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

  • 이주희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서은숙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9.07.17
  • Accepted : 2019.08.13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cal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at purpose, 305 4-year university student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were surveyed to rate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cale, dysfunctional belie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Macr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ysfunctional belief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cal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lso, dysfunctional belief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scal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s a result of t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Bootstrapping, dysfunctional belief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a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stablish a useful theoretical foundation for counseling strategies to efficiently help through counseling th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parental control.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G광역시와 J도 소재 4년제 대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역기능적 신념, 정서표현 양가성, 대인관계문제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SPSS 22.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각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담현장에서 부모의 통제로 인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 내담자를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는 상담전략을 설정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변유정,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수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 H. S. Sullivan,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Norton, 1953.
  3. 권석만, "이차적 분노사고와 대인관계문제 및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상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제3권, 제1호, pp.1-22, 2017.
  4.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pp.559-567, 2004.
  5. 유은영, 윤치근, 양유정,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3권, 제1호, pp.274-283,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74
  6. 조윤경, "한국인의 나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1호, pp.91-109, 2003.
  7. 최임정, 심혜숙,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2호, pp.479-492, 2010.
  8. 김성령,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 L. E. Alden and N. Phillips, "An Interpersonal Analysis of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4, pp.499-513, 1990. https://doi.org/10.1007/BF01172970
  10. 이은주,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1. 정수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정서지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2. 김지윤, 진미경,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제26권, 제4호, pp.355-378, 2019.
  13. Bronfenbrenner, "Contexts of child rearing: Problems and prospects," American Psychologist, Vol.34, No.10, pp.844-850, 1975.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844
  14. 허인아, 이민규, "성인애착의 불안-회피 차원에 따른 대인관계문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0권, 제4호, pp.71-91, 2017.
  15. 김경원, 양수진,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불안통제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1권, 제3호, pp.139-161, 2018.
  16. 배애진, 심혜원,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불안과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제30권, 제4호, pp.1193-1217, 2018.
  17. 신채영, 윤순화, 윤경미,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2호, pp.131-151, 2013.
  18. 권두리, 신나나,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4권, pp.147-148, 2018.
  19. 이은지, 서영석, "불안전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대인관계문제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자기자비와 낙관적성향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제26권, 제2호, pp.413-439, 2014.
  20. B. K. Barber and E. L. Harmon,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15-52, 2002.
  21. 남정민, 성현란, 권선영,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남녀 중학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7권, 제3호, pp.140-170, 2014.
  22. M. M. Nanda, B. A. Kotchick, and R. I. Grov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hood anxiety: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lack of control,"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21, No.4, pp.637-645, 2012. https://doi.org/10.1007/s10826-011-9516-6
  23. 이은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4. 정수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정서지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오남경, 권혁철, 이영순,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 태도와 분리개별화 및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분리불안과 함입불안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제19권, 제1호, pp.85-102, 2012.
  26. 류아영, 유순화, 윤경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제22권, 제3호, pp.135-155, 2014.
  27. 김정원, 양수진,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불안통제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1권, 제3호, pp.139-161, 2016.
  28. 이연정, 최은실, "기혼여성의 부부갈등과 우울 증상의 관계: 성취지향성 및 사회적 의존성 역기능적 태도의 다중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7권, 제1호, pp.85-98, 2019.
  29. 서은미, 최은실,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지발달중재학회, 제10권, 제1호, pp.47-66, 2019.
  30. 이상현, 최수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공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5호, pp.265-289, 2018.
  31. 장혜인, 지각된 부모의 양육 행동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2.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pp.226-224,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2.226
  33. 조용래, 원호택,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평가,"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8권, 제1호, pp.141-162, 1999.
  34. 김성주, 이영순,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재활심리연구, 제23권, 제4호, pp.759-782, 2016.
  35. S. F. Olsen, C. Yang, H. H. Craig, C. C. Robinson, W. Peixia, D. Nelson, J. Nelson, S. Jin, and J. Wo,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eschool Children's Behavioral Outcomes in Chin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in Barber, B, (Eds.) Ins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2
  36. D. A. Clark, A. T. Beck, and B. A. Alford, "Scientific foundations o f cognitive theory and therapy o f depression," New York: John Wiley. 1999.
  37. 안하얀, 서영석, "성인애착, 심리적 디스트레스, 대인관계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3호, pp.575-603, 2010.
  38. L. A. King and R. A. Emmons, "Conflict over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 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4, pp.864-877,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5.864
  39. 이승미, 오경자,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기혼 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5권, 제1호, pp.113-128, 2006.
  40. 최해연, 민경환,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4호, pp.71-89, 2007.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4.004
  41. 박하얀, 정윤경, 최해연,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 안녕감:아동.청소년.성인집단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8권, 제5호, pp.189-207, 2015.
  42. 김은경,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능력과 대인간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하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55-181, 2010.
  43. 박지숙, 박성연,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5권, 제4호, pp.1-6, 2008.
