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Learning Type on Ambidextrou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al Culture

학습 형식이 양면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 지원 인식의 매개 및 관계 문화의 조절효과

  • 박영용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 ;
  • 권상집 (동국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
  • Received : 2019.07.04
  • Accepted : 2019.08.06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on or moderation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 and relational culture on the ambidextrous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us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548 data provid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provided to the memb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ambidextrou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POS showed that full and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the 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on ambidextrou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relational culture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positivel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exploitative performance.

본 연구는 학습 형식이 탐험과 활용이라는 양면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프로세스에 관해 구성원들이 인지하고 있는 조직 지원과 관계 문화의 특성은 어떤 매개 또는 조절효과를 발휘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인적 자본 기업 패널 조사를 활용, 설문에 응답한 548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원들에게 제공되는 형식 학습과 무형식 학습은 기업의 성과인 탐험 성과와 활용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들이 느끼는 조직 지원 인식은 형식 학습과 무형식 학습이 양면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방향에 대해 완전매개,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계 문화는 무형식 학습이 조직의 활용 성과에 미치는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해주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정언, 우형록, "팀의 양면적 활동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탐색, 활용의 균형과 조합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4권, 제2호, pp.515-542, 2015.
  2. 허문구, "지식탐색과 조직양면성," 지식경영연구, 제16권, 제1호, pp.95-115, 2015. https://doi.org/10.15813/kmr.2015.16.1.005
  3. C. A. O'Reilly and M. L. Tushman, "The ambidextrous organiz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82, No.4, pp.74-81, 2004.
  4. 권상집, "한류 확산을 위한 CJ E&M의 디지털 및 글로컬 콘텐츠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78-9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078
  5. 박선민, 박지혜, "기업의 무형식 학습이 비재무적 성과를 매개로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제14권, 제1호, pp.1-26, 2012.
  6. N. Day, "Informal learning gets results," Workforce, Vol.77, No.6, pp.30-36, 1998.
  7. 우혜정, 박민주, 윤관식, 김우철, "조직 구성원의 무형식학습 참여를 통한 직무능력 향상,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제20권, 제2호, pp.89-123, 2017.
  8. C. P. Weave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overload as modera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effectiveness and job satisfaction," Emerging Leadership Journeys, Vol.8, No.1, pp.79-100, 2015.
  9. P. S. Adler, B. Goldoftas, and D. I. Levine, "Flexibility versus efficiency: A case study of model changeovers in the Toyota production system," Organization Science, Vol.10, pp.43-68, 1999. https://doi.org/10.1287/orsc.10.1.43
  10. 주효진, 장봉진, "성과관리제도의 운영 요인과 조직신뢰 간의 경험적 연구: 조직문화(관계문화와 과업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5권, 제2호, pp.237-259, 2016.
  11. M. Farjoun, "The end of strategy?," Strategic Organization, Vol.5, No.3, pp.197-210, 2007. https://doi.org/10.1177/1476127007079960
  12. K. Wain, Philosophy of life long education, London: Helm, 1987.
  13. 류석우, 양해술, "기업 HRD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조직지원 특성에 따른 효과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497-50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497
  14. 송인숙, 권상집, "교육훈련, 서번트 리더십, 자기효능감, 교육훈련 전이, 지식공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제18권, 제4호, pp.261-286, 2017. https://doi.org/10.15813/kmr.2017.18.4.011
  15. S. C. Kang, S. S. Moris, and S. A. Snell, "Relational archetype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value creation: Extending the human resource architec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2, No.1, pp.236-256, 2007. https://doi.org/10.5465/amr.2007.23464060
  16. 심용보, "무형식 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고성과작업체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 제38권, 제2호, pp.1-26, 2016.
