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designs for an early screening questionnaire for developmental disorders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Republic of Korea, who are at an increased risk of developmental disorders due to cultural and language barriers. Research on early screening questionnair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s extremely scanty, unlike that on ordinary early detection tests designed for the same category of disorders. Worse still, there have been no attempts made a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language-based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at are endured by multicultural parents and social workers in the field. Given the challenges, this study confirmed through professional seminars the present status of early developmental disorder screening questionnaires and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specialized versions for multicultural children. Then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s of the stakeholders by employing surveys and interviews, and obtained insights and core design elements. These preceding implementations led to the creation of an early developmental disorder screening questionnaire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 test kit incorporates the style of illustrations preferred by multicultural parents, as well as a system of language-specific interpretation services. Produced in a leaflet format, the questionnaire will be used at support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 disabled persons in each district for the practical purpose of early screening of developmental disorders among multicultural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본 연구는 문화와 언어의 장벽으로 인해 발달장애 발생 위험이 높은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발달장애 조기선별 검사지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인 발달장애 조기 선별검사지와 달리 다문화가정을 위한 조기 선별 검사지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며, 특히 다문화가정의 부모와 관련 사회복지사들이 현장에서 겪는 언어적, 문화적 소통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시도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세미나를 통하여 기존의 발달장애 조기 선별검사지 현황과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니즈를 파악한 후 인사이트와 디자인 핵심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부모가 선호하는 일러스트레이션 스타일과 언어권별 음성지원시스템을 포함한 발달장애 조기 선별검사지를 개발하였다. 리플릿 형식의 검사지는 지역의 다문화센터 및 장애인복지센터에서 다문화가정의 영유아 발달장애 조기 선별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