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Needs and Satisfaction of Service Related to Assistive Device and Assistive Device for Long-Term Care Elderly : Focused on Beneficiary Older Adults People in Long-term Care Insurance

노인복지용구의 품목 및 서비스의 만족도와 요구도에 대한 연구: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를 중심으로

  • 우지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9.07.18
  • Accepted : 2019.09.03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This study is was to suggest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the needs of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The subjects were 184 beneficiary older adults in long-term health insurance who used home care service in I city and D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With the exception of cognitive assistance grade, subjects were showed from 'normal' to ' satisfied' on a types of assistive device and services related to assistive device. I, II grade subjects needed assistive device for self-care. III, IV and V grade subjects needed assistive device for safety and health maintenance. In the service related assistive device, All subjects needed service on 'periodic follow-up service', 'expert on assistive device'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This result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 to needed assistive device in accordance with grade unlike previous studies.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ected to utilize as a basic evidence for improvement of assistive device, service related to assistive device for elderly.

본 연구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의 노인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함으로써 복지용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D광역시와 I시에 위치한 재가복지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장기요양보험 등급자 18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지원 등급자를 제외한 대상자들은 복지용구 품목과 서비스에는 보통에서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1등급과 2등급 인정자들은 자조관리를 돕는 품목, 3등급에서 5등급 및 인지지원 등급자들은 건강관리 및 안전에 관련된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보였다. 복지용구 서비스에서는 모든 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들이 주기적인 추후관리 서비스, 복지용구 전문가 및 전문 인력 교육훈련 그리고 체계적인 평가를 필요로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복지용구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장기요양보험등급별 복지용구 품목에 대한 요구도를 세부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가 복지용구 품목 및 서비스와 관련한 제도개선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전국고령인구비율," http://kosis.kr/search/search.do, 2019.03.05.
  2. S. Stark, E. Somerville, and J. Morris "In-Home Occup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merican, Vol.64, pp.580-589, 2010.
  3. 국민건강보험공단, "복지용구 급여," http://www.longtermcare.or.kr/npbs/e/b/304/npeb304m01.web?q, 2019.03.01.
  4. 보건복지부, "커뮤니티케어,"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177&page=1, 2019.03.08.
  5. 이태범, 장현숙,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인정자의 복지 용구 이용효과," 보건행정학회지, 제20권, 제4호, pp.126-138, 2010. https://doi.org/10.4332/kjhpa.2010.20.4.126
  6. 박상희, 한은정, 이정석, 박세영, 복지용구 급여제공 개선방안연구 -표준급여모형을 중심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6.
  7. 김정순, 강인순, 하주영, 진영란, 이효영, "복지용구사업소 운영 인력의 역할 및 교육훈련의 과제," 한국직업교육학회, 제28권, 제4호, pp.113-131, 2009.
  8. 진영란, 김광병,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급여제도 비교 -일본, 독일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6호, pp.201-223, 2013.
  9. 김수봉, 남상권, 심옥수, "장기요양노인의 복지용구 이용만족도 비교와 개선방안,"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125-132, 2013.
  10. 양영애, 김종배, 최숙희, 김신영, 박수정, 신중일, 복지용구급여 개선방안 연구, 국민건강보험, 2012.
  11. 박경영, 김민선, "복지용구 사용 만족도와 필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작업치료 고령친화산업정책학회지, 제1권, 제1호, pp.31-38, 2009.
  12. 김정현,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3. 박지혁, 작업치료 실행체계 구성범주와 과정, 정담미디어, 2017.
  14. MediCare, "Durable medical equipment," https://www.medicare.gov/coverage/durable-medical-equipment-coverage.html, 2019.03.05.
  15. Natioinal Health Service, "Care Service, Equip ment and care homes," http://www.nhs.uk/conditions/social-care-and-support-guide/care-services-equipment-and-care-homes, 2019.03.02.
  16. 테크노에이드협회, 개호보험 복지용구대여 실태 조사연구사업 보고서(2008. 3), 2008.
  17. 중앙치매센터, 2014 국가치매관리워크숍 자료집, 서울, 중앙치매센터, 2014.
  18. L. Osterberg and T. Blaschke, "Adherence to medica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53, pp.487-497, 2005. https://doi.org/10.1056/NEJMra050100
  19. W. F. Gallad, J. L. Grenard, and Z. A. Macum,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to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Looking beyond cost and regimen complexity,"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s Phamacotherapy, Vol.9, pp.11-23, 2011. https://doi.org/10.1016/j.amjopharm.2011.02.004
  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복지용구 운영현황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9.
  21. 장기요양보험공단. "복지용구 품목별 이용현황(2019. 4), 노인," http://www.longtermcareor.kr/.npbs/d/m/000/moveBoardView?q, 2019.06.10.
  22. 김제선, 한연주, "초고령사회 진입 지방자치단체 노인의 의료비 부담과 가구 유형의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610-62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