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cussion on the Introduction of Geriatric Specialized Pharmacists in Regional Pharmacy

지역 약국의 노인 전문 약사 도입 논의

  • 정수철 (부산광역시약사회/정약국)
  • Received : 2019.05.27
  • Accepted : 2019.07.02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In 2018, 14.3 percent of South Korea's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lder entered an aged society and is expect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with more than 20 percent of the elderly population around 2025. Older adults often visit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to take medicine, which requires medication management, such as interaction between each drug. In this study, we wanted to analyze the U.S. system, which specializes in drug management for the elderly, and Korea's system, which is about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to find a systematic way to manage drugs for the elderly. The method of study was a systematic literature study on elderly drug managemen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United States has enacted the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MTM) for the elderly and has been running the Senior Drug Enforcement Program. In Korea, a community care business is underway to manage drugs for senior citizens, but it is analyzed that the elderly need to have a special medicine system for senior citizens to use them more safely.

2018년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4.3%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었으며 2025년 전후로 노인 인구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노인들의 경우 여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각 약물 간의 상호작용 등의 약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약물관리 제도가 전문화되어 있는 미국의 제도와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한국의 제도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노인 약물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한국 및 미국의 노인 약물 관리에 관한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에서는 노인들에게 약물 치료 집중 관리제도(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MTM)를 법제화하였고 노인 전문약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한국에서는 노인 약물 관리를 위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노인들이 더 안전하게 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인 전문약사 제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준석, 이재은, 정기윤, 마승현, 김미영, 유상호, 윤종률, "일개 노인복지관 방문 노인환자들의 다약제복용과 부적절한 약물처방 실태," 대한가정의학회, 제29권, 제12호, pp.925-931, 2008.
  2. 이미우, 박영민, 이정선, 한옥연, 최인영, 정승희, 임현우, 이동건, 나현오,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이용한 노인약물유해반응과 원인약물의 연관성연구," 한국임상약학회지, 제24권, 제1호, pp.39-44, 2014.
  3. 조현숙, "노인의 약물 오용과 약물관리 지식: 일부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4권, 제4호, pp.843-855, 2014.
  4. 김순옥, 양숙자, 김일옥,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고혈압 노인의 약물순응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4권, 제1호, pp.199-214, 2012.
  5. 김두리,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243-253, 2017. https://doi.org/10.15207/JKCS.2017.8.5.243
  6. 임경환, 강민구, 김병근, 김주영, 강민규, 박한기, 강혜련, 조상헌, "자발적 보고자료를 이용한 노인의 약물유해반응 특성," 제92권, 제3호, pp.277-285, 2017. https://doi.org/10.3904/kjm.2017.92.3.277
  7. 김정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오.남용행위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791-80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791
  8. 김효정, 김건희, "이미지 활용 약물교육이 노인환자의 약물지식, 복약자기효능감 및 복약오류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24권, 제1호, pp.56-66, 2018.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1.56
  9. 이선아, 박명화, "농촌노인의 의료정보문해력과 약물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485-497, 2010.
  10. K. Alagiakrishnan, M. Ballermann, D. Rolfson, K. Mohindra, C. A. Sadowski, A. Ausford, J. Romney, and R. S. Hayward, "Utilization of computerized clinical decision support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Clin Interv Aging, Vol.29, No.14, pp.753-762, 2019.
  11. T. Tachi, Y. Kanematsu, S. Aoyama, H. Katsuno, M. Otsubo, A. Ueno, I. Sugita, A. Yoshida, Y. Noguchi, M. Yasuda, T. Mizui, C. Goto, and H. Teramachi, "Analysis of Adverse Reactions Caused by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ptions and Related Medical Costs That Are Avoidable Using the Beers Criteria: The Japanese Version and Guidelines for Medical Treatment and Its Safety in the Elderly 2015," Biol Pharm Bull., Vol.42, No.5, pp.712-720, 2019. https://doi.org/10.1248/bpb.b18-00820
  12. S. T. Lasota, W. Merrey, P. A. Ross, A. Martin, and S. A. Feeser, "Provider Responsiveness to Pharmacist Recommendations in a Population Health Setting." Sr Care Pharm, Vol.34, No.5, pp.308-316, 2019.
  13. C. Chung and C. Bouwmeester, "Nitrofurantoin Use in Frail,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Renal Impairment," Sr Care Pharm, Vol.34, No.5, pp.303-307, 2019.
