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gional Culture Contents Service Modeling Based On Localized Advertising of Question And Answer Format

위치문답형 지역광고 기반의 문화정보 서비스 모델링

  • 신환섭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 이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Received : 2019.07.16
  • Accepted : 2019.08.05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Although there are various cultural events and cultural contents produced in the region, there is a lack of distribution and spread of regional information to expand related economic consumption. This study combined local advertising by local advertisers with the knowledge search method in question and answer format from a location-based service perspective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and using local cultural information. The approach looked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knowledge search based on region and location-based advertising research, presented community model of location inquiry based information service and revenue model of local advertisement. Through this, this study designed a question and answer based community and operational structure model of local advertising, and developed 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 the form of prototyping. By extending the distribution of question and answer data among users to location information, it is meaningful that a business service model was presented that combines local cultural content information and the demand for user access with the revenue model of local advertising.

지역에서 생산되는 문화행사 및 문화 콘텐츠가 다양하고 많지만 관련한 경제소비의 확대를 위한 지역정보의 유통과 확산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정보의 확산과 사용을 목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관점에서 지역광고주의 지역광고를 질문과 답변 형식의 지식검색 방법과 결합하고 서비스화 하였다. 접근 방법으로는 지역에 기반한 지식검색에 대한 국내외 사례와 위치기반 광고 연구를 살펴보고, 위치문답형 정보서비스의 커뮤니티 모델 그리고 지역광고의 수익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 문화행사와 문화콘텐츠의 정보유통을 위한 문답기반 커뮤니티와 지역광고의 운영구조 모델을 설계하고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프로토타이핑 형태로 개발하였다. 사용자간의 문답 데이터의 유통을 위치정보에 확장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콘텐츠 정보와 사용자 접근의 수요를 지역광고의 수익모델과 결합하여 제공하는 비즈니스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www.google.com/trends/
  2. 1984-2015년 축입국 국가별 월별통계, 한국관광공사, 2015.
  3. 정걸진, "광고환경의 변화와 지방광고," 사회과학, 제9권, pp.207-224, 1997(12).
  4. 류근호, 이준욱, 이용준, "eCRM을 위한 시간 데이터 마이닝 기술," 데이터베이스 연구회지, 제17권, 제1호, pp.51-72, 2001(3).
  5. 최요한, 서희석, "사용자 참여 기반의 위치 정보 시스템 개발,"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9, No.3, pp.361-367, 2014
  6. 최동운, 송행숙, "유비쿼터스 위치 기반 시스템을이용한 eCRM 모바일 마케팅 시스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7호, pp.153-160, 2007(7). https://doi.org/10.5392/JKCA.2007.7.7.153
  7. 정세훈, 박선민, 심춘보, "위치 정보기반의 지역 축제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커머스 및 정보 알림 시스템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8, No.6, pp.780-791, 2015.
  8. 최영윤, 지식검색서비스 특성이 이용 동기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6).
  9. 이철원, 나대영, 전흥석, "위치 기반 질의형 지식 공유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pp.329-330, 2017.
  10. Jurgen Kuhling, 황태희(번역자), "정보사회에서 새로운 지식제공자로서의 인터넷 검색 서비스," 경제규제와 법, Vol.2, No.1, pp.125-131, 2009.
  11. 손봉진, 최재원, "위치기반 앱 서비스를 통한 인지된 가치와 평판 형성을 위한 소비자 지식 구조," 지식경영연구, Vol.18, No.1, pp.159-176, 2017. https://doi.org/10.15813/kmr.2017.18.1.008
  12. 박종도, "커뮤니티 기반 Q&A서비스에서의 질의 할당을 위한 이용자의 관심 토픽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32권, 제3호, pp.397-412, 2015(9). https://doi.org/10.3743/KOSIM.2015.32.3.397
  13. 박진원, 지역광고의 모바일 마케팅 활성화 방안,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08(1).
  14. Leslie Yeh, Sridhar Ramaswamy, Zhe Qian, and Mark Rose, Determining and/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 an ad system, US 7668832 B2, Google, Inc., Apr. 2004
  15. James S. Ros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matching and promotion, US 20080288355 A1, Yahoo! Inc., Jul. 2008
  16. Murray Blake Fortescu, Paul Robert Birnie, Determining mobile content for a social network based on location and time, US 8260315 B2, Yahoo! Inc., Mar. 2011
  17. http://www.navercorp.com/ko/ir/financialStatements.nhn
  18. http://www.chacha.com/
  19. https://uclu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