  17. 정홍인, 조대연, "팀 내 무형식학습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45-64, 2012.
  18. R. Eisenberger, R. Huntington, S. Hutchison, and D. Sowa,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1, No.3, pp.500-507, 1986. https://doi.org/10.1037/0021-9010.71.3.500
  19. 송진구, "변혁적 리더십과 교육훈련 제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274-28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8.274
  20. W. A. Hochwarter, L. A. Witt, D. C. Treadway, and G. R. Ferris, "The interaction of social skill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1, No.2, pp.483-489, 2006.
  21. 이상윤, 이정열, "중국기업 리더십, 기업문화, 조직지원인식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3호, pp.47-79, 2014.
  22. 전현민, 권한조, 장현종, "호텔 직원의 조직후원인식이 조직변화 몰입 및 근로의욕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제14권, 제3호, pp.25-48, 2015.
  23. W. Verbeke, M. Volgering, and M. Hessles, "Exploring the conceptual expansion with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Organization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35, No.3, pp.303-329, 2002. https://doi.org/10.1111/1467-6486.00095
  24. E.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merican Psychologist, Vol.45, No.2, pp.109-119, 1990. https://doi.org/10.1037/0003-066X.45.2.109
  25. L. Smircich, "Concepts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8, No.3, pp.339-358, 1983. https://doi.org/10.2307/2392246
  26. 박주완, 송창용, 황승록, "조직문화가 교육훈련 투자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을 중심으로," 제4회 인적자본기업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283-305, 2012.
  27. 윤우제 서인석, 권기헌,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조직문화의 조절효과와 조직 신뢰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 지방행정연구, 제25권, 제3호, pp.155-192, 2011.
  28. 이명주, 최장호, 조봉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생산성논집, 제29권, 제3호, pp.143-178, 2015.
  29. 권정언, 우형록, "창의적 성과를 제고하는 조직 양면성 구현양식에 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17권, 제2호, pp.51-73, 2016. https://doi.org/10.15813/kmr.2016.17.2.003
  30. 이인혜, 권상집, "tvN의 콘텐츠 혁신: 폐기학습 및 흡수역량을 통한 탐험과 활용,"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제11권, 제8호, pp.355-368, 2017.
  31. 옥지호,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에 의한 조직 양면성의 매개효과 검증,"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2권, 제1호, pp.45-71, 2015.
  32. 김현우, 홍아정,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이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정체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제18권, 제1호, pp.1-27, 2016.
  33. 권정숙,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 적합성을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4권, 제4호, pp.87-109, 2010.
  34. 제갈란, 김학수, "지원적 조직환경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연구: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의 상호작용 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4권, 제4호, pp.1-32, 2017.
  35. 최명원, "멘토링 실행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멘토링 효과인식과 조직문화의 조절된 매개 모델," HRD연구, 제19권, 제2호, pp.133-159, 2017. https://doi.org/10.18211/KJHRDQ.2017.19.2.006
  36. L. J. Cronbach and R. J. Shavelson, "My current thoughts on coefficient alpha and successor procedur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4, No.3, pp.391-418, 2004. https://doi.org/10.1177/0013164404266386
  37.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38. 윤선미, 권상집, "GWP 조직문화가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제19권, 제1호, pp.23-51, 2017.
  39. D. Shin and A. M. Konrad, "Causality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Vol.43, No.4, pp. 973-997, 2017. https://doi.org/10.1177/0149206314544746
  40. R. H. Holye and G. T. Smith, "Formulating clinical research hypotheses a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 conceptual over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2, No.3, pp.429-440, 1994. https://doi.org/10.1037/0022-006X.62.3.429
  41. S. J. Kwon, D. Ryu, and E. Park,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 strategic agility and dynamic capability on the opportunity pursuit process of new ventures: evidence from South Korea," Academy of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7, No.1, pp.1-17, 2018.
  42. E. Park, J. Ohm, and S. J. Kwon, "Case study on estimating the financial impact of IT process alig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Vol.17, No.3, pp.217-236, 2018. https://doi.org/10.1504/IJITM.2018.092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