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Fostering science-gifted individuals are ver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cultivate information-gifted individual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y. There is no standardized curriculum for each gifted education center of the Univers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effective the curriculum developed on the basis of computing thinking is to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gifted individuals. The curriculum developed on the components of computing thinking was applied to the information-gifted students of K Univers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we developed a creative personality test and an intrinsic motivation test, and conducted tes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We compared pre-post test results by t-test with R program.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 consisted of 36 items with 6 factors: risk-taking, self - acceptance, curiosity, humor, dominance, and autonomy. The intrinsic motivation test consisted of 20 items with 5 items: curiosity and interest oriented tendency, challenging learning task preference orientation, independent judgment dependency propensity, independent mastery propensity, and internal criterion propensity.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o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0.009, 0.05).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0.056 and was not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국가의 미래를 위하여 과학영재육성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4차 산업의 시대에서는 정보영재의 육성은 더욱 중요하다. 대학교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는 정보영재를 양성하고 있는데 각 영재교육원마다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을 바탕으로 개발한 교육과정이 정보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분석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개발한 교육과정을 K대학교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창의적 성격 검사지와 내적동기 검사지를 개발하여 교육과정의 실행이전과 이후에 각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R프로그램으로 t-검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창의적 성격 검사지는 모험성, 자아수용, 호기심, 유머, 지배성, 자율성 6가지 요소로 3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내적 동기검사는 호기심 및 흥미 중시성향, 도전적인 학습과제 선호성향, 독자적 판단 의존 성향, 독자적 숙달 성향, 내적 준거성향 5요소로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교육과정이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도 0.009로 유의도 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적동기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도 0.056로 유의도 0.05수준에서 아주 간소한 차이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