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the Job Stress of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매개효과 중심으로

  • 김승완 (국립한국복지대학교 공공행정과)
  • Received : 2019.05.31
  • Accepted : 2019.07.04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of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impact of job stress of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are 508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1st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n Years7-8 (2014-2015).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s of Baron and Kenny(1986) using bootstrapping.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and work environment stress faced by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reduce job stress and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emale worker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매개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 웨이브 7~8차년도(2014년~2015년) 해당 패널에 참여한 여성장애인 근로자 508명이다.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의 연구절차에 따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장애인 근로자가 겪는 조직공정성 스트레스 및 근무환경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가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과 장애인이라는 복합적 사회적 한계를 지닌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경, 최승은, "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4권, 제4호, pp.181-204, 2010.
  2. 김기동, 김화연, 문상호, "조직우선주의가 여성근로자 의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여성연구, 제95권, 제4호, pp.73-108, 2017. https://doi.org/10.33949/TWS.2017..4.003
  3. 주재선, 김영란, 정성미, 송치선, 한진영, 이진숙, 손창균, 윤자영, 2018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4. 유동철, "장애인 실업의 원인: 생산성 또는 차별?," 한국사회복지학, 제48권, pp.333-358, 2002.
  5. 박광표, 김동철, "장애인근로자의 종사장 지위별 삶의 만족 영향요인 비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7권, 제1호, pp.29-55, 2017.
  6. A. C. Crouter, "Spillover from family to work: The neglected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Human Relations, Vol.37, No.6, pp.425-441, 1984. https://doi.org/10.1177/001872678403700601
  7. 이성규, "뇌병변장애인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1권, 제3호, pp.247-288, 2009.
  8. 이주헌, 정현주,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경로분석: 임파먼트의 매개효과와 신뢰의 조절효과 검증," 재활복지, 제13권, 제2호, pp.175-197, 2009.
  9. U. Lidwall and S. Marklud, "What is healthy work for women and men?-A case-control study of gender-and sector-specific effect of psycho-social woking conditions on long-term sickness absence," Work, Vol.27, No.2, pp.153-163, 2006.
  10. 김병숙, 안윤정, 이보비,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반응에 대한 성차분석," 페미니즘 연구, 제9권, 제2호, pp.157-196, 2009.
  11. 박길태, 서인균, 이연실,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와 매개효과," 인문사회, 제8권, 제4호, pp.379-402, 2017.
  12. 정석환, 최천근, "서울지역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7권, 제1호, pp.57-82, 2017.
  13. R. M. Steer and M. J. Black, Organizational behavior,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New York, 1994.
  14. 박성민, 김선아, 조직과 인간관계, 서울: 박영사, 2015.
  15. G. Blau,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job stress, service length and job strai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27, No.2, pp.279-302, 1981. https://doi.org/10.1016/0030-5073(81)90050-7
  16. C. L. Cooper, P. J. Dewe, and M. P. O'Driscoll, Organizational stress, Foundations for Organizational Science, 2001.
  17. 옥원호, 김석용,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5권, 제4호, pp.355-373, 2001.
  18. 장철영, 권영주, "사회적 지원의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공무원들의 심리적 탈진을 중심으로," 제17권, 제3호, pp.157-180, 2006.
  19. C. L. Cooper and J. Marshall, Understanding executive stress, The Macmillan Press: London and Basingstoke, 1978.
  20. C. L. Cordes and T. W. Dougherty,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pp.621-659,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9402210153
  21. 양지숙, 이수연, 금현석,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회적 지원의 효용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1권, 제4호, pp.25-47, 2011.
  22. 염동문,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17권, 제1호, pp.163-188, 2013.
  23. 이선규, 이웅희, 전기상, 한수덕, "장애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16권, 제1호, pp.149-166, 2006.
  24.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25. T. A. Judge and J. A. Colquitt, "Organizational justice and stress: the mediating rol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9, No.3, pp.395-404, 2004. https://doi.org/10.1037/0021-9010.89.3.395
  26. C. P. Alderfer,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human needs in organizational settings, New York, NY, US: Free Press, 1972.
  27. 전지혜, "장애차별경험과 장애인의 우울감의 관계 연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5권, pp.51-80, 2010.
  28. 최지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342-367, 2009.
  29. F. Herzberg, B. Mausner and B. B. Snyderman, The motivation to work(2nd ed.),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959.
  30. R. T. Roessler and P. D. Rumrill,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work site barriers to job mastery and job satisfaction for employed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Rehabilitaion Counseling Bulletin, Vol.39, No.1, pp.2-14, 1995.
  31. 변은경, 윤숙자,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스트레스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447-456, 2010.
  32. 정미혜, 박정일, 구정완, 노영만, "제조업 종사 지체장애인근로자의 스트레스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2-25, 2003.
  33. 윤광식, 이상민, "장애인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합연구, 제6권, 제3호, pp.53-63, 2008.
  34. 김수환, "근로장애인의 직업스트레스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직업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제44권, pp.223-246, 2013.
  35. 김용준, 이성대, 염동문, "매개된 조절효과를 통한 직무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9권, pp.111-130, 2012.
  36. 최희철, "취업정신장애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2호, pp.431-439,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2.431
  37. R. M. Steers, "Antecedents and outcom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on Science Quarterly, Vol.22, No.1, pp.46-56, 1977. https://doi.org/10.2307/2391745
  38. 오석홍, 행정학, 서울: 박영사, 2007.
  39. B. Buchanan, "Building organization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9, No.4, pp.533-546, 1974. https://doi.org/10.2307/2391809
  40. R. T. Mowday, L. W. Porter, and R. M. Steers, Employee 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1982.
  41. L. M. Shore and S. J. Wayne, "Commitment and employee behavior: comparison of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No.5, pp.774-780, 1993. https://doi.org/10.1037/0021-9010.78.5.774
  42. A. E. Reichers, "A review and re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3, pp.465-476, 1985. https://doi.org/10.5465/amr.1985.4278960
  43. 이희태, "지방정부의 성과지향적 인사관리에 따른 공무원의 역할특성 및 대인관계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제18권, 제3호, pp.457-480, 2014.
  44. 박경자, 오윤진,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인간 관계스트레스, 슈퍼비전 및 직업만족과의 관계 연구: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60권, pp.7-34, 2013.
  45. J. Gaines and J. M. Jermier, "Emotional exhaustion in a high stress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6, No.4, pp.567-586, 1983. https://doi.org/10.2307/255907
  46. 신명숙, 홍혜영, "공무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제2권, 제1호, pp63-84, 2010.
  47. J. D. Pincus, The relationship between top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 Sage, 1986.
  48. 민준영, 김호진, 강혜승, 김성천,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5년), 성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6.
  49. 이상균, "사회복지연구에서의 매개효과 검증: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검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리뷰, 제12권, pp.19-36, 2017.
  5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6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1. 문성민, 최선미, "전자정부의 만족도가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52권, 제4호, pp.119-149, 2018.
  52. 김선경, 전재영, 김초록, "직무 스트레스가 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인관계 문제해결 능력의 매개효과: 근무년수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3권, 제4호, pp.1955-1973, 2012.
  53. A. S. Masten, K. M. Best, and N. Garmezy,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2, No.4, pp.425-444, 1990.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812
  54. C. A. Olsson, L. Bond, J. M. Burns, D. A. Vella-Brodrick, and S. M. Sawyer,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Vol.26, No.1, pp.1-11, 2003. https://doi.org/10.1016/S0140-1971(02)00118-5
  55. 김평호, 이유리, "사회복지사의 외상사건경험에 따른 외상후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영향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9호, pp.545-552,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9.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