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890년대부터 1900년대에 걸쳐서 일본은 여러 차례 조선의 바다를 조사하였다. 그 조사결과물로는 "조선통어사정"(1893) "조선국원산출장복명서"(1895) "조선수로지"(1894) "조선어업협회순라보고"(1898~1900) "한해통어지침"(1903) "한국수산지"(1908~1911)를 들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조사들이 100년 이전에 이루어진 것이지만, 당시 조선의 어업 상황은 물론이고 연해지역 주민들의 생활상을 소상히 들여다볼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한국수산지"는 전 4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연해의 수산물을 비롯하여 조선의 역사와 문화와 관련된 내용도 적지 않다. 특히 연해 마을의 인구,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 어선과 그물 수까지 파악하고 있다. 수산학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미 린네 이후의 근대적인 수산물 분류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당시의 분류는 현재의 분류와 다른 점도 적지 않아서 동식물 분류학의 관점에서도 흥미로운 자료라고 할 수 있다.
From the 1890s to the 1900s, Modern Japan investigated the sea of Korea (Joseon Dynasty) several times. The records of investigation result were "Fishery Circumstances of Korean Sea"(1893), "Official Trip Report on Wonsan Area of Korea"(1895), "Nautical Publication of Korea"(1894), "Patrol Reports of Korea Fishery Association"(1898~1900), "Fishery Guide for Korean Sea"(1903) and "Chronicles of Korea Fisheries"(1908~1911). Although these surveys were conducted more than 100 years ago, they provide a glimpse into the fishing situation of Korea as well as the lives of residents in the coastal areas. In particular, Chronicles of Korean Fisheries is a vast collection of four volumes, and it has much to do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including marine products from the coastal waters, the population of coastal villages, the number of people engaged in fishing, and the number of fishing boats and ne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fisheries studies, the modern classification of marine products after Linne has already been applied, and the classification of those day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sent classification, so it can be said to be an interesting data from the viewpoint of animal and plant tax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