  44. 권연희, "유아의 사회적 위축성과 관련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정서표현성,"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5호, pp.13-24, 2012. https://doi.org/10.6115/khea.2012.50.5.013
  45. M. Mongrain and L. C. Vettese,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Implications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ociety f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29, No.4, pp.545-555, 2003. https://doi.org/10.1177/0146167202250924
  46. 이경희, 김봉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및 정서주의의 군집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2호, pp.369-384, 2010.
  47. 장정주, 김정모, "정서적 지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 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3호, pp.697-714, 2008.
  48. 박경옥, 박기환, "정서강도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3권, pp.77-95, 2007.
  49. R. F. Baumeister and M. R. Leary,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Vol.117, No.3, pp.494-497, 1995.
  50. 박경애, 이재규, 권해수, 대인관계향상프로그램, 서울, 청소년대화의 광장, 1998.
  51. L. M. Horowitz, S. E. Rosenberg, B. A. Baer, G. Ureno, and V. S. Villasenor,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6, No.6, pp.885-892, 1988. https://doi.org/10.1037/0022-006X.56.6.885
  52. 김성령,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 개념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3. L. E. Alden, J. S. Wiggins, and A. L. Pincus,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5, No.3-4, pp.521-536, 1990.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503&4_10
  54. J. H. Ha and H. I. Jo, "The felationships among perfectionism, stress, the ways lf stress coping, self-efficacy, college adjustment,"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7, No.2, pp.595-611, 2006.
  55. S. H. Kim, and J. W. Kim,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separation,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 and socia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Educational Psychology, Vol.18, No.2, pp.83-97, 2004.
  56. E. Teyber, Interpersonal process in psychotherapy: A relational approach, Stamford, C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000.
  57. 정방자, 최경희, 성숙한 인관관계를 위한 대인관계와 정신역동, 서울: 이문출판사, 2001.
  58. 박순일, 대학생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59. G. Parker, E. A. Barrett, and I. B. Hickie, "From nurture to network: examining links between perceptions of parenting received in childhood and social bonds in adulthood,"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49, No.7, pp.877-885, 1992. https://doi.org/10.1176/ajp.149.7.877
  60. 최명진, 김은정, "심리적 통제척도(PCS-YSR)의 타당성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4권, 제2호, pp.51-69, 2008.
  61. 조용래, 원호택, "사회공포증에 대한 인지적 평가 3," 한국심리학회, 제18권, 제1호, pp.141-162, 1999.
  62. 홍세희, 조용태,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의 구성," 한국심리학회, 제25권, 제3호, pp.865-880, 2006.
  63. L. A. King and R. A. Emmons,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864-877,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5.864
  64. 최해연, 민경환,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4호, pp.71-89, 2007.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4.004
  65.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심리학회, 제21권, 제4호, pp.923-940, 2002.
  66. 오남경, 대학생의 애착요인과 분리개별화의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7. K. Horney, 신경증적 갈등에 대한 카렌 호나이의 정신분석, [Our Inner Conflicts], (이희경, 윤인, 이해라, 조한익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2에 출판), pp.159-160, 2006.
  68.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 - 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13.
  69.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pp.56-75, 1995.
  70. S. P. Mackinnon, S. R. Battista, S. B. Sherry, and S. H. Stewar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predicts social anxiety using daily diary method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6, pp.143-148, 2014. https://doi.org/10.1016/j.paid.2013.08.038
  71. 이찬희, 조영아,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호, pp.163-188, 2015.
  72. 윤혜영, 강지현,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7권, 제2호, pp.405-423, 2015.
  73. 이지선, 정혜정,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와 자아분화 및 대인관계 유능성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1권, 제1호, pp.99-12, 2016. https://doi.org/10.21321/jfr.21.1.99
  74. 최다운, 전효정, 류미향,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1권, pp.225-226, 2017.
  75. 박지아, 김완일,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6호, pp.127-153, 2017.
  76. 이주현, 전영자,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화경험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제12권, pp.151-152, 2017.
  77. 김남연, 양난미, "부모애착, 내면화된 수치심, 분노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3권, 제5호, pp.2309-2328, 2012.
  78. 홍진이, 한기백,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5호, pp.367-389, 2015.
  79. 김행수, 구본용, "부모-자녀의 의사소통 유형과 중학생의 대인관계 및 고독과의 관계에서 개별성과 관계성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제21권, 제2호, pp.127-150, 2014.
  80. 정혜연, 이지민,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 효과," 상담학연구, 제18권, 제2호, pp.169-184, 2017.
  81.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2, pp.226-244,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2.226
  82. D. A. Clark, A. T. Beck, and B. A. Alford, Scientific foundations of cognitive theory and therapy of depression, New York: John Wiley, 1999.
  83. M. Wells and R. Jones, "Childhood parentification and shame-proneness: A preliminary study,"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8, No.1, pp.19-27, 2000. https://doi.org/10.1080/019261800261789
  84. 나하영, 신태섭,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상호작용 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3호, pp.695-717, 2016.
  85. 서수균, 권석만, "비합리적 신념, 자동적 사고 및 분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제24권, 제2호, pp.327-339,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