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oy Library Rental and Return Systems Based on Web

웹을 기반으로 한 장난감 도서관 대여 및 반납 시스템

  • 김은경 (에니아소프트 SI 개발팀) ;
  • 복경수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 유재수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 Received : 2019.06.24
  • Accepted : 2019.07.22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Modern society has a tendency to raise fewer children. As a result, pare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creative ways of thinking and began to look for new ways of teaching.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expects a positive effect by lending various toys and books to improve the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o help reduce household burden on parent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rental return system to effectively utilize a toy library operated by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The proposed system makes it easy for any user to search for items in any branch operated by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and to manage loan return records. The administrator can manage data such as loans, returns, and past due from the rental return processing system, and effectively operate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through statistics of data generated. Children are expected to be given a variety of entertainment cultures and cultural benefits to their families to ease the burden of parenting.

현대 사회는 적은 자녀만 낳아 키우는 추세이다. 그러다보니 학부모들은 자녀의 창의적 사고방식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고 새로운 교육 방식을 찾기 시작하였다. 육아종합지원센터는 다양한 장난감 및 도서 대여를 통해 아동에게는 신체 및 정서적, 사회성을 향상시켜주고 부모에게는 가계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긍정적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장난감 도서관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여 반납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누구나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모든 지점의 품목을 쉽게 검색하고 대여 및 반납 내역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대여 및 반납 처리 시스템을 통해 발생하는 대여, 반납, 연체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이때 만들어지는 데이터들의 통계를 통해 육아종합지원센터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아동에게는 다양한 놀이문화를 제공하고 가정에 문화적 혜택을 제공해 부모의 양육 부담을 경감시킬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D. Henriksen, M Henderson, E. Creely, S. Ceretkova, M. Cernochova, E. Sendova, E. T. Sointu, and C. H. Tienken, "Creativity and Technology in Educa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Technology, Knowledge and Learning, Vol.23, No.3, pp.409-424, 2018. https://doi.org/10.1007/s10758-018-9380-1
  2. 성은현, 이정규, 황영석, "창의성 교육 평가 모델 개발의 필요성," 창의력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37-52, 2013.
  3. 정나영, 김수영,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423-447, 2013.
  4. 한유미, 양연숙, 곽혜경, "육아지원센터 도입의 과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제45권, pp.75-98, 2006.
  5. 정혜욱, 김경미, "시군구 육아종합지원센터 웹사이트 서비스현황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17-230, 2018. https://doi.org/10.21213/kjcec.2018.18.2.217
  6. 이종문,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4권, 제3호, pp.75-98, 2013.
  7. 중앙 육아종합지원센터, https://central.childcare.go.kr/
  8. 한국장난감도서관협회, http://www.ktla-toylib.or.kr/
  9. 이종화, 우리나라 장난감도서관의 실태 및 서비스 개선 방안,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0. 동윤진, 어린이 도서관과 장난감 도서관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인식조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임영은, 장애아동 부모의 장난감 도서관 이용경험과 요구 및 참여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2. 최세나, 장난감 도서관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이용 경험과 대여 장난감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서초구 장난감 도서관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3. 신정희, 한국장난감도서관 25년의 발자취, 한국장난감도서관 협회, 2007.
  14. 장경희, "한국 장난감도서관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부모교육연구, 제5권, 제2호, pp.79-100, 2008.
  15. 유해미, 양미선, 송신영, 지역사회내 육아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
  16. 김수정, 전국 장난감도서관의 운영 실태와 발전 방안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 김민재, 장난감 도서관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이용 현황 및 만족도, 개선 요구조사: 성남아이사랑놀이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