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ng the Role of Seosan-Daesan Port Considering New Northern Policy

신북방정책을 대비한 서산 대산항의 발전 전략

  • 이태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유통학과) ;
  • 김성국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유통학과) ;
  • 윤경준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Received : 2019.05.07
  • Accepted : 2019.06.21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o ensure that Korea continues to grow, past governments have been consistent in following a policy of advancing into Russia, Mongolia, and Eurasia. The northern economy can expect to achieve synergistic growth because its economic structure complements that of Korea, which has high energy demand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re is also an opportunity to accelerate the growth of the China-Russia-Mongolia economic corridor, which is based on Russia's Look East Policy, China's One Belt One Road, and the Mongolian Steppe Road initiative. The Korean government is pursuing a New Northern Policy to achieve the goal of economic cooperation and peace building with other nations, including North Korea; this policy succeeds the Northern Policy pursu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As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require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demand for shipping, which offers more advantages than road and rail transportation, will increase; th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it. Korea's port cities, which have a port that serves as the nodal point for maritime transportation, need to prepare for the New Northern Policy. In this paper, the long-term development of Seosan-Daesan port in the was planned and the North Korea's opening-op plan was considered in accordance with the New Northern Policy. Because international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ovincial cities is required, cooperation with the Port Authority is needed, along with the proactive attitude of Seosan City, Chungcheongnam-do. The Seosan-Daesan port, which is the center of the liquid energy cargo center, can become the base of the New Northern Policy Region; further, the port can be an opportunity to establish its position as a peaceful economic hub on the west coast of Korea.

한국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러시아, 몽골, 유라시아 등의 북방 경제권에 진출하는 것이 역대정부의 일관된 정책이다. 북방경제는 에너지 수요가 많고 산업이 발달한 우리나라와 상호보완적 경제구조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 신동방정책, 중국 일대일로, 몽골 초원의 길 이니셔티브 등 중국-러시아-몽골 경제회랑이 가속화되는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역대 정부가 추진하였던 북방정책을 계승하고 그간 미진하였던 북한을 포함하여 경제협력과 평화구축이라는 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신북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적인 경제협력을 위해서는 필연적인 운송이 수반되기에 육로보다 유리한 해상운송의 수요가 증가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해상운송의 결절점인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의 항만도시는 신북방정책에 대비한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시대의 서산 대산항을 장기적인 발전을 기획하면서 신북방정책에 맞추어 북한의 개방발전 방안을 고민하였다. 정부간 및 지방도시간의 국제협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서산시의 전향적인 태도와 함께 항만운영체와 협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응을 적극 이행한다면 현재 액체에너지화물 중심항만의 서산 대산항이 신북방정책의 거점이 될 수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서산 대산항이 명실상부한 서해안평화경제 허브로서 입지를 다지는 기회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조.임용호.유현아(2017), 통일대비 남북 접경지역 국토이용 구상: 남북협력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세종: 국토연구원.
  2. 김명아(2015), 한중 FTA 지방경제협력 시범사업 관련 어젠다 분석, 한중 FTA 지역 대응 방안 논의를 위한 토론회(2015.4.21.), 인천발전연구원.
  3. 김성휘 (2018), "교통.전력망.산업협력 등 다양한 연결, 동북아 평화번영까지 내다봐", 나라경제, 제333호, pp. 18-19.
  4. 김예경(2017),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의 개최 의미와 시사점", 이슈와 논점, 제1316호, 국회입법조사처.
  5. 김형근.최정석(2018), "신북방정책에 따른 중국물류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中國學論叢, 제60집, 한국중국문화학회, pp. 127-144.
  6. 남북해운합의서(2004.5.28.).
  7. 남북해운합의서의 이행과 준수를 위한 부속합의서 (2004.5.28.).
  8. 남수중.오대원(2018), "한국과 중국 지방간 경제협력 방안 연구: 도시간 무역협정의 체결 추진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중관계연구, 4(1), pp. 125-150.
  9. 대통령직속북방경제협력위원회 (2018) http://www.bukbang.go.kr
  10. 대한민국 정부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간의 자유무역협정 (2015.6.1.)
  11.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2019) https://www.gaok.or.kr
  12. 민귀식(2018), "중국 해상실크로드와 해양물류네트워크 구축전략", ", 중소연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제42권 제2호, 115-148.
  13. 변현섭.김영진(2017), "사할린-홋카이도 철도 연결 사업의 가능성 분석과 러-일 물류협력의 방향", 중소연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제41권 제2호, pp. 295-327.
  14. 북방경제협력위원회(2018), 신북방정책 중점추진과제 이행점검 결과 설명자료.
  15. 세종연구소(2017), 북한 비핵화 관철을 위한 추진전략, 통일준비위원회 연구용역보고서.
  16. 오대원(2018), 일대일로정책과 신북방정책의 도시간 경제협력 가능성 분석. 비교경제연구, 25(2), 79-106.
  17. 오영일(2018), "한반도 정세 변화가 가져올 '新북방' 비즈니스 기회: 러시아 극동을 중심으로", POSRI 이슈리포트, p. 3.
  18. 오용준(2017), "2030 서산도시기본계획(안) 사전 검토", 충남연구원 현안과제연구, pp. 1-30.
  19. 이재영(2018), "한반도 평화번영과 신북방정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미나.
  20. 이해정.이용화(2017), "신북방정책 추진의 기회와 위협 요인", VIP리포트, 제701호, 현대경제연구원, p. 1.
  21. 이현주.유현아.김경술.김동성.서종원(2018),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위한 기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p. 49.
  22. 전봉근(2017), 북핵 시나리오 분석과 한반도 비핵.평화 체제 추진체계, 서울: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3. 최천운.정태용(2017), "한.중.러 간 협력을 통한 남북 경협사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연구", 중소연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제41권 제2호, pp. 67-96
  24. 통일부 주요사업통계(2019) https://www.unikorea.go.kr
  25. 한국로지스틱스학회(2017), 서산 대산항이 서산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산: 서산시청.
  26. Burda, Michael C. and Weder, Mark(2017), The Economics of German Unification after Twenty-five Years: Lessons for Korea, SFB 649 Discussion Paper 2017-009, Berlin: Humboldt-Universitat.
  27. Central Intelligence Agency(2019), https://www.cia.gov
  28. Jarausch, Konrad H.(2013), United Germany: Debating Processes and Prospects, New York: Berghahn.
  29. World Bank(2019), http://lpi.worldbank.org
  30. 山东半岛蓝色经济區建設中日韩地方经济合作示范區的框架方案的复函, 2012.9.
  31. 山东半岛蓝色经济區发展规划, 20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