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ISBN 1944835008.
- Wing, J.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 (3).
- 이영준.백성혜.신재홍.유헌창.정인기.안상진.최정원.전성균 (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 교육부 (2018),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 교육부 (2015).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05-74호
- 이영준 외 (2018). SW.수학.과학 융합형 교수.학습자료 개발.보급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 김혜영 (2013). 융합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융합교육의 방향과 기초융합교과 설계에 대한 제언. 교양교육연구, 7(2), 11-38.
- 허희옥.서정희 (2018). 해외 사례 검토를 통한 국내 SW교육 교사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교육공학연구, 34(3), 711-741.
- 옥지현.안성진 (2018). 정보교사의 역량에 기반한 소프트웨어교육 교원 직무 연수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1), 43-50. https://doi.org/10.32431/KACE.2018.21.1.005
- 전용주 (2018). SW교육 기초 연수를 수강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SW교육 교수효능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1), 169-172.
- Koehler, M. J. Mishra, P., & Yahya, K. (2007), Trac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 knowledge in a design seminar: integrating content, pedagogy and technology. Computers & Education, 49(3), 740-762. https://doi.org/10.1016/j.compedu.2005.11.012
-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3102/0013189X015002004
- Gudmundsdottir, S., & Shulman, L. (1987).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ocial studies.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 (2), pp. 59-70. https://doi.org/10.1080/0031383870310201
- TPACK Framework (2019). Retrieved from: http://tpack.org
-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https://doi.org/10.1111/j.1467-9620.2006.00684.x
- Koehler, M. J., & Mishra, P. (2010). Inroducing TPCK. Handbook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lege(TPCK) for educators, 3-29.
- Y. T. Wu. (2013), Research trends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research: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published in selected journals from 2002 to 2011,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4(3), 73-76. https://doi.org/10.1111/j.1467-8535.2012.01349.x
- 김성원.이영준 (2017).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TPACK-P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정보교육논문지, 22(7), 141-152.
- Kim, E., Kim, S. W., & Lee, Y. (2017).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among Preservice Teachers. In E-learn: World Conference on E-Learning in Corporate, Government, Healthcare, and Higher Education, 2017 Oct, pp. 627-631,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AACE).
- 김성원.이영준 (2018).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5), 49-59. https://doi.org/10.32431/kace.2018.21.5.005
- Wiggins, G. P., McTighe, J., Kieman, L. J., & Frost, F. (1998) Understanding by design.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A.
- 강현석.이지은 (2016)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위한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교실혁명. 학지사: 서울.
- 이지은.강현석 (2014). 영재 수업에서 백워드 설계의 적용-5학년 수학과를 중심으로-. 영재와영재교육 13(1), 129-154. https://doi.org/10.17839/JKSGT.2014.13.1.129
- Wiggins, G. P., & McTighe, J. (2011)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A.
- Wiggins, G. P.,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2nd ed).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A.
- 이어진.박인옥 (2018). 고차사고력 함양을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의 사회과 플립러닝 수업 설계. 교육문화 연구 24(5), 83-103.
- 강현석.이지은 (2018).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학지사: 서울.
- 박일수 (2018).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이해중심 도덕과 단원 설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9), 863-885.
- 이영호.구덕회 (2015).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과의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4), 409-418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4.409
-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2), 191.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4), 569. https://doi.org/10.1037/0022-0663.76.4.569
- 이소율.이영준 (2018). 초등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6), 93-103. https://doi.org/10.32431/kace.2018.21.6.008
Cited by
- 초등교원양성 기관의 SW 교육 시수 분석 : SWEET 사업의 영향을 중심으로 vol.24, pp.2, 2019, https://doi.org/10.14352/jkaie.2020.24.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