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SE-TE) of In-service Teachers on Backward Design based TPACK-P Teachers' Training Program

백워드 설계 기반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SE-TE)에 미치는 영향

  • 이소율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9.05.14
  • Accepted : 2019.05.29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PACK-P teachers' training program based on backward design included understanding of backward design principles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ism of software education and informatics education. This teachers'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non-informatics teachers in 32 hours. As a results, teachers showed that post-test result of SE-TEBI was higher than pre-test and the 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value of SE-TE was t=-3.541(p< .01), subscale PSETE was t=-3.559( p< .01) and SEOE was t=-2.258(p< .05). Therefore, we demonstrate that it helps improv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teachers. However, as a result of the test, teachers' PSETE tend to be lower in SEOE, which is interpreted as a lack of confidence in the lessons. Therefore, in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omote the confidence of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정보 교육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TPACK-P 교육 프로그램에 백워드 설계의 이해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이를 비정보과 교사를 대상으로 32시간의 교사 연수를 실시한 결과, 교사들은 SW교육 교수 효능감 측정도구(SE-TEBI)의 사후 검사 결과가 사전 검사에 비해 SE-TE 전체 값(t=-3.541, p<.01) 및 하위 범주인 개인효능(t=-3.559, p<.01), 결과기대(t=-2.258, p<.05)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백워드 설계 기반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소프트웨어 교육 및 정보 교육에 대한 수업 전문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교사들의 개인효능(PSETE)이 결과기대(SEOE)보다 낮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수업에 대한 자신감의 부족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수업 자신감을 촉진할 수 있는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ISBN 1944835008.
  2. Wing, J.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 (3).
  3. 이영준.백성혜.신재홍.유헌창.정인기.안상진.최정원.전성균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4. 교육부 (2018),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5. 교육부 (2015).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05-74호
  6. 이영준 외 (2018). SW.수학.과학 융합형 교수.학습자료 개발.보급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7. 김혜영 (2013).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7(2), 11-38.
  8. 허희옥.서정희 (2018). 해외 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교육공학연구, 34(3), 711-741.
  9. 옥지현.안성진 (2018). 정보교사의 역량에 기반한 소프트웨어교육 교원 직무 연수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1), 43-50. https://doi.org/10.32431/KACE.2018.21.1.005
  10. 전용주 (2018). SW교육 기초 연수를 수강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1), 169-172.
  11. Koehler, M. J. Mishra, P., & Yahya, K. (2007), Trac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 knowledge in a design seminar: integrating content, pedagogy and technology. Computers & Education, 49(3), 740-762. https://doi.org/10.1016/j.compedu.2005.11.012
  12.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13. Gudmundsdottir, S., & Shulman, L. (1987).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ocial studies.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 (2), pp. 59-70. https://doi.org/10.1080/0031383870310201
  14. TPACK Framework (2019). Retrieved from: http://tpack.org
  15.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4.x
  16. Koehler, M. J., & Mishra, P. (2010). Inroducing TPCK. Handbook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lege(TPCK) for educators, 3-29.
  17. Y. T. Wu. (2013), Research trends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research: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selected journals from 2002 to 2011,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4(3), 73-76. https://doi.org/10.1111/j.1467-8535.2012.01349.x
  18. 김성원.이영준 (2017).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TPACK-P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정보교육논문지, 22(7), 141-152.
  19. Kim, E., Kim, S. W., & Lee, Y. (2017).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E-learn: World Conference on E-Learning in Corporate, Government, Healthcare, and Higher Education, 2017 Oct, pp. 627-631,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AACE).
  20. 김성원.이영준 (2018).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5), 49-59. https://doi.org/10.32431/kace.2018.21.5.005
  21. Wiggins, G. P., McTighe, J., Kieman, L. J., & Frost, F. (1998) Understanding by design.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A.
  22. 강현석.이지은 (2016)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교실혁명. 학지사: 서울.
  23. 이지은.강현석 (2014). 영재 수업에서 백워드 설계의 적용-5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 영재와영재교육 13(1), 129-154. https://doi.org/10.17839/JKSGT.2014.13.1.129
  24. Wiggins, G. P., & McTighe, J. (2011)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A.
  25. Wiggins, G. P.,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A.
  26. 이어진.박인옥 (2018). 고차사고력 함양을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의 사회과 플립러닝 수업 설계. 교육문화 연구 24(5), 83-103.
  27. 강현석.이지은 (2018).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학지사: 서울.
  28. 박일수 (2018).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이해중심 도덕과 단원 설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9), 863-885.
  29. 이영호.구덕회 (2015).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과의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4), 409-418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409
  30.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2), 191.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1.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32. 이소율.이영준 (2018). 초등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6), 93-103. https://doi.org/10.32431/kace.2018.21.6.008

Cited by

  1. 초등교원양성 기관의 SW 교육 시수 분석 : SWEET 사업의 영향을 중심으로 vol.24, pp.2, 2019, https://doi.org/10.14352/jkaie.2020.24.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