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Influence of Watching Dialectic Dominant Television Drama to the Emotion, Recognition & Action of Regional Youth : In-Depth Interview with the Viewer of tvN Drama

드라마의 주된 언어 사용이 지역출신 청년의 감정, 인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vN 드라마 <톱스타 유백이> 수용자 심층인터뷰

  • 홍경수 (순천향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9.07.10
  • Accepted : 2019.08.20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Unlike the conventional dramas, most of characters of tvN drama speak dialectic from Chonnam province. I could predict that watching this drama would influence the feelings, cognitions and behaviors of youth from that province. By interviewing 7 participants, I found that they felt strong familiarity with little exceptions. They recognized the being of dialectic and discovered the attractiveness of dialectic, and the necessity of preservation also. After watching the drama participants made a resolution to speak dialectic more, and made active actions to meet contents and people about dialectic. In conclusion, dialectic could be developed as an important element for interesting contents. The drama has a power to influence youths to change the feelings, recognitions, and actions. So I assert that the use of dialectic in the drama should be considered discretely and positively.

기존의 드라마와는 반대로 tvN 드라마 <톱스타 유백이>에서는 출연자의 대다수가 전남 방언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고향을 떠나 공부하고 있는 전남 출신 청년들에게 이 드라마의 시청이 방언에 대한 감정, 인식, 행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고, 실제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하나같이 친근함에 대해 호소했으며, 일부는 방언이 낯설게 느껴졌다고 답했다. 또한 방언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고 객관적인 매력을 발견했으며, 사라져가는 방언을 보존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라마 시청 이후 방언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는 다짐을 했으며, 미디어와 사람을 통해서 방언과 더 적극적으로 만나고 싶다는 변화를 체험했다고 답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할 때, 방언은 새롭게 개발될 재미의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방언을 주된 언어로 사용한 드라마의 방언이 해당 지역출신 청년들에게 방언의 가치를 재인식시키고, 방언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송에서의 방언을 매우 신중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승철, 방언의 발견 , 창비, 2018.
  2. 오새내, "방송매체와 방언," 방언학, 통권 제22호, pp.61-82, 2009.
  3. 김택근, 새벽: 김대중 평전, 사계절, 2012.
  4. 송은경, "로맨스와 힐링 둘다 잡은 '톱스타 유백이' 2.9% 종영," 연합뉴스, 2019.01.26.
  5. I. Ang, Watching Dallas, Soap Opera and the Melodramatic Imagination, 박지훈 역, 댈러스 보기의 즐거움, 나남, 2017.
  6. 홍경수, "〈그것이 알고 싶다〉의 수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9, pp.81-9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9.081
  7. 김현주, "방송 언어의 공공성 훼손 사례와 개선방안," 한국방송학회 2006 봄철 정기학술대회 발표문, pp.590-601, 2006.
  8. 윤재홍, "한국 지상파 방송 3사의 방송뉴스 언어 선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4호, pp.104-129, 2005.
  9. 성주영, 지역 역사문화 재현과 방송 스토리텔링 연구 : 대구MBC 다큐드라마 <경상별곡>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0. 차윤정, 류지석, "지역인을 고려한 자갈치 아지매의 언어 사용 양상," 코기토(Cogito), 통권 제68권, pp.377-403, 2010.
  11. 김성규, "방송말의 자리매김," 한국언론학회 주최 세미나 '방송입말의 언어적 기능과 사회 문화적 역할' 발표문, pp.3-28, 2019.
  12. I. Seidman, Interviewing as qualitative method, 박혜준, 이승연 역,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p.3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