  14. S. Williams, G. Miller, R. Khoury, and G. T. Grossberg, "Rational deprescribing in the elderly," Ann Clin Psychiatry, Vol.31, No.2, pp.144-152, 2019.
  15. C. J. Byrne, C. Walsh, C. Cahir, and K. Bennett, "Impact of drug burden index on adverse health outcomes in Irish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a cohort study," BMC Geriatr, Vol.19, No.1, p.121, 2019. https://doi.org/10.1186/s12877-019-1138-7
  16. L. G. Jacobs, "For Older Adults, Medications are Common: An Updated AGS Beers Criteria(R) Aims to Ensure They Are Appropriate, Too," J Gerontol Nurs., Vol.45, No.5, pp.47-48, 2019. https://doi.org/10.3928/00989134-20190319-01
  17. 남혜연, 조은, "미국의 노인전문약사 제도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인증, 교육 및 성과," 대한약학회, 제58권, 제2호, pp.129-140, 2014.
  18. 홍은경, "노인 당뇨병 환자의 약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80권, 제6호, pp.635-642, 2011.
  19. 정현주, 배정희,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7호, pp.419-428, 2018. https://doi.org/10.14400/JDC.2018.16.7.419
  20. 박영임, 이강이, 김동옥, 엄동춘, 김지현,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5권, 제3호, pp.170-179, 2014. https://doi.org/10.12799/jkachn.2014.25.3.170
  21. 정혜선,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약물오용 영향요인: 약물지식 및 복약관리 교육요구를 중심으로," 가정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87-98, 2017. https://doi.org/10.22705/JKASHCN.2017.24.1.087
  22. 박미숙, "노인의 약물 사용 실태 조사," 기본간호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95-205, 2008.
  23. 정선회, 최경희, 권경희, 유기연, "전문약사 자격보유여부에 따른 전문성 및 직무만족도 영향 분석," 병원약사회지, 제35권, 제4호, pp.441-452, 2018.
  24. 박인경, 이수영, 윤지연, 한옥연, 이보름, 장제관, 나현오, 임성실, "치료의 증진을 위한 당뇨전문약사의 필요성," 대한약학회지, 제53권, 제4호, pp.217-221, 2009.
  25. 박선영, 최혜윤, 산토시쿠마르 나가야스리라만, 용철순, 유봉규, "우리나라 종합병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문약사과정의 운영 및 교육과정 현황," 약학회지, 제53권, 제4호, pp.165-172, 2009.
  26. 변진옥, 조병희, "약국약사들의 사회적 역할 실천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보건과 사회과학, 제35권, pp.107-144, 2014.
  27. 정애희, 정선회, 권경희, "약사의 전문성강화를 위한 국가별 평생교육제도 비교연구," 약학회지, 제58권, 제4호, pp.277-285, 2014.
  28. 김병화, 박종덕, "국내 약국 서비스환경 요인 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인문사회 21, 제8권, 제3호, pp.59-74, 2017.
  29. 장일영, 이영수, 전민경, 조현우, 오진선, 이윤경, 박형철, 김수한, 이은주, "2012년 개정판 Beers Criteria를 통한 노인 부적절 약물 처방 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노인병학회, 제17권, 제3호, pp.126-133, 2013.
  30. 이주형, 노주현, 서예원, 이정화, 이은숙, 이병구, 김광일, 김철호, "노인 부적절 약물 처방의 선별도구로서 Beers Criteria와 Screening Tool of Older Person's Prescription의 비교," 대한노인병학회, 제17권, 제1호, pp.28-36, 2013.
  31. 천영주, 임성실, "Beers Criteria 및 STOPP 근거에 의거한 한국 노인 환자의 항콜린성제 약물요법의 적절성 평가," 약학회지, 제58권, 제5호, pp.328-336, 2014.
  32. 남진선, 오정미, 신완균, "한국의 외래노인환자에서 약물사용의 경향 및 explicit criteria에 의한 적절성평가," 한국임상약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49-159, 2005.
  33. N. Motallebzadeh, G. Jayaprakash, and E. Mohammadi, "Evaluation of Rationality of Geriatric Patients' Prescription Based On Beers Criteria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 India," Open Access Maced J Med Sci, Vol.7, No.6, pp.987-991, 2019. https://doi.org/10.3889/oamjms.2019.172
  34. S. T. Cho, J. S. Kim, J. Noh, H. S. Moon, S. K. Min, S. Bae, J. H. Bae, Y. J. Seo, Y. S. Chang, C. W. Jeong, J. H. Han, and H. J. Kim, "Characteristics of inappropriate multiple medication use in older urological outpatients," Arch Gerontol Geriatr, Vol.83, pp.61-65, 2019. https://doi.org/10.1016/j.archger.2019.03.024
  35. K. E. Schussel, S. Forbes, A. M. Taylor, and J. H. Cooley, "Implementation of an Interprofessional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Experience," Am J Pharm Educ, Vol.83, No.3, p.6584, 2019. https://doi.org/10.5688/ajpe6584
  36. A. S. Almodovar and M. C. Nahata, "Associations Between Chronic Disease, Polypharmacy, and Medication-Related Problems Among Medicare Beneficiaries," J Manag Care Spec Pharm, Vol.25, No.5, pp.573-577, 2019.
  37. B. L. Bowers, C. Heffern, and S. Billings, "Implementation of a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program in a primary care clinic," J Am Pharm Assoc, Vol.59, No.3, pp.383-389, 2019 https://doi.org/10.1016/j.japh.2019.02.009
  38. Y. Qiao, C. A. Spivey, J. Wang, Y. T. Shih, J. Y. Wan, J. Kuhle, S. Dagogo-Jack, W. C. Cushman, and M. Chisholm-Burns, "Predictive Value Positive of MTM Eligibility Criteria under MMA and ACA in Identifying Individuals with Medication Utilization Issues," J Pharm Health Serv Res, Vol.9, No.4, pp.393-401, 2018. https://doi.org/10.1111/jphs.12266
  39. H. M. Kansanaho, I. I. Puumalainen, M. M. Varunki, M. S. Airaksinen, and P. Aslani, "Attitudes of Finnish community pharmacists toward concordance," Ann Pharmacother, Vol.3, No.11, pp.1946-1953,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