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Random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on Walking of Healthy Adults

무작위 시청각자극이 건강한 성인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 park, Jieun (Dept. of Physical Therapy, Sunlin University) ;
  • Kim, Euna (Dept. of Physical Therapy, Sunlin University) ;
  • Yang, Sungmin (Dept. of Physical Therapy, Sunlin University) ;
  • Lee, Nahyun (Dept. of Physical Therapy, Sunlin University) ;
  • Ha, Minhye (Dept. of Physical Therapy, Sunlin University) ;
  • Cha, Yuri (Dept. of Physical Therapy, Sunlin University)
  • 박지은 (선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김은아 (선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양성민 (선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이나현 (선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하민혜 (선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차유리 (선린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19.03.29
  • Accepted : 2019.05.03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randomly applied to healthy adults on walking.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wenty-six healthy students in S colle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visual feedback group (n=13) and auditory feedback group (n=13). The visual feedback group walked using four conditions. 1) In the red screen was shown, clap twice to the right, 2) In yellow screen, clap twice to the left, 3) In green screen, clap twice over head. 4) Do not clap in purple screen. The auditory feedback group walked using four conditions. 1)in red, clap twice to the right, 2) In yellow, clap twice left, 3) In green, clap twice over your head. 4) Do not clap in purple. All subjects measured gait variables before and after the test using G-walker. Result: The visual feedback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5) in the number of steps per minute, walking speed, and step length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walking. The auditory feedback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5) in the number of steps per minute, walking speed, and step length than that of normal walk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applied to healthy adults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walking.

Keywords

References

  1. 강형규, 정이정. 시각 흐름 속도에 따른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2;13(1):247-253.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47
  2. 김정수, 구정완. 시각과 청각을 통한 인지적 과제수행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 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133-141.
  3. 김창용, 정혜원, 김형동. 스마트폰 사용이 정상인의 장애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16(1):471-479. https://doi.org/10.5762/KAIS.2015.16.1.471
  4. 나성실, 신소희. 노인의 Time Up and Go Test의 구간구분에 따른 시간과 활동체력과의 관련성.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18;26(2):197-202.
  5. 박해원, 박상균. 스마트폰 사용이 보행역학과 청각 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6;64:783-795.
  6. 방대혁, 이영찬, 봉순녕. 만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훈련에서 인지적 이중과제 훈련이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근촉진법학회지. 2012;10(1):25-33.
  7. 배진현, 이승화, 박연중, 김도연, 조은경.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에 청각 및 시각 신호가 미치는 영향.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1(1):78-84.
  8. 오복균, 남해성. 편마비환자의 트레드밀 보행 훈련 중빠른 템포 음향이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4;15(7):4346-4352. https://doi.org/10.5762/kais.2014.15.7.4346
  9. 우병훈, 설정덕. 입체시력 감소가 장애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15;54(5):829-840.
  10. 유경훈, 심재훈, 정성대, 전혜선. 휴대전화 사용이 젊은 성인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문자메세지 보내기와 음악 감상하며 문자메세지 보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2015;10(4):25-31. https://doi.org/10.13066/kspm.2015.10.4.25
  11. 유진호, 전재근, 이병훈. 대학생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이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7;11(3):243-248.
  12. 이경무. 한국 정상 성인의 시각 및 청각 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에 관한 연구.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6;20(3):711-714.
  13. 이순현, 이경진, 하귀현, 인태성, 송창호. 리듬청각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대칭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1; 12(5):2187-2196.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187
  14. 이옥경, 안덕현. 팔걸이 형태에 따른 정상인의 보행변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10(5):67-276.
  15. 이진수, 양승훈. 보행 시 스마트폰 사용이 시각 및 청각 자극에 대한 신체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5;9(3):299-305.
  16. 이현민, 이정아. 이중과제 동작관찰 신체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6;11(2):3-91.
  17. 정세라, 원종임.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4;21(2):18-27. https://doi.org/10.12674/ptk.2014.21.2.018
  18. 정화수, 조화영, 최수희, 박선자, 오혜진. 팔 흔들기가 정상인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2014;12(11):451-459.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451
  19. 조남정, 이동엽 시각리듬자극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0;11(9):3353-3357. https://doi.org/10.5762/KAIS.2010.11.9.3353
  20. 지상구, 김명권, 차현규. 이중 운동 과제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3;8(1):1-9. https://doi.org/10.13066/kspm.2013.8.1.001
  21. 지상구, 남기원, 김명권, 차현규. 거울을 이용한 시가적 되먹임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의학회지. 2011;6(2):153-163.
  22. 하귀현, 이명모, 송창호. 양측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트레드밀 보행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3;52(1):95-315.
  23. 한종만, 권원안.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적 과제와 청각적 과제가 보행에 미치는 영향. 보건기초의학회지. 2017;10(2):33-36.
  24. 현동수, 최종덕. 리듬청각자극을 이용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3;14(12):6237-6245.
  25. Arias P, Cudeiro J. Effects of rhythmic sensory stimulation(auditory, visual)on gait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Exp Brain Res, 2008;186(4):89-601.
  26. Brunt D, Liu SM, Trimble M, Bauer J, Short M. Principles underlying the organization of movement initiation from quiet stance. Gait Posture. 1999;10(2):121-128. https://doi.org/10.1016/S0966-6362(99)00020-X
  27. Chen CL, Chen HC, Tang SF, Wu CY, Cheng PT, Hong WH. Gait performance with compensatory adaptatations in stroke patients with different degree of motor recovery. Am J Phys Med Rehabil. 2007;20(3):125-131.
  28. Hausdorff JM, Lowenthal J, Herman T, Gruendlinger L, Peretz C, Giladi N.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modulates gait variability in Pakinson's disease. Eur J Neurosci. 2007;26(8):2369-2375. https://doi.org/10.1111/j.1460-9568.2007.05810.x
  29. Jeong S, Kim MT. Effects of a theory-driven music and movement program for stroke survivors in a community setting. Appl Nurs Res. 2007;20(3):25-131.
  30. Kim CH, Chu H, Park C, Kang GH, Seo J, Sung KK, Lee S. Comparison of recovery patterns of patterns according to the paralayzed side in Korean stroke patients:Protocol for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Medicine(Baltimore). 2018;97(35).
  31. Lord SR, Dayhew J. Visual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J Am Geriatr Soc. 2001;49:508-515. https://doi.org/10.1046/j.1532-5415.2001.49107.x
  32. Mauritz KH.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Eur Med Phys. 2004;40(3):165-178.
  33. Thaut MH, Leins AK, Rice RR, Arggtatter H, Kenyon GP, Mclntosh GC, Bolay HV, Fetter M.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mproves gait more than NDT/Bobath training in near-ambulatory patients early poststroke:a single-blind. randomized trail. Neurorehanil Neural Repair. 2007;21(5):455-459. https://doi.org/10.1177/1545968307300523
  34. Thaut MH, Mclntosh GC, Rice RR. Rhythmic facilitaition of gait traning in hemiparetic stroke rehabilitation. J Neurol Sci. 1997;151(2):207-212. https://doi.org/10.1016/S0022-510X(97)00146-9
  35. Thaut MH, Stephan KM, Wunderlish G, Schicks W, Tellmam L, Herzog H, Mclntosh GC, Seitz RJ, Homberg V. Distinct cortico-cerebellar activations in rhythmic auditory motor synroniaztion. Cortex. 2009;45(1):45-53.

Cited by

  1.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gait kinematic data measured using a portable gait analysis system in healthy adults vol.27, pp.3, 2019, https://doi.org/10.26862/jkpts.2020.12.27.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