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thods of Initial Response Wooden Cultural Asset Architecture by Fire

목조 문화재 건축물의 화재로 인한 초기 대응 능력에 관한 조사 연구

  • 이성우 (광주대학교 소방행정학과)
  • Received : 2019.08.05
  • Accepted : 2019.09.23
  • Published : 2019.09.28

Abstract

Title of management of cultural asset architectures made of wood managed by nation or local government is separated and there is a high concern about the disappearance of many national cultural asset architectures by fi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major installed appliances in terms of disaster prevention, and problems by early suppression in the event of fire and by mobilization of fire engines in depth. Also, this study derived problems by conducting an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on interested parties for installation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by related law and to improve system to make realistic maintenance.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y have reached the positive aspects of protecting cultural asset architectures from disaster as fire by maintaining and managing facilities by establishing proper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because they are surrounded by mountain or buildings are contiguous. Wooden cultural asset architectures are often excluded from regulation for installa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under the Fire Services Act because most of wooden cultural assets are detached buildings, occupy small area, and are one-storied architecture. The best method is having extinguishing ability themselves according to the manual by making fire manual as management policy before the outbreak of fi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follow-up study for practical considerations to establish or designate a professional management agency for them to protect important national cultural heritage buildings at the state level before they are destroyed by fire.

목조로 된 문화재 건축물들은 국가 또는 지방 자치에서 관리하는 관리의 권원이 분리되어 있으며 국보급 등 많은 문화재 건축물들이 화재로 인한 소실 우려가 높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보급 등 정부와 각 시도에서 관리하는 목조 문화재의 현황을 파악해서 방재측면에서 설치되어 있는 주요 설비 효용성과 화재 시 초기 진압과 소방차의 출동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심층적으로 파악을 하였다. 또한, 관련 법령에 의한 소화설비들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현실에 맞도록 제도 개선을 위하여 관계인에게 심층 개별 면담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거나 부속 건물들이 인접해 있어 이에 알맞은 방재 대책을 세워 시설을 유지관리 함으로써 화재 등 재난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도달하였다. 목조 문화재의 대부분은 단독 건물에 면적이 작고 단층이기 때문에 소방법상 소방시설 설치규정에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최선의 방법으로는 화재 발생전 안전관리 대책 등 화재 대응 매뉴얼을 작성하여 매뉴얼에 따라 자체적으로 소화 능력을 갖추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향후, 국가의 중요 문화재 건물에 대하여 화재로 소실되기 전 예방을 위한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 전문기관이 설립 또는 지정되어 보호할 수 있도록 실질적 고려를 위한 후속 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규, "한국과 일본의 문화재 보호정잭 연구," 한국지역 혁신논집, 제4권, 제2호, p.84, 2009.
  2. 소방청, 통계정보, 2018 소방청 통계연보, p.85, 2018.
  3. 문화재청, 통계정보, 주요업무 통계, pp.13-16, 2018.
  4. http://news.kbs.co.kr/news/view.do.
  5. http://www.newspin.com/new/view, 2019.
  6. 공하성, "사찰 화재예방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지, 제8권, 제4호, pp.87-90, 2008.
  7. 장형순, 조원부, 김흥기, "목조문화재 건축물의 화재방재를 위한 조사 연구," 한국농촌 건축학회지, 제10권, 제4호, pp.25-26, 2008.
  8. 한범덕, "목조 문화재 재난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제5권, 제1호, pp.1-12, 2009.
  9. 한국소방안전원, "문화재 점검 및 안전관리," 문화재청, pp.10-15, 2018.
  10. 김창규, "문화재의 관리와 활용의 방재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서울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p.555, 2013.
  11. 박기련, "일본의 사찰 방재시설 현장취재기," 불교신문, 제2158호, 2017.
  12. 배재현, "숭례문 복원과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이슈와 논점, 국회입법조사처, pp.2-4, 2013.
  13. 백민호, "목조문화재 화재예방 및 진화시스템 개발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pp.62-63, 2008.
  14. 김영도, "국가문화재 보호대책은 없는가," 소방방재신문, 2008.
  15. 김만수, "화재 조사," 신광문화사, pp.148-149, 2004.
  16. 한국임업진흥원 시험평가실, "목조문화재 수종 구성," pp.4-6, 2016.
  17. 노삼규, 함은구, 김종성, "목조문화재 연소특성 및 화재성상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 소방학회춘계학술발표회, 2009.
  18. 문화재청, 화재 등 재난매뉴얼, pp.45-50, 2018.
  19.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소방력 출동지침," pp.14-15,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