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Discussion-Based Science Class of Pre-service Teachers on Concept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초등예비교사의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9.07.30
  • Accepted : 2019.08.20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study purpose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applying discussion-based science class on concept of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established an twelve-week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from April to June 2019, 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med a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27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year of the B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aking cours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 Research 1' For the classes applying discussion-based science class, the analysis was made on 2015 revised curriculum, and 12th process-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discussion. The developed data had designed to develop concept of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study group applied process-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discussion science class, so unaffectedly study group could improve their concept of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 University of education is singleness class that doesn't have compare group, so this study is constituted only study group. Applying based-discussion science class to study group, before and after concept of science concept test, science teaching efficacy test i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group applied discussion-based science cla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pt of science achievement (p<.05). Second, the study group applied discussion-based science cla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 teaching efficacy(p<.05). Third, after discussion-based science class of pre-service teachers have a very good feeling. Through such study results, the study could figure out that the class applying discussion-based science class has positive effect on concept of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이 과학적 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B 교육대학교의 2학년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연구집단을 구성하였다. 토의 토론 중심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위해 2015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지구와 우주영역인 '태양계와 별', '지구와 달의 운동', '계절의 변화' 단원에서 20개의 과학개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과학주제를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 12차시로 나누었으며, 12주간의 실험처치를 하였다. 연구집단에 사전-사후검사로 과학개념 검사,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를 하였다.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과학개념의 습득과 과학교수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연구절차를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은 과학개념 습득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참가한 학생 대부분이 토의 토론 중심의 과학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토의 토론 중심 과학수업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연주, 이현주(2014).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수행 경험이 학생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이해 및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49-457.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5.0449
  2. 김도욱(2018). 의미네트워크를 활용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물질 개념체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37(1), 39-53.
  3. 김성래(2008).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순식, 이용섭(2014).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토의 토론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33-143.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133
  5. 김은주, 이현동, 이효녕(2016).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전향력 개념에 대한 정신모형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23-434.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3.0423
  6. 김은진(2013). 생명과학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이용한 강좌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과 오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39-115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39
  7. 백성혜, 김경은(2013). 전기가 흐르는 물질로서 도체와 전해질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념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03-1118.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03
  8. 손성준(2014). 신문을 활용한 토의 학습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자기 효능감과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신원섭(2016). 초등과학 탐구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학습관 및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4(3), 555-568.
  10. 안은주, 송명섭(2015).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교과 수업실습 실태. 한국초등과학, 68, 174-174
  11. 엄장희(2017). 토의토의 토론을 활용한 과학 실험 수업이 과학학습동기,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오아름해솔, 위지은, 문병권(2014). 과학 : 혼합층 계절변화에 대한 중등 예비 과학교사의 대안개념. 과학과 과학교육, 39(2), 145-156.
  13. 유찬송(2018). 토의.토론 중심의 과학수업이 학업 성취도 및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유찬송(2018). 토의토의 토론 중심의 과학수업이 학업 성취도 및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윤혜경(2011). 초등 예비교사의 아동의 과학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64-180.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2.164
  16. 윤혜경(2015). 학생의 과학 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추론. 초등과학교육, 34(1), 58-71.
  17. 이창규(2017). 토의토의 토론 중심의 협동학습을 활용한 초등 과학수업이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58-272.
  19. 장명덕(2015). 초등 예비교사들의 온실효과 관련 핵심 개념들에 대한 이해. 초등과학교육, 34(1), 15-31.
  20. 전경문(2011).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과학 교수 목표 지향성과 교수 효능감. 초등과학교육, 30(4), 504-513.
  21. 정문성(2016). 토의토의 토론 수업방법. 교육과학사.
  22. 조혜민(2017). 토의토의 토론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사회과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하민수(2016). 생태개념과 유전개념에 따른 예비과학교사의 진화개념 발달 탐색.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4(2), 300-311.
  24. 한유화(2012). 과학교수효능감을 기르기 위한 교실탐구모델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현동걸, 신애경(2019). 소규모학교 과학실험 보조교사의 경험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 불안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제76차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03-103.
  26. Aydeniz, M., & Brown, C. L. (2010). Enhanc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essential science concepts through a reflective conceptual change model.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2), 305-326.
  27. Aydeniz, M., & Ozdilek, Z. (2016). Assessing and enhanc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f-efficacy to teach science through argumentation: Challenges and possible solu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7), 1255-1273. https://doi.org/10.1007/s10763-015-9649-y
  28. Jita, T. (2016).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to teach science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South Africa. Perspectives in Education, 34(3), 15-26. https://doi.org/10.18820/2519593X/pie.v34i3.2
  29. Montebon, D. R. T. (2018). Pre-service teachers'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integration in science lessons. Journal Pendidikan Humaniora, 6(1), 1-8.
  30. Peace, H. M. B. (201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s of knowledge domains and efficacy belief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ProQuest LLC, 209.
  31.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Science Education, 74(6), 625-673.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32. Sönmez, D. (2015). Creating meaningful experiences for pre-service teachers: thoughts and experiences on an elective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gressive Education, 1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