jersey, 1968.
  63. 조문제, 정윤, "CRM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고객자산 가치관리역량 매개효과 중심으로,"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제16권, 제4호, pp.71-101, 2006.
  64. 우종필, 구조방정식 모델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2.
  65.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2. https://doi.org/10.2307/3151312
  66. 신미식, "한국노인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인교육활성화방안: 비판적 노인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제19권, 제4호, pp.269-290 2014
  67. 김미정, 늦게 핀 미로(美路)에서, 행복